관측기
2009.11.18 06:59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기

조회 수 6341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0_7173m.jpg


100_7186en.jpg


100_7187en.jpg


조금 전에 별똥비를 보고 왔어요(2009년 11월 18일).

새벽 4시 반부터 6시 조금 넘을 때까지..


대도시가 가까이에 있어서 관측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별을 보기에는 정말 좋은 날씨라서 살짝 기대를 하고 나갔는데, 별똥별이 예상보다는 조금 적게 떨어진 듯 합니다. 5시를 넘어가면서부터 조금 늘어나는 것 같기도 했는데..


2001년과 비교한다면, 떨어지는 유성의 개수가 훨씬 적었고(예측으로도 훨씬 적었지만), 전체적으로 별똥별의 크기도 작고 밝기도 많이 어두운 편이었습니다. 3등급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밝은 별똥별은 한 시간에 15~30개 정도 떨어진 것 같고, 유성흔을 남긴 것도 3~4개 정도 보긴 했는데, 2001년에 비할 바는 아니었습니다.


사진은 코닥에서 만든 P880이라는 카메라로 찍어 봤는데(셔터 속도가 1분까지 가능한), 희미하게 3개 정도 찍혔습니다. 사진 촬영은 실패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 외에 특별한  점이 있다면 TRMM이라는 인공 위성을 본 것 정도. 5시 38분 경, 사자자리를 가로지를 때 가장 밝게 보였는데, 밝기가 0.5등급 정도는 되는 것 같았습니다. 처음에는 ISS 아닌가 싶었는데, 찾아보니 TRMM이라는 기상 관측 위성입니다.

?
  • ?
    김은경 2009.11.18 11:17
    혁준이도 보고 잔다며 난리더니 너에게 새벽5시경에야 볼 수 있다는 말에 그냥 잠자리에 들던걸. 아이들도 너무 보고 싶어 했는데 아쉽네. 사실 여건이 좋지 않아 시간이 맞더라도 얼마나 볼 수 있었을지도 의문이긴 하지만...
  • profile
    창환 2009.11.19 14:02

    도심에서 별똥별을 보기는 쉽지 않았을 듯..

    대략 20년쯤 후에 이 별똥별이 크게 떨어질 것 같은데..

  • ?
    준희 2009.11.30 09:56

    맙소사! 20년 후엔 '성층권에서 유성관찰 투어'가 개발 될지도 모르겠다.

  • profile
    창환 2009.11.30 10:54

    이미 지금도 성층권에서 비행기로 별똥별 관측을 하고 있어. 천문학자가 아닌 일반인들은 참여하지 못해서 그렇지..


  1.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조선 세종대에 만든 천체 관측기기로 해가 없는 밤에도 별을 이용해 시각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 4월 15일에 4대를 완성했는데, 한 대는 사진처럼 용으로 장식을 해서 궁궐 내에 설치를 했고, 나머지 ...
    Date2010.02.0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10506
    Read More
  2. No Image

    관측자중심좌표계에 관하여

    관측자중심좌표는 지구 표면 위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나타낸 좌표계입니다. 이 좌표계는 관측자에게 실제로 관측되는 좌표를 알려줍니다. 관측자중심좌표를 구할 때에는 지구중심좌표에 아래 사항을 반영해주면 됩니다. 1) 항성-일주 광행차(diurnal aberratio...
    Date2010.01.2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989
    Read More
  3. No Image

    지구중심좌표계에 관해서

    지구중심좌표계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쓰는 좌표계 가운데 하나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입니다. 여기에서 지구의 중심은 지구 타원체의 중심입니다. 지구중심좌표계로 나타낸 위치에는 관측지에 따른 위치의 차이가 포함되어 ...
    Date2010.01.2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019
    Read More
  4. No Image

    국역이 이루어진 천문 관련 고서

    국역이 이루어져 있는 천문 관련 고서 목록입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펴낸 책을 번역한 것이지만 고려사 역지, 천문지, 오행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에는 이전 시대의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1. 천문류초(天文類抄) 옮긴이: 김수길, 윤상철 펴낸곳: 대유학당, 2...
    Date2010.01.2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560
    Read More
  5. No Image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펴낸 과학기술 관련 도서 142종의 문헌을 모아서 펴낸 책으로 모두 7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1~10권이 천문학 관련 도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천문 연...
    Date2010.01.2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6619
    Read More
  6. No Image

    고천문 관련 '한국서지(韓國書誌)' 수록 도서 목록

    『한국서지(韓國書誌)』는 지금으로부터 120여년 전 프랑스의 서지학자인 모리스 꾸랑이 지은 서지 목록으로,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에서부터 구한말에 펴낸 '한성순보'까지 3821 종에 이르는 도서의 정보를 크게 9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
    Date2010.01.20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129
    Read More
  7. 직교좌표와 구면좌표

    천문학에서는 보통 천체의 위치를 나타낸 때 구면좌표를 씁니다. 적경과 적위, 황경과 황위 또는 방위각과 고도 등과 같이 기준이 되는 점에 대한 각도를 써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천문 계산을 할 때에는 구면좌표 대신 직교좌표를 쓰는 것이 더...
    Date2010.01.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6108
    Read More
  8. 2010년 1월 15일의 금환식(국내는 부분일식)

    올해 1월 15일에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이번 금환일식은 아프리카에서 시작해서 인도양을 거쳐 중국 산동반도에서 끝이납니다. 금환식의 지속 시간은 최대 11분 이상으로 긴 편에 속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부분일식으로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Date2010.01.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6289
    Read More
  9. 항성시와 세계시의 길이 비율

    평균 항성시와 평균 세계시(UT1)의 길이 비율은 세계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를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값은 지구가 얼마나 빠르게 자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자전 속도가 느립니다. 기호로는 r'로 적습...
    Date2009.11.21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243
    Read More
  10.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기

    조금 전에 별똥비를 보고 왔어요(2009년 11월 18일). 새벽 4시 반부터 6시 조금 넘을 때까지.. 대도시가 가까이에 있어서 관측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별을 보기에는 정말 좋은 날씨라서 살짝 기대를 하고 나갔는데, 별똥별이 예상보다는 조금 적게 ...
    Date2009.11.1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3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