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09.09.21 00:26

오랜만의 관측

조회 수 53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제 오랜만에 관측을 했습니다.

날도 무척 맑고 공기도 투명하고 달도 없고..

구름이 조금 있었지만 양은 적어서 관측에 특별히 방해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성도도 들고 나가지 않은 간단한 관측이라서 찾아본 천체가 많지는 않았지만 가슴 속에 묻혀있던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다시 꺼내는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관측한 천체는 밝은 별 가까이에 있어 찾기가 수월한 천체였습니다. M29, M31(안드로메다 은하), M15, M57. 사용한 망원경은 구경이 76mm인 굴절 망원경입니다. '보그(Borg)'라는 상표로 나온 가벼운 망원경입니다.


1) M29

백조자리에 있는 작은 산개성단입니다. 2등급의 밝은 별인 감마 별의 남쪽으로 1.7도 정도 남쪽으로 내려가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화려하지는 않아도 네모꼴의 별무리가 기억에 남습니다.


m29.jpg


M29a.jpg  

(사진 출처: Wikipedia, http://hu.wikipedia.org/wiki/F%C3%A1jl:M29a.jpg )



2) M 15

페가수스 자리에 있는 밝은 구상성단입니다. 밝고(6.2등급) 밀집도가 높은 성단(우리 은하에 있는 구상성단 중에 가장 밀집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라 작은 망원경으로도 잘 보입니다. 이 성단도 무척 찾기 쉬운데, 페가수스의 머리를 이루고 있는 세타별과 엡실론 별을 이은 선을 따라가다 보면 약 4도 정도의 거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M13처럼 가까이에 2개의 별이 붙어 있어요.


m15.jpg 


 Messier_object_015.jpg

(사진 출처: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M15_%28%EC%B2%9C%EC%B2%B4%29 )



3) M 57

거문고자리에 있는 유명한 산개성단입니다. 어둡지만 크기가 작아서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을 할 수 있습니다. 감마별과 베타별 사이에서 찾을 수 있어요.


m57.jpg


m57x1.jpg

 (사진 출처: http://www.rigorigo.dk/Pic1.htm )



4)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M 31)와 그 주변에 있는 위성 은하 2개(M 32, M 110)는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M 31은 맨눈으로도 보이는 은하이니. 어제의 관측에서는 나선팔을 볼 수는 없었지만, 밝고 커다란 M 31의 중심핵과 두 개의 위성은하를 볼 수 있었습니다.


m31.jpg


M31_Lanoue.jpg 

(사진 출처: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File:M31_Lanoue.png )



?

  1. No Image

    각도 단위 변환

    (1) 각도의 기본 단위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360분법으로 표시하는 1도는 사방을 360으로 나눈 크기입니다. 1분은 1도를 60등분한 각이고 1초는 1분을 다시 60등분한 크기입니다. 분(arcminute)과 초(arcsecond)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인 분(minute), ...
    Date2009.10.21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6666
    Read More
  2. 적도좌표↔황도좌표

    천체의 좌표를 적도좌표에서 황도좌표 또는 황도좌표에서 적도좌표로 바꾸려면 아래 식을 쓰면 됩니다. 이 계산에 쓰이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λ : 황경 β : 황위 α : 적경 δ : 적위 ε :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 (1) 적도좌표에서 ...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3307
    Read More
  3. No Image

    항성시 계산(IAU1982)

    IAU1982에서 결정된 항성시 계산법은 IAU2000/2006에서 결정한 방법보다는 조금 더 간단합니다. 오래된 방법이지만 아마추어용 성도 투영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1) 그리니치 평균항성시 계산(GMST)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는 다음 식을 ...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565
    Read More
  4. No Image

    항성시 계산(IAU2000)

    IAU2000에서 결정한 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결정한 방법과 거의 같습니다. 겉보기 항성시, 지방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설명한 방법과 완전히 같고,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를 계산하는 식만 약간 다릅니다. 평균 항성시 계산에서 IAU2006...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971
    Read More
  5. No Image

    진황도경사각 계산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은 특정 시점의 실제 황도경사각으로 평균황도경사각(Mean obliquity of the ecliptic)에 장동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반영해주면 얻을 수 있습니다. 진황도경사각은 적도좌표와 황도좌표 사이의 상호 변환에 쓰...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923
    Read More
  6. 항성시 계산(IAU2006)

    항성시는 우주에 고정된 기준을 두고 이 기준점에 대한 겉보기 운동으로 측정하는 시간 체계입니다.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항성일)는 지구 공전의 영향으로 인해 태양시로 나타낸 하루(태양일)보다는 약간 짧습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태양일과 항성일의 길...
    Date2009.10.1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5783
    Read More
  7. 관측지 위치 구하기

    천체 관측과 천문 계산에서는 관측지의 좌표계로 세계측지계를 사용합니다. 세계측지계는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민간 측지계로, 경위도를 나타내는 기준인 좌표계로는 ITRF2000를 채택하고 지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가상적인 타원체로는 GRS80를 채택한 ...
    Date2009.10.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863
    Read More
  8. 평균 황도 경사각 계산

    황도경사각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이루는 각도입니다. 이 각도를 기호로 ε이라고 표기하며 현재 약 23.5도이지만 실제로는 22.1도에서 24.5도 사이의 범위에서 느리게 변화합니다. ▲ 황도 경사각의 정의 특정 순간의 평균황도경사각은 아래에 소개하는 식을 ...
    Date2009.10.1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502
    Read More
  9. No Image

    천문 상수

    천문 계산에 종종 쓰이는 천문 상수를 모아봤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원래의 문서를 살펴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07 http://www.kasi.re.kr/Knowledge/almanac_src/2007/2007_ch10_00....
    Date2009.10.0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324
    Read More
  10. No Image

    EMB에서 지구의 위치 계산하기 예제

    지구-달 질량 중심(EMB)으로 표시된 지구-달 계의 위치에서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이나 계산 원리는 이전에 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EMB에서 지구의 위치 보정하기 이 예제에서...
    Date2009.10.0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7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