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09.08.12 00:25

광해 지도

조회 수 1197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lpmaps2.png


한반도 전체의 광해 지도입니다.


지도에서 옅은 회색-파랑-연두-노랑-주황-빨강-흰색순으로 광해가 심한 지역입니다.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은 광해가 없거나 거의 없는 곳입니다.

 

지도에서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과 옅은 회색 지역은 별을 보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달빛이 없다면 완전히 깜깜한, 매우 어두운 하늘을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파란색 지역과 연두색 지역도 완벽하지는 않아도 별을 보기에는 상당히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노란색 지역은 아주 좋지는 않지만, 도시 근교에서 적당히 별을 볼 수 있는 정도의 하늘입니다. 노란색 지역도 날이 맑다면 은하수가 뚜렷하게 보이고 대기가 투명한 좋은 날씨라면 은하수의 농담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페르세우스 이중 성단 정도는 맨 눈으로 무난히 볼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사진 촬영도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점상 촬영은 물론이고 몇 시간 정도의 노출이 필요한 일주 운동이나 성운, 은하 촬영도 별 무리없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주황색부터는 천체 관측에 문제가 생깁니다.

주황색 지역은 관측 조건이 뛰어난 맑은 날에 맨 눈으로 5등급 정도의 별까지 관측이 됩니다. 지역에 따라 6등급의 별이 관측할 수도 있겠지만 쉽지 않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이중 성단도 주의깊게 살펴본다면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맨눈으로는 찾기는 어렵습니다. 은하수는 형체만 어렴풋이 확인되는 정도입니다. 망원경을 쓰면 비교적 밝은 천체는 관측이 가능하지만 밝은 천체라 할지라도 세부적인 관측, 어두운 부분이나 어두운 천체의 관측은 좀 어렵습니다. 사진 촬영의 경우, 점상 촬영은 문제가 없고 짧은 시간 동안의 일주 운동 촬영도 가능합니다.

 

빨강이나 흰색 지역은 도시 지역의 하늘입니다. 극히 상태가 좋은 맑은 날에 4~5등급 정도의 별까지 볼 수 있습니다. 성단이나 은하는 맨눈으로 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매우 밝은 은하, 성단, 성운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지만, 관측이 가능하다는 정도에 만족해야 합니다. 사진은 점상 촬영은 가능하지만 일주 운동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행성 촬영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지도를 보면 남한은 대부분의 지역이 어느 정도의 광해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나마 관측 조건이 좋은 편이라는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지역 정도가 노란색,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남한에서 광해에서 자유로운 곳을 찾으라면 백령도, 흑산도처럼 외딴 섬이나 전라남도 서남쪽 해안의 일부 지역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 지역은 기상 조건이나 거리(관측 장비의 운반)의 문제로 인해 천체 관측에 그리 적합한 곳은 아닙니다.

이에 반해 북한 지역은 평양, 신의주, 휴전선 인근 지역을 제외하면 거의 광해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천체 관측에는 매우 좋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마고원 지역은 고도가 높고 건조한 편이라 관측 조건은 매우 뛰어날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한해협에서 포항 앞바다까지의 해상에서 광해가 심한 것은 조업중인 어선에 의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지도는 큰 것 한 장, 작은 것 한 장을 올립니다. 작은 지도는 이 게시물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큰 지도는 첨부 파일을 내려 받은 다음 압축을 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에서 보는 지도는 광해만 나타낸 지도입니다.

 

 lpmaps.png


자료 출처는 이렇습니다.

-대한민국 전도: 국토지리정보원
-광해 자료: The night sky in the World( http://www.inquinamentoluminoso.it/worldatlas/pages/index.htm )
 

**이 게시물은 아스트로노트에 이형철 님이 쓴 '어두운 밤하늘을 찾아서'라는 글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주소로 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astronote.org/board/index.php?print=&section=&menu=7255&table_name=basicobs&job=view&idx=28325&page=1&order=desc&sort=datetime&&search_title=&search_word=

TAG •
?

  1. No Image

    지구 궤도의 근일점 이동

    지구의 근일점이 이동하는 까닭은 다른 행성의 중력이 지구의 공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목성과 같은 커다란 행성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지구를 끌어당기면서 공전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할 수 있는데, 지구가 받는 이러한 영향은 금성, 화성 등...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720
    Read More
  2.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1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09. 2. 19.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1.0판에 있는 오류를 고친 배포판입니다. 2...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314
    Read More
  3. No Image

    대기 소광 효과 계산

    대기 소광 효과 계산 1. 대기 소광 효과란? 별빛(해나 달도 마찬가지)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으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조금씩 어두워집니다. 이렇게 대기로 인해 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대기 소광 효과라 합니다. 대기 소광은 별의 지평고도가 낮...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472
    Read More
  4. No Image

    간단한 사용법

    이 게시물은 [소스코드]해, 달, 행성의 위치 계산에 올려놓은 파일의 사용법입니다. 간단한 사용법부터 올립니다. 여기에서 설명한 천체의 위치는 모두 황도좌표계로 나타낸 값입니다. (1) 해의 위치 계산 이 함수는 해의 지구중심 좌표를 출력합니다. Private...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941
    Read More
  5. No Image

    [소스코드]해, 달, 행성의 위치 계산

    해와 달, 주요 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위치를 구하는 프로그램 소스코드입니다. 케플러 방정식을 푸는 고전적인 방식으로 주요 천체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정밀도는 황경 방향으로 10초, 황위 방향으로 4초 이내라고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449
    Read More
  6. [성도]Taki's 8.5 Magnitude Star Atlas

    토시미 타키(Toshimi Taki) 씨가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8등급 성도입니다. 이 성도는 전체적으로 Sky Atlas 2000과 비교할 수 있는 성도입니다(타키 씨의 성도가 Sky Atlas 2000보다 조금 더 자세한 편입니다). 표시되어 있는 별이 8.5등급 까지로 서로가 동...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102
    Read More
  7. [성도]Taki's Star Atlas

    토시미 타키(Toshimi Taki) 씨가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6등급 성도입니다. 모두 12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성도는 넓은 범위의 하늘을 담고 있으므로 천체의 전체적인 배치를 알아보거나 쌍안경을 이용해 밝은 천체를 찾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725
    Read More
  8. [성도]The Mag-7 Star Atlas

    천체 망원경과 관측 장비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사이트인 Cloudy Nights Telescope Reviews에서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성도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는 좋은 성도입니다. 이 성도에는 7.25등급까지의 별과 550여개의 성운, 성단, 은하가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353
    Read More
  9. [일식]어두워진 하늘

    2009년 7월 22일,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하늘이 어느만큼 어두워졌는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일식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같은 조건으로 촬영했습니다(노광 조건은 일식이 일어나기 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촬영 지역은 고령군(대구광역시 인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23
    Read More
  10. [일식]일식의 효과-기온 하강

    이번에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의 복사량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기온이 내려갔습니다(기상청 발표로는 2~4도). 여기에 실은 그림은 7월 22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8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