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09.10.17 01:27

항성시 계산(IAU2006)

조회 수 15743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항성시는 우주에 고정된 기준을 두고 이 기준점에 대한 겉보기 운동으로 측정하는 시간 체계입니다.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항성일)는 지구 공전의 영향으로 인해 태양시로 나타낸 하루(태양일)보다는 약간 짧습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태양일과 항성일의 길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평균 태양일(24시간) = 1.00273790935 평균 항성일(24시간 3분 56.55537초)


항성시는 대강 4종류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GMST, Greenwich Mean Sidereal Time)

  특정 시점에 경도 0도(본초자오선)에서 측정한 평균 항성시


그리니치 겉보기 항성시(GAST, GST, Greenwich Apparent Sidereal Time)

  특정 시점에 경도 0도(본초자오선)에서 측정한 실제의 항성시. GMST에 장동과 지구의 극운동을 반영한 값


지방 평균 항성시(LMST, Local Mean Sidereal Time)

  특정 시점에 관측지에서 측정한 평균 항성시


지방 겉보기 항성시(LAST, Local Apparent Sidereal Time)

  특정 시점에 관측지에서 측정한 실제의 항성시. GMST에 장동과 지구의 극운동을 반영한 값


이 가운데 관측에서 실제로 필요한 값은 지방 진항성시입니다. 지방 겁모기 항성시는 지방평균항성시와 각도로 약 10초 이내의 범위에서 일치하며 관측지에서 특정한 시각의 천체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AU2006에서 결정한 방법에 따라 항성시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현재 이 방법은 미국에서 발행하는 천문역서(The Astronomical Almanac)에서 쓰고 있습니다.


(1)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GMST)

IAU에서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지구의 회전 속도를 정의했습니다. 이 값을 약어로 ERA(Rate of advance of Earth rotation angle)라고 부르며 이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ERA = 1.00273781191135448 회전/일(UT1)


평균항성시는 ERA에서 정한 비율에 따라 회전한 만큼에 세차 운동에 의해 변화하는 양을 더한 값으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GMST(Du, T) = θ(Du) + GMSTP(T)


θ(Du)는 ERA에서 정한 값에 따라 회전한 값이고 GMSTP(T) 는 세차운동에 의해 변하는 부분입니다. Du는 J2000.0 원기에서 계산 시점까지의 날짜 수, T는 J2000.0 원기에서 계산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율리우스 세기로 나타낸 값입니다. Du와 T는 아래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Du는 UT로, T는 TT로 계산해야합니다.


Du = JDUT1 - 2451545.0

T = (JDTT - 2451545.0) / 36525


θ(Du)와 GMSTP(T)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위는 초(Arcsecond)입니다.


θ(Du) = 1296000"(0.7790572732640 + 0.00273781191135448Du + frac(Du))

GMSTP(T) = 0".014506 + 4612".156534T + 1".3915817T2 -0".00000044T3 - 0".000029956T4 - 3".68×10-8T5


frac(Du)는 Du의 소수점 부분입니다. 예을 들어 Du가 45.30432라면 frac(Du)는 0.30432가 됩니다. θ(Du)와 GMSTP(T) 식을 하나로 합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GMST(Du, T) = θ(Du) + GMSTP(T)

= 1296000"(0.7790572732640 + 0.00273781191135448Du + frac(Du)) + 0".014506 + 4612".156534T + 1".3915817T2 -0".00000044T3 - 0".000029956T4 - 3".68×10-8T5


 

(2) 그리니치 겉보기 항성시 계산(GAST)

그리니치 겉보기 항성시는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에 분점차(주로 장동운동으로 인한 것)를 더한 값입니다. 분점차(Equation of equinoxes)를 Ee라고 표시하면 그리니치 겉보기 항성시는 다음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GAST(Du, T) = GMST(Du, T) + Ee(T)


Ee(T)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e(T) = Δψ cos εA + Σk (C'k sin Ak + S'k cos Ak) - 0".00000087T sin Ω

 

이 식에서 Δψ는 장동운동으로 인한 황도방향의 변화량으로 이전에 설명한 장동 계산 글에 자세한 계산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εA는 계산 시점의 평균 황도 경사각입니다. 역시 이전의 글에서 계산 방법을 설명해 놓았습니다. Ω는 달의 평균 승교점 경도인데 다음 식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Ω = 450160.398036 - 6962890.5431T + 7.4722T2 + 0.007702T3 - 0.00005939T4

 

Σk (C'k sin Ak + S'k cos Ak) 부분은 33개의 계산항으로 이루어진 식입니다. 이 부분의 계산법은 글의 끝 부분에 설명하겠습니다.

