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13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서지(韓國書誌)』는 지금으로부터 120여년 전 프랑스의 서지학자인 모리스 꾸랑이 지은 서지 목록으로,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에서부터 구한말에 펴낸 '한성순보'까지 3821 종에 이르는 도서의 정보를 크게 9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은 한국학 연구에 아주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이희재 교수가 1994년에 번역하여 일조각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습니다(ISBN: 9788933701447). 대략적인 책 정보는 http://book.nate.com/detail.html?sbid=528986&sBinfo=info#pretext에서 볼 수 있습니다. 책의 원문은 http://www.krpia.co.kr/pContent/?svcid=KR&proid=116에서 열람할 수 있으나, 전체를 열람하려면 일정 수준의 비용이 들 수도 있습니다(머리말, 서론, 일러두기는 제약 없이 열람할 수 있습니다. 본문은 제 1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볼 수 있으나, 열람이 제한된 부분에도 책의 목록은 표시가 됩니다).


이 책에서 천문학에 관한 서지는 제7부 기예부의 제2장 천문류에 실려 있는데, 모두 32종의 도서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아래 목록은 한국서지에 소개되어 있는 천문학 관련 서지 목록으로 책 이름 앞의 번호는 한국서지에 실려 있는 목록 번호입니다.



1. 천문력(天文曆), 일월식(日月飾)의 측량 등
2339. 제가역상집(諸家曆象集)
2340. 추보첩례(推步捷例)
2341. 추보속해(推步續解)
2342. 칠정산(七政算, 七政籌)
2343. 시헌기요(時憲紀要)
2344. 역상본요(曆象本要)
2345. 태양출입표(太陽出入表)
2346. 규일고서(揆日考序)
2347. 시헌월리법(時憲月離法)
2348. 월리세초(月離細草)
2349. 교회력지(交會曆指)
2350. 오위력지(五緯曆指)
2351. 황적도거도표용법(黃赤道距度表用法)
2352. 삼원교회신서(三元交會神書)
2353. 항성표(恒星表) : 1책 12장의 필사본 항성표
2354. 시헌서(時憲書) 또는 역서(曆書)
2355. 백중력(百中曆) : 1770년부터 1874년
2356. 백중력(百中曆) : 1766년에서 1888년
2357. 시헌칠정백중력(時憲七政百中曆)
2358.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 1447년, 한글 인쇄본은 1447년 이후로 추정
2359. 역주(曆註) : 부제는 만년서(萬年書), 필사본
2360. 율력지(律曆志)
2361. 누주통의(漏籌通義)
2362. 신법누주통의(新法漏籌通義)
2363. 천문력법(天文曆法)
2364. 천문지(天文志) : 중국 저술의 발췌

2. 천문(天文)과 평면천체도(平面天體圖)
2365. 천문도(天文圖)
2366.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
2367. 혼천총성열차분야지도(渾天總星列次分野之圖)
2368. 천지도(天地圖).
2369. 보천가(步天歌)
2370. 신법보천가(新法步天歌)


-끝-

?

  1.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1.02)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2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11. 9. 2.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수정 사항 -1.01: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Date2011.09.0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484
    Read More
  2.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3

    이번에는 지난 번에 이야기한 대로 시간 계산에 쓰이는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이 모듈에 쓰이는 상수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원래 지난 번 글에서 다루어야 했지만 깜빡했네요. 1. 상수이 모듈은 모두 8개의 상수를 사용합...
    Date2010.09.14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646
    Read More
  3.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2

    아주 오래 쉬었습니다. 지난 번의 글에서 함수의 역할만 대강 설명을 했는데, 이번 글부터는 조금 더 자세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음양력 변환 함수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 함수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속 함수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먼저...
    Date2010.09.06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653
    Read More
  4. 새 혜성 C/2009 R1 (McNaught)

    C/2009 R1 (McNaught) ▲ 40년만에 나타난 대혜성, C/2006 P1 McNaught. 2007년 1월,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혜성과 별 관련은 없습니다만..(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omet_Mc...
    Date2010.06.1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608
    Read More
  5.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예전에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이라는 자료를 이곳에 올려 놓았습니다. 이 자료에는 음양력 변환을 할 수 있는 VB용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소스코드에는 주석이 거의 없어서 어떻게 음양력을 계산하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앞으로 몇 편...
    Date2010.02.0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675
    Read More
  6.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조선 세종대에 만든 천체 관측기기로 해가 없는 밤에도 별을 이용해 시각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 4월 15일에 4대를 완성했는데, 한 대는 사진처럼 용으로 장식을 해서 궁궐 내에 설치를 했고, 나머지 ...
    Date2010.02.0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10541
    Read More
  7. No Image

    관측자중심좌표계에 관하여

    관측자중심좌표는 지구 표면 위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나타낸 좌표계입니다. 이 좌표계는 관측자에게 실제로 관측되는 좌표를 알려줍니다. 관측자중심좌표를 구할 때에는 지구중심좌표에 아래 사항을 반영해주면 됩니다. 1) 항성-일주 광행차(diurnal aberratio...
    Date2010.01.2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008
    Read More
  8. No Image

    지구중심좌표계에 관해서

    지구중심좌표계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쓰는 좌표계 가운데 하나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입니다. 여기에서 지구의 중심은 지구 타원체의 중심입니다. 지구중심좌표계로 나타낸 위치에는 관측지에 따른 위치의 차이가 포함되어 ...
    Date2010.01.2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030
    Read More
  9. No Image

    국역이 이루어진 천문 관련 고서

    국역이 이루어져 있는 천문 관련 고서 목록입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펴낸 책을 번역한 것이지만 고려사 역지, 천문지, 오행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에는 이전 시대의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1. 천문류초(天文類抄) 옮긴이: 김수길, 윤상철 펴낸곳: 대유학당, 2...
    Date2010.01.2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573
    Read More
  10. No Image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펴낸 과학기술 관련 도서 142종의 문헌을 모아서 펴낸 책으로 모두 7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1~10권이 천문학 관련 도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천문 연...
    Date2010.01.2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66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