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13.01.13 21:10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1.03)

조회 수 70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3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13. 1. 13.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수정 사항
-1.01: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고쳤습니다(음력 2033년 11월~2034년 1월 사이에 치윤이 잘못되는 문제). 
-1.02: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고쳤습니다(간혹 31일을 다음 달 0일로 출력하는 문제).

-1.03: 윤 12월이 있을 때 윤달을 잘못 표시하는 오류를 고쳤습니다(윤 12월이 2번 연속 표시되는 문제).


*지난 번에 올려놓은 1.0판과 비교했을 때, 기능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압축 파일 안에 있는 안내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참고: VB.Net용은 클래스로 만든 버전이 아닙니다. VB6용을 .Net에서 작동만 하도록 바꿔 놓은 것이라, 개체지향 모델은 적용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파일 받기 lunisolar103.zip

TAG •
?

  1. C/2011 L4(PanSTARRS) 혜성, 자세한 소식!

    * 혜성이 예상보다 훨씬 밝아지고 있습니다. 근일점 통과 전 0등급을 돌파하여 지금은 -1등급 정도에 이른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고도가 낮아 관측환경이 좋지 않지만, 이 추세라면 3월 중순 내내 1등급에서 2등급 사이의 밝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Date2013.02.2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073
    Read More
  2. 주요 시간체계 1

    현재 사용 중인 주요한 시간체계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1. 세계시(UT, Universal Time) 경도 0도에서의 평균태양시로 과거에 쓰던 GMT(그리니치평균시)를 대체합니다. UT는 지구의 회전과 관련이 있는 시간체계입니다. 1) UT0 : 관측지에서 측정한 평균태양...
    Date2013.01.2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575
    Read More
  3.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7

    음양력 변환 모듈에 대한 마지막 글입니다. 이번에는 양력을 음력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정확히는 율리우스적일로된 날짜를 음력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음력을 계산하는 함수는 단 하나입니다. LuniSolarCal: 율리우스 적일을 음력으로 ...
    Date2013.01.1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5507
    Read More
  4.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6

    이번 글에서는 음력을 양력으로 변환하는 함수와 음양력 변환에 쓰는 보조함수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양력을 음력으로 바꾸는 함수는 다소 긴 설명이 필요하므로 마지막 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에서 다룰 함수는 다음 3개 입니다. Sol2Lun: 양...
    Date2013.01.1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329
    Read More
  5.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5

    이번 편에서는 해의 절입시각 계산, 달의 정삭시각 계산에 사용하는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기시각은 중기 또는 절기에 이르는 순간의 시점, 정삭시각은 달이 삭에 이르는 순간의 시점입니다. 계산정확도가 1분 이내라면 대부분 정확하게 음양력을 계...
    Date2013.01.16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947
    Read More
  6.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4

    3번째 글을 쓴지 벌써 2년이 넘게 지났습니다. 오랫동안 손을 놓고 있었지만, 올해 겨울이 지나기 전에 이 시리즈를 완결토록 하겠습니다. 4번째 글에서는 태양의 위치 계산에 관한 부분과 장동 계산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는 모두 3개의 함수...
    Date2013.01.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453
    Read More
  7. C/2011 L4(PanSTARRS) 혜성 소식

    겨울 한파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한 달 보름만 더 기다리면 3월, 봄입니다. 다가올 2013년 봄에는 밝은 혜성이 방문한다는 소식이 있는데요, 2011년에 발견되어 지구로 다가오고 있는 C/2011 L4(PanSTARRS)이 그 주인공입니다. 이전의 예측에 따르면, 불확실...
    Date2013.01.1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639
    Read More
  8.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1.03)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3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13. 1. 13.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수정 사항 -1.01: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
    Date2013.01.13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088
    Read More
  9. 색깔있는 달

    2012년 7월 28일 찍은 달입니다. 왼쪽은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않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색을 도드라지게 강조한 사진입니다. 색을 강조한 사진에서 주로 바다 부분은 푸르스름하고 육지 부분은 붉으스레한 색을 띱니다. 이러한 차이는 달 표면을 이루는 물질의 ...
    Date2012.07.2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465
    Read More
  10. 2012년 6월 6일 금성의 태양면 통과

    6월 6일, 매우 드문 천문현상이 일어납니다. 바로 금성이 태양 앞을 지나가는 현상인데요, 한 세기에 두 번 정도 일어나는 매우 드문 현상입니다. 이번 세기에는 2004년 6월 8일에 이어 두 번째로 일어나는 금성의 태양면 통과인데요, 다음 발생은 2117년 12월...
    Date2012.05.2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2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2 Next
/ 2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