진항성시를 계산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각각의 식에 쓰인 단위를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3) 지방 항성시(LMST, LAST) 계산

그리니치 항성시에서 지방 항성시를 구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그리니치 항성시와 지방 항성시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LMST = GMST + λ

LAST = GAST + λ


이 식에서 λ는 관측지의 경도입니다. ITRF나 WGS84 측지계로 나타낸 경도이며 동경은 (+), 서경은 (-)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동경 128도는 +128°, 서경 35도는 -35°입니다.


지방 항성시를 아주 정밀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관측지의 경도에 극운동을 보정해 주어야 합니다. 극운동은 달과 여러 행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데, 최대 0."3 정도의 크기로 나타납니다. 이 움직임은 미리 예측할 수는 없고 관측을 통해 결정해야합니다. 극운동의 관측치와 단기간(약 1년) 동안의 예측은 IERS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구의 극운동 측정치 및 단기 예측값 얻기

IERS Bulletin A   http://maia.usno.navy.mil/ser7/ser7.dat
IERS Bulletin B   http://maia.usno.navy.mil/ser7/bulb.dat


위의 주소로 들어가면 극운동의 값 x와 y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값을 바탕으로 관측지의 경도를 보정하려면 다음 식을 쓰면 됩니다. 식에 나오는 φITRS와 λITRS는 관측지의 위도와 경도(WGS84 또는 ITRS로 나타낸 위도)입니다. 이 식은 근사식으로 고위도 지역에서는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λ = λITRS + (x sin λITRS + y cos λITRS ) tan φITRS



(4) Σk (C'k sin Ak + S'k cos Ak) 부분 계산법

이 부분은 모두 34개의 계산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산을 위해서는 달과 지구, 주요 행성의 위치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위치 정보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IAU2000/2006 장동식에 쓰는 계산식과 동일합니다).


먼저 태양과 달의 운동에 관한 식입니다. 단위는 모두 초(arcsecond, as)입니다.

l = 달의 평균 근점이각 = 485868.249036 + 1717915923.2178T + 31.8792T2 + 0.051635T3 - 0.00024470T4

l' = 해의 평균 근점이각 = 1287104.79305 + 129596581.0481T - 0.5532T2 + 0.000136T3 - 0.00001149T4

F = L - Ω = 335779.526232 + 1739527262.8478T - 12.7512T2 - 0.001037T3 + 0.00000417T4

D = 해와 달의 평균 이각 = 1072260.70369 + 1602961601.2090T - 6.3706T2 + 0.006593T3 - 0.00003169T4

Ω = 달의 승교점 경도 = 450160.398036 - 6962890.5431T + 7.4722T2 + 0.007702T3 - 0.00005939T4

(L = 달의 평균 황경)


행성의 운동에 관한 식입니다. 단위는 모두 초(arcsecond, as)입니다.

Lv = 금성의 평균 황경 = 655127.283060 + 210664136.433548T

Le = 지구의 평균 황경 = 361679.244588 + 129597742.283429T


행성과 달의 위치에 관한 식 외에도 지구의 일반세차량을 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위는 초(arcsecond, as)입니다.

Pa = 5028.8200T+ 1.112022T2


이 값을 모두 계산했으면 Σk (C'k sin Ak + S'k cos Ak) 부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식에서 계수 C'k와 S'k의 단위는 마이크로초(microarcsecond)이므로 계산이 끝난 후 초(arcsecond) 단위로 바꾸려면 1000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eq1.jpg

= 2640.96 sin(Ω) - 0.39 cos(Ω)

