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25.02.07 21:08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조회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지난 번에 이어 40mm 망원경으로 관측했습니다. 
이번에는 상현달입니다. 안시 관측을 간단히 한 후, 사진으로도 남겼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선명해 보입니다만, 40mm라는 구경의 물리적 한계는 뚜렷합니다. 
혜성 모양으로 생긴 메시에 운석공은 사진으론 비교적 뚜렷합니다만, 안시로는 잘 보이진 않았습니다. 

목성과 화성은 이번에는 촬영하지 못했습니다. 
달 촬영을 끝내고 행성으로 망원경을 향하려니 노트북의 배터리가 버티질 못합니다. 
관측 전에 충전을 충분히 한 것 같은데, 추위가 문제네요. 날이 풀리고, 대적반이 앞으로 돌아나오는 시기에 다시 도전해야겠습니다. 

- 관측일시: 2025. 2. 5. 21:12 KST
- 망원경: SV165 40mm F4
- 보조렌즈: Svbony SV136 3x barlow + WO 1.6x barlow
- 카메라: ZWO ASI585MC
- 가대: Skywatcher AZ-GTi mount
- 1분 촬영,  상위40% 합성

 

2025-02-05-1212_Moon.png

 

?

  1.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지난 번에 이어 40mm 망원경으로 관측했습니다. 이번에는 상현달입니다. 안시 관측을 간단히 한 후, 사진으로도 남겼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선명해 보입니다만, 40mm라는 구경의 물리적 한계는 뚜렷합니다. ...
    Date2025.02.0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
    Read More
  2.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 관측일: (안시) 2025. 1. 24. (사진) 2025. 1. 25. * 망원경: Svbony SV165 40mm 보조 망원경(구경 40mm, 초점거리 160mm) * 보조장비: Celestron 천정프리즘, Svbony SV136 3x 바로우렌즈 * 접안렌즈: 솔로몬 PF ...
    Date2025.01.25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9
    Read More
  3. 필드스코프로 행성 관측하기(SV406P 80ED)

    1. 간단히 필드스코프로 천체 관측 구성을 만들어 봤습니다. 특별한 것은 없고요. 천체 도입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등배파인더를 연결했습니다. 필드스코프로 하늘을 볼 때는 특별한 기준점이 없다 보니 천체 도입이 늘 문제였는데, 등배파인더만 달아줘도 아주...
    Date2025.01.0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3
    Read More
  4. [장비 개조] Svbony MK105 최적화하기

    스보니(Svbony)의 소형 막스토프 망원경인 MK105는 쓸만한 기기이긴 합니다만,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손보면 망원경의 성능이 향상되거나, 사용하기 편리해지는데요. 손볼 부분은 대략 5가지 정도입니다(이 외에도 보정렌즈 고정 압력 조...
    Date2025.01.06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5
    Read More
  5. C/2023 A3 츠진산-아틀라스 혜성 근황: 태양을 향해 뻗은 먼지꼬리

    C/2023 A3 츠진산-아틀라스 혜성은 이제 착실히 저녁하늘로 이동 중입니다. 아직은 태양과 너무 가까워서 관측은 어렵지만, 0등급 이상은 되는지라 하늘 상태가 아주 좋다면 박명 무렵에 어렴풋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태양 관측위성인 SOHO의 코로나그래프...
    Date2024.10.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9
    Read More
  6. 새로운 대혜성 후보, C/2024 S1 (ATLAS) 이야기

    * A11bP7I의 정식 명칭은 C/2024 S1 (ATLAS) 입니다. 얼마 전 새로운 혜성의 후보인 A11bP7I가 발견되었습니다. 절대적인 크기만 보면 작고 어둡고 특별할 게 없는 천체이지만, 크로이츠 혜성군의 일원으로 근일점 거리가 약 83만 km(초기 관측을 바탕으로 추...
    Date2024.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75
    Read More
  7.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 예측

    이번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을 예측해 봤습니다. 10월 중순, 저녁 하늘 기준이고요. 녹색은 코마, 파란색은 이온꼬리, 황토색은 먼지꼬리입니다. 먼지꼬리의 예측에는 Finson-Probstein 모델을 썼고요. 보다시피, 10월 13일은 먼지꼬...
    Date2024.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46
    Read More
  8. 도심에서 혜성 담기(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

    도심에서 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Tsuchinshan–ATLAS) 혜성을 촬영해 봤습니다. 어차피 박명 무렵 하늘이 어스름하게 밝아올 때 관측이 가능하니까 광해의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으로 동쪽이 트인 장소만 찾아서 시도를 했는...
    Date2024.09.2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73
    Read More
  9.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 관측 정보

    올 가을 기대되는 혜성으로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이 있는데요. 간만에 등장한 밝은 혜성이라 관측 정보를 공유합니다(성도는 대전을 관측지로 하였고, 지평좌표계로 그렸습니다. 혜성의 밝기 예측에 필요한 인수는 http://www.aerith.net/comet/c...
    Date2024.09.2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34
    Read More
  10. 올해 첫 토성(2024. 7. 20)

    올해 처음으로 담은 토성입니다. 촬영 떄 구름이 많았던 까닭에 선명도는 매우 떨어집니다. 잠시 하늘이 열렸던 동안 눈으로 봤을 때보다도 선명하지 못합니다. 다만 옆으로 고리가 누운 토성 촬영은 처음이라, 기록 차원에서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
    Date2024.07.2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