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22.09.27 23:38

올해 최고의 하늘을 만났습니다.

조회 수 13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관측일: 2022년 9월 21일

 

연이은 태풍 소식에 연일 흐린 하늘이 계속 되다, 간만에 맑은 하늘이 보여서 관측을 나갔습니다. 
마침 센터링 아이피스와 레이저 콜리메이터가 전부 도착한지라 망원경 부경의 오프셋부터 광축까지 싹 조절하고 행성이 떠오르길 기다렸습니다. 
11시쯤, 토성이 남중할 무렵에는 투명도는 좋았지만 시상은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토성의 고도가 30도 내외로 낮은 편이기도 했지만 시상이 평균 이하 정도밖에 안 되는지라 촬영 결과물의 선명도가 그리 좋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촬영이 진행될수록 시상이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고, 지난 한 달간 만난 시상 중에선 가장 좋은 편에 속했던지라, 목성이 높이 떠오르길 기다렸습니다. 그래도 목성은 고도가 높으니 꽤 괜찮지 않을까 기대되기도 했고요.

 

2022-09-20-1405_sat.jpg토성. 촬영 시 시상이 그리 좋지 않아 결과가 그다지 인상적이진 않습니다. 9월 20일 밤 11시 무렵. 2분씩 촬영한 10개의 영상을 상위 30%만 합성. Meade LightBridge 130 Mini + Svbony 3x + Baader Hyperion 2.25x

 

목성이 남중할 무렵, 망원경을 설치하고 목성을 촬영했습니다. 
망원경을 설치하고 카메라를 컴퓨터에 연결한 다음, 촬영을 시작했는데.. 
올해 들어 가장 좋은 시상을 만났습니다. 투명도 또한 아주 좋은지라, (행성 기준) 단연 올해 최고의 하늘이었는데요. 
목성의 줄무늬가 또렷하게 잡힙니다. 전날만 해도 초점 조차 잡히지 않을 정도의 시상이었던지라, 더 감탄스럽습니다. 

1장 짜리 영상(1분 촬영, 상위 40% 합성)을 처리한 결과를 우선 올립니다. 130mm 망원경을 썼는데, 여태 쓰던 150mm 망원경보다 결과가 좋은 듯 합니다. 디로테이션 처리를 거쳐 10장 정도를 합성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내일도 날씨가 괜찮을 듯 싶은데요, 관측하기 좋은 하늘을 계속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022-09-20-1552_9-jup.jpg목성. 올해 최고의 시상과 투명도를 만났습니다. 9월 21일 새벽 1시 무렵. 1분 촬영한 영상을 상위 40%만 합성. Meade LightBridge 130 Mini + Svbony 3x + Baader Hyperion 2.25x

?

  1. 도심 일주(2018.5.19.)

    길을 걷다 어디서든 별을 찍어 볼 요량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봤습니다. 앱에서 장노출을 지원하긴 하지만 아이폰 6S 카메라의 한계(최장 셔터시간이 1/3초)로 어두운 별이 찍히진 않네요. 그래도 나름 쓸만한 것 같습니다. 촬영부터 영상처리까지 모두 스...
    Date2018.05.19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87
    Read More
  2. C6으로 찍은 달(2018.3.30.)

    Celestron C6으로 찍은 달입니다. 한 시야로는 담을 수 없어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촬영한 다음 한 장으로 합쳤습니다. 조금 더 크게 찍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Date2018.03.31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61
    Read More
  3. LEO 80 달 촬영(2018년 3월 6일)

    두 번째 달 촬영입니다. 촬영 방법은 첫 번째와 같습니다. 선명도가 첫 번째 시도보다 더 뛰어나진 않습니다만, 달 전체 모습을 담았다는데서 의의를 찾아봅니다. - 시각 : 2018.3.6. 01:20 (KST) - 망원경 : LEO 80mm 굴절 - 사진기 : Olympus Pen-F
    Date2018.03.1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0889
    Read More
  4. LEO 80 굴절망원경 시험 촬영(2018년 3월 보름달)

    얼마 전 휴대용으로 가볍게 쓰기 위해 LEO 80 굴절 망원경을 구했습니다. 구경 80mm, 초점거리 500mm의 아크로메틱 굴절망원경으로 가격에 비해서는 제법 성능이 괜찮은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망원경이 가벼운 편이라 사진기용 삼각대를 쓰면 휴대성이 굉장...
    Date2018.03.0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853
    Read More
  5. 목성 지도 만들기

    망원경으로 촬영한 목성 사진을 이용해서 만든 목성 지도입니다. 이 예시는 2013년 12월 22일 촬영한 2장의 사진으로 만든 것인데요, 원본 사진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 못해서 인상적인 결과를 얻지는 못 했습니다. 목성 지도는 WinJUPOS라는 프로그램을 쓰면 ...
    Date2014.01.14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026
    Read More
  6. ISON 혜성(C/2012 S1) 관측기(2013.11.19.)