+ 63.52 sin(2Ω) - 0.02 cos(2Ω)
+ 11.75 sin(2F - 2D + 3Ω) + 0.01 cos(2F - 2D + 3Ω)
+ 11.21 sin(2F - 2D + Ω) + 0.01 cos(2F - 2D + Ω)
- 4.55 sin(2F - 2D + 2Ω)
+ 2.02 sin(2F + 3Ω)
+ 1.98 sin(2F + Ω)
- 1.72 sin(3Ω)
- 1.41 sin(l' + Ω) - 0.01 cos(l' + Ω)
- 1.26 sin(l' - Ω) - 0.01 cos(l' - Ω)
- 0.63 sin(l - Ω)
- 0.63 sin(l + 1Ω)
+ 0.46 sin(l' + 2F - 2D + 3Ω)
+ 0.45 sin(l' + 2F - 2D + Ω)
+ 0.36 sin(4F - 4D + 4Ω)
- 0.24 sin(F - D + Ω - 8Lv + 12Le) - 0.12 cos(F - D + Ω - 8Lv + 12Le)
+ 0.32 sin(2F)
+ 0.28 sin(2F + 2Ω)
+ 0.27 sin(l + 2F + 3Ω)
+ 0.26 sin(l + 2F + Ω)
- 0.21 sin(2F - 2D)
+ 0.19 sin(l' - 2F + 2D - 3Ω)
+ 0.18 sin(l' - 2F + 2D - Ω)
- 0.10 sin(8Lv - 13Le - Pa) + 0.05 cos(8Lv - 13Le - Pa)
+ 0.15 sin(2D)
- 0.14 sin(2l - 2F - Ω)
+ 0.14 sin(l - 2D + Ω)
- 0.14 sin(l' + 2F - 2D + 2Ω)
+ 0.14 sin(l - 2D - Ω)
+ 0.13 sin(4F - 2D + 4Ω)
- 0.11 sin(2F - 2D + 4Ω)
+ 0.11 sin(l - 2F - 3Ω)
+ 0.11 sin(l - 2F - Ω)



<참고문헌>

1. The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0 (Washington, D.C.; 2008)

2. IERS Technical Note No. 32 chapter 5, http://www.iers.org/MainDisp.csl?pid=46-25776

?
  • ?
    donadona 2009.12.13 10:31

    중요한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

    수리천문에 나름대로 관심이 많아 자료를 여기저기 찾아보지만 국내에선 흔하지 않은 자료라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나름대로 외국서적을 거금을 들여 사서 독학하려니 힘듭니다...

    천문학용어가 우리나라말로 통일된 안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님의 위 글중에,

     

    그리니치 진항성시(GAST, GST, Greenwich Apparent Sidereal Time)
    가 있는 데, 제가 이전에 자습하기로는

    Apparent Sidereal Time 는 視(겉보기의 의미입니다)항성시로 알고 있었는 데,

    이 것을 眞(true) 항성시로 번역하시는 이유가 있는 지 궁금해서 글 올립니다.

     

    영어로도 true와 apparent는 분명히 구분되는 용어같은 데요...

     

    감사합니다

  • ?
    창환 2009.12.14 00:41

    설명을 읽어 보니 그러하네요. 진항성시라 번역한 것에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처음에 공부할 때 어디에선가 진항성시로 적어 놓은 걸 봤는데, 그 영향으로 무의식적으로 진항성시라 번역해 놓았습니다. 글에서 쓴 번역어는 고쳐야겠습니다.


    천문학 용어를 우리말로 번역해 놓은 곳으로 한국천문학회가 있습니다. 한국천문학회 산하에 용어심의위원회라는 곳이 있는데 거기에서 천문학 용어를 번역하고 표준화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학회 용어심의위원회  http://www.kas.org/2s_4.html 


    이 곳에서 해당 용어를 찾아 보니 겉보기 항성시라고 번역해 놓았습니다. 앞으로 쓸 글에서는 여기에 쓰인 용어를 기준으로 번역하도록 하겠습니다.

  • ?
    dorami 2013.11.21 22:00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창환 2013.11.23 16:01

    http://blueedu.dothome.co.kr/xe/14361


    여기에 설명해 놓았습니다.

  • ?
    dorami 2013.11.28 00:00

    여러번 여쭤봐서 죄송합니다.

     

    위에 질문에 답해주신 걸로 UT1 이나 TT가 무엇인지는 알았습니다.

     

    1. UT1 = GMT 라고 하셨는데 GMT는 어떻게 구하나요?ㅜㅜ

     

    2. JD를 UT1이나 TT로 구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 거죠?

     

    JD = 2415020 + 365*(당해년도-1900) + N + L - 0.5

    (N = 그 해가 시작되는 날로부터 센 날의 수, L = 윤년의 수)

     

    로 구하는 것 아닌가요?

     

     

    정말 죄송합니다ㅠㅠ

     

     

  • profile
    창환 2013.11.28 22:15

    1. GMT는 계산으로는 못 구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시간체계가 UTC인데, UTC와 UT1의 차이는 관측으로 구할수밖에 없고요(아주 짧은 시간 내의 예측은 과거의 변화 추세를 통해 예상할 수 있긴 합니다), 둘 사이의 차이는 최대 0.9초라서 실생활에서는 같은 것이라 보고 써도 됩니다.

