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23.12.09 22:54

12P/Pons-Brooks 혜성 정보

조회 수 38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폰-브룩스 혜성은 주기가 71년인 단주기 혜성입니다. 

1954년 근일점을 돌아나간 후, 내년(2024년)에 다시 태양에 접근할 예정입니다. 

특기할 점이 있다면, 근일점이 0.78 천문단위로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지 않으면서도 태양에 근접할 때마다 맨눈으로 충분히 보일 정도로 밝다(2~4등급)는 점입니다. 최근 몇 번의 방문에서는 갑작스런 증광(아웃버스트, Outburst) 현상도 종종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근일점 접근은 2024년 4월 21일로, 내년 봄입니다. 현재 밝기(2023년 12월 9일)는 8등급 중반대이고, 근일점 무렵에는 약 4~5등급까지 밝아지리라 예상됩니다.

이 혜성은 이번 접근 때도 벌써 두 번의 아웃버스트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2023년 7월 20일에 16등급에서 11등급으로 약 100배나 밝아졌고, 10월 15일에는 다시 15등급에서 11등급으로 약 40배나 밝아졌습니다. 태양과의 거리가 각각 3.9천문단위, 3.1천문단위일 때 생긴 현상입니다. 점점 근일점에 가까워지면서 아웃버스트가 더 일어날 가능성도 있는데, 만약 근일점 부근에서 생긴다면, 아주 밝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관측은 현재에는 북반구 지역이면 어디든 가능합니다. 천문박명 때의 고도가 30도를 넘으므로 관측조건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근일점 무렵에는 고도가 낮아져 관측이 어려워집니다. 반면 남반구에서는 지금은 관측하기 어렵지만, 2024년 4월 하순 이후 혜성이 가장 밝아지는 시점부터는 관측 조건이 좋아집니다. 특히 근일점을 지나면서 서쪽하늘 점점 높이 떠오르므로, 근일점 무렵에서 아웃버스트가 일어난다면 멋진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측 시간은 남북반구 공히 저녁이 좋습니다.

한국에서는 지금은 저녁 천문 박명 때 북서쪽 하늘에 있는데, 고도가 30도를 넘으므로 관측조건이 나쁘진 않습니다. 다만 혜성이 태양에 점점 가까워지면 관측 조건이 조금씩 나빠져, 혜성이 가장 밝아지는 2024년 4월 하순에는 저녁 천문박명 시간이 되면 혜성이 지평선 아래로 넘어갑니다. 

아래 그림은 대전을 기준으로 계산한 혜성의 위치입니다. 저녁 천문박명 때의 고도와 방위각이고요. 배경의 별은 2024년 3월 16일의 모습입니다. 

근일점 무렵, 멋진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습니다. 

 

12P_Pons_Brooks.png2023년 12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저녁천문박명 시간에 대전에서 관측한 혜성의 위치. 배경 별은 2024년 3월 16일.

 

12P_Pons_Brooks_SH.png2024년 4월부터 7월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저녁천문박명 시간에 관측한 혜성의 위치.  배경 별은 2024년 5월 6일.

TAG •
?

  1.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 예측

    이번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을 예측해 봤습니다. 10월 중순, 저녁 하늘 기준이고요. 녹색은 코마, 파란색은 이온꼬리, 황토색은 먼지꼬리입니다. 먼지꼬리의 예측에는 Finson-Probstein 모델을 썼고요. 보다시피, 10월 13일은 먼지꼬...
    Date2024.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45
    Read More
  2. 도심에서 혜성 담기(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

    도심에서 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Tsuchinshan–ATLAS) 혜성을 촬영해 봤습니다. 어차피 박명 무렵 하늘이 어스름하게 밝아올 때 관측이 가능하니까 광해의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으로 동쪽이 트인 장소만 찾아서 시도를 했는...
    Date2024.09.2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68
    Read More
  3.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 관측 정보

    올 가을 기대되는 혜성으로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이 있는데요. 간만에 등장한 밝은 혜성이라 관측 정보를 공유합니다(성도는 대전을 관측지로 하였고, 지평좌표계로 그렸습니다. 혜성의 밝기 예측에 필요한 인수는 http://www.aerith.net/comet/c...
    Date2024.09.2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45
    Read More
  4. 올해 첫 토성(2024. 7. 20)

    올해 처음으로 담은 토성입니다. 촬영 떄 구름이 많았던 까닭에 선명도는 매우 떨어집니다. 잠시 하늘이 열렸던 동안 눈으로 봤을 때보다도 선명하지 못합니다. 다만 옆으로 고리가 누운 토성 촬영은 처음이라, 기록 차원에서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
    Date2024.07.2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285
    Read More
  5. 목성 - 흑백 LRGB 촬영 연습(2024. 3. 10.)

    이번에는 150mm 구경의 망원경으로 연습했습니다. 아쉽게도 시상이 나쁘고, LRGB 처리도 익숙하진 않아서 결과는 볼품이 없습니다. 20분 결과로는 많이 떨어지지만, 기록 삼아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3. 10.(KST) - 촬영 장소: 대전 - 망원경: Celest...
    Date2024.03.1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269
    Read More
  6. 목성 - 컬러와 흑백의 차이(2024. 3. 9.)

    얼마 전 모노 카메라를 들이고 컬러 카메라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실험 삼아 촬영했습니다. 소구경 망원경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궁금했고요. 결과물만 보면 세부나 색상 표현이나, 차이가 꽤 크게 납니다. 시상이 나쁘고, 고도도 낮아서 정확한 비...
    Date2024.03.09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281
    Read More
  7. 2024년 첫 관측(목성, 오리온자리)

    2024년들어 첫 관측을 했습니다. 70mm 짜리 작은 막스토프 망원경으로 행성과 이중성 위주로 간단히 촬영했습니다. 망원경의 온도 평형이 덜 이뤄진 상태에서 촬영한 까닭에 경통 내부에 대류가 생겨서, 별상이 조금 일그러진 상태입니다. - 촬영 일시: 2024. ...
    Date2024.01.09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91
    Read More
  8. 루프 프리즘에서 위상차 보정 코팅의 효과

    오래 전 쌍안경에 위상차 보정 코팅을 적용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글을 게시하였습니다. 점광원의 회절 스파이크 유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이었는데, 편광판을 이용한 판별보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별다른 도구 없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
    Date2024.01.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34
    Read More
  9. M42(오리온대성운): 적외선 촬영의 효과

    M42 성운을 적외선-자외선 차단 필터(UV-IR Cut filter)를 사용한 상태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촬영했습니다. 적외선-자외선 차단 필터를 사용하면 가시광선 영역만 촬영이 되고, 쓰지 않으면 근자외성과 근적외선 영역도 같이 촬영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Date2023.12.1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285
    Read More
  10. 12P/Pons-Brooks 혜성 정보

    폰-브룩스 혜성은 주기가 71년인 단주기 혜성입니다. 1954년 근일점을 돌아나간 후, 내년(2024년)에 다시 태양에 접근할 예정입니다. 특기할 점이 있다면, 근일점이 0.78 천문단위로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지 않으면서도 태양에 근접할 때마다 맨눈으로 충분히 ...
    Date2023.12.0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