    스케치 그대로 올립니다. 같은 날 혜성을 촬영한 사진입니다. 위치확인만 가능한 정도입니다.
    Date2013.11.21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015
    Read More
  7. ISON 혜성(C/2012 S1), 수성, 화성 관측기(2013.11.16)

    2013년 11월 15일, ISON 혜성의 아웃버스트 소식을 듣고 16일 새벽 혜성관측을 위해 망원경을 챙겼습니다. 16일 새벽 5시 30분 경부터 6시 20분까지의 혜성과 함께 수성, 목성, 화성을 관측을 했습니다. 관측지는 서귀포시 정방동입니다. 중소도시이지만 시가...
    Date2013.11.1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485
    Read More
  8. No Image

    간단 관측기(2013.9.1, 9.8.)

    2013. 9. 1. - 서귀포시 정방동 - 구름 많지만, 하늘이 드러난 부분은 투명도 좋음. 은하수 안 보임. - 성단 위주로 관측. - 127mm MC 망원경 -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 밝게 보임. 별이 가득한 인상적인 모습. Tr2 : 5개의 별이 모인 독특한 배열. 4개의 선형 ...
    Date2013.09.14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655
    Read More
  9. No Image

    간단 관측기(2013.5.5)

    하늘에 구름은 없지만, 며칠째 이틀째 계속되는 연무로 인해 뿌옇게 흐린 상태입니다. 투명도는 낮지만, 시상은 비교적 괜찮습니다. 회절링이 약간 흔들리지만,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있을 정도는 됩니다. 망원경은 광축이 맞지 않아서 회절링이 한쪽으로 쏠...
    Date2013.08.1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478
    Read More
  10. No Image

    간단한 관측기(2013.8.1./8.9.)

    * 관측장소는 모두 서귀포시 정방동입니다. - 관측일 : 2013. 8. 1. 밤 - 관측장비 : 니콘 Action 10x50 쌍안경 - 투명도 : 4.5 (맨눈으로 4.5등급까지 보이는 상태) - 시상 : 보통(배율이 낮은 쌍안경 관측이라 시상은 그다지 의미는 없습니다) - 관측 천체 :...
    Date2013.08.1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144
    Read More
  11. C/2011 L4(PanSTARRS) 혜성 관측 후기(2013.3.16.)

    ▲ C/2011 L4(PanSTARRS) 혜성 스케치(2013년 3월 16일 19시 10분) 3월 16일, 예상보다 날씨가 좋아서 다시 혜성을 관측하러 갔습니다. 장소는 15일과 같습니다. 높은 구름이 약간 있었지만, 15일에 비해 대기의 투명도가 좋았습니다. 혜성 관측 이래 가장 좋...
    Date2013.03.1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469
    Read More
  12. C/2011 L4(PanSTARRS) 혜성 관측 후기(2013.3.15.)

    ▲ C/2011 L4(PanSTARRS) 혜성(2013년 3월 15일 19시 20분, 가시광+근적외) 3월 15일, 다시 혜성을 관측했습니다. 날씨는 11일보다 조금 더 좋았지만, 높은 구름이 약간 떠 있었고, 지평선 부근의 연무는 강도는 11일보다 약했지만, 여전히 있었습니다. 관측장...
    Date2013.03.16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309
    Read More
  13. C/2011 L4(PanSTARRS) 혜성 관측 후기(2013.3.11.)

    ▲ C/2011 L4(PanSTARRS) 혜성(2013년 3월 11일 19시 5분) 2013년 3월 11일, C/2011 L4(PanSTARRS) 혜성 관측을 다녀왔습니다. 관측장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화원동산입니다. 낙동강이 공원 서쪽으로 흐르고 있어 서쪽이 트여있어 시야가 좋고, 접근성...
    Date2013.03.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115
    Read More
  14.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기

    조금 전에 별똥비를 보고 왔어요(2009년 11월 18일). 새벽 4시 반부터 6시 조금 넘을 때까지.. 대도시가 가까이에 있어서 관측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별을 보기에는 정말 좋은 날씨라서 살짝 기대를 하고 나갔는데, 별똥별이 예상보다는 조금 적게 ...
    Date2009.11.1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372
    Read More
  15. 오랜만의 관측

    어제 오랜만에 관측을 했습니다. 날도 무척 맑고 공기도 투명하고 달도 없고.. 구름이 조금 있었지만 양은 적어서 관측에 특별히 방해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성도도 들고 나가지 않은 간단한 관측이라서 찾아본 천체가 많지는 않았지만 가슴 속에 묻혀있던 밤...
    Date2009.09.21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3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