    2. UT1과 TT는 값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시간체계입니다. 어느 시점은 UT로도 나타낼 수 있지만 TT로도 나타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서 UT로 나타낸 JD가 1.0이고 이 때 UT가 TT보다 12시간 빠르다면, 같은 시점을 TT로는 0.5로 나타낼 수 있겠지요. 2013년 지금 시점에서는 UT와 TT의 시간 차이가 1분을 조금 넘는 수준밖에 안 되지만, 수천년 전이라면 2시간 이상 차이가 납니다. UT로 나타낸 JD를 TT로 바꿔주려면 UT에다 UT와 TT의 시간 차이를 더하거나 빼기만 하면 됩니다. 위의 계산에서 TT를 쓰라는 건 계산식에 쓰는 시간체계를 TT로 나타낸 시각을 쓰라는 것이구요.


  1. 항성시 계산(IAU2006)

    항성시는 우주에 고정된 기준을 두고 이 기준점에 대한 겉보기 운동으로 측정하는 시간 체계입니다.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항성일)는 지구 공전의 영향으로 인해 태양시로 나타낸 하루(태양일)보다는 약간 짧습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태양일과 항성일의 길...
    Date2009.10.1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5743
    Read More
  2. 관측지 위치 구하기

    천체 관측과 천문 계산에서는 관측지의 좌표계로 세계측지계를 사용합니다. 세계측지계는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민간 측지계로, 경위도를 나타내는 기준인 좌표계로는 ITRF2000를 채택하고 지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가상적인 타원체로는 GRS80를 채택한 ...
    Date2009.10.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856
    Read More
  3. 평균 황도 경사각 계산

    황도경사각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이루는 각도입니다. 이 각도를 기호로 ε이라고 표기하며 현재 약 23.5도이지만 실제로는 22.1도에서 24.5도 사이의 범위에서 느리게 변화합니다. ▲ 황도 경사각의 정의 특정 순간의 평균황도경사각은 아래에 소개하는 식을 ...
    Date2009.10.1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473
    Read More
  4. No Image

    천문 상수

    천문 계산에 종종 쓰이는 천문 상수를 모아봤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원래의 문서를 살펴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07 http://www.kasi.re.kr/Knowledge/almanac_src/2007/2007_ch10_00....
    Date2009.10.0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322
    Read More
  5. No Image

    EMB에서 지구의 위치 계산하기 예제

    지구-달 질량 중심(EMB)으로 표시된 지구-달 계의 위치에서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이나 계산 원리는 이전에 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EMB에서 지구의 위치 보정하기 이 예제에서...
    Date2009.10.0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685
    Read More
  6.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천체력에서 지구의 위치를 표시할 때 주로 쓰는 EMB(Earth-Moon Barycenter, 지구-달 질량 중심)는 지구와 달의 질량 중심을 가리키는 약호입니다. 지구와 달은 공동의 질량 중심인 EMB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두 천체가 도는 계에서 질량 ...
    Date2009.09.3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6268
    Read More
  7. 오랜만의 관측

    어제 오랜만에 관측을 했습니다. 날도 무척 맑고 공기도 투명하고 달도 없고.. 구름이 조금 있었지만 양은 적어서 관측에 특별히 방해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성도도 들고 나가지 않은 간단한 관측이라서 찾아본 천체가 많지는 않았지만 가슴 속에 묻혀있던 밤...
    Date2009.09.21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315
    Read More
  8. No Image

    EMB에서 지구의 위치 보정하기

    EMB에서 지구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같은 시각의 EMB의 일심황도좌표, 달의 지심황도좌표를 구합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도록 합시다. EMB의 일심황도좌표: LE(황경), BE(황위), RE(해-지구 거리) 달의 지심황도좌표: LM(황경), BM(...
    Date2009.09.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5904
    Read More
  9. 플램스티드 성도

    플램스티드 성도(Atlas Coelestis)를 열람할 수 있는 곳이 있네요. 17~18세기에 유럽에서 발행된 대표적인 성도 가운데 하나로, 당시 유럽의 성도가 대강 어떤 형태로 발행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세요. http://contentdm....
    Date2009.09.08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5911
    Read More
  10. [책]쉽게찾는 우리별자리

    -제목: 쉽게찾는 우리별자리 -저자: 이태형, 김한준, 이주형 -출판사, 펴낸 날: 현암사 (1993년 10월 30일) -분량: 336쪽 -크기: 112 x 210 mm -ISBN-10: 8932307792 국내에서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가인 이태형씨가 쓴 별자리 안내서입니다. 현암사에서 펴내...
    Date2009.09.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62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