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간단히 필드스코프로 천체 관측 구성을 만들어 봤습니다. 
특별한 것은 없고요. 천체 도입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등배파인더를 연결했습니다. 
필드스코프로 하늘을 볼 때는 특별한 기준점이 없다 보니 천체 도입이 늘 문제였는데, 등배파인더만 달아줘도 아주 수월해지네요.

20250104_204740.jpg

필드스코프 기종은 SV406P 80mm ED 버전입니다. 
적당한 접안렌즈를 고르면 행성 관측도 잘 됩니다. 
180배에서도 별상이 점으로 깔끔하게 떨어지고요. 목성은 대적반이나 줄무늬도 잘 보입니다.


​2.
필드스코프와 핸드폰으로 촬영한 목성과 화성의 어포컬 촬영했습니다. 
사용한 장비는 이렇습니다. 

​- 관측일시/장소: 2025년 1월 6일 23시 무렵, 대전
- 망원경: SV406P
- 접안렌즈: Explore Scientific 52° Eyepiece 3mm (배율 144배)
- 촬영도구: 갤럭시 S22 프로동영상 모드(해상도: 1920*1080), MSM TRIDAPTOR 어포컬 어댑터
 * 동영상은 디지털줌 2배로 촬영,  수동 노출,  수동 초점
- 처리: AutoStackkert 4,  Photoshop CC,  AstraImage 5

ES 3mm 접안렌즈는 천체 관측용으로는 꽤 쓸만한 성능을 보여주는, 비싸지 않은 접안렌즈입니다. 지상 관측 시에는 왜곡이 심해서 좋진 않습니다.  

촬영한 사진입니다. 
영상은 각각 1분씩 촬영했고, 상위 60%를 스택했습니다.  
화성은 극관과 표면의 주요 무늬를 충분히 잘 알아볼 수 있고, 목성도 5~6개 이상의 줄무늬가 보입니다. 

20250106_233906_mars.png
화성

20250106_234335_jupiter.png
목성과 위성. 목성 왼쪽 아래에 위성의 그림자가 보입니다. 

필드스코프이지만 80mm ED 굴절이라 나름 세부를 잘 보여줍니다. 눈으로는 사진만큼은 선명하진 않지만,  비슷한 느낌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간단히 관측하기에는 꽤 괜찮은 장비라고 생각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 관측기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1 file 창환 2025.02.15 725
209 관측기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file 창환 2025.02.07 68
208 관측기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file 창환 2025.01.25 95
» 관측기 필드스코프로 행성 관측하기(SV406P 80ED) file 창환 2025.01.08 102
206 천문장비 [장비 개조] Svbony MK105 최적화하기 file 창환 2025.01.06 83
205 천문 일반 C/2023 A3 츠진산-아틀라스 혜성 근황: 태양을 향해 뻗은 먼지꼬리 file 창환 2024.10.11 129
204 천문 일반 새로운 대혜성 후보, C/2024 S1 (ATLAS) 이야기 3 file 창환 2024.10.01 1128
203 천문 일반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 예측 file 창환 2024.10.01 173
202 관측기 도심에서 혜성 담기(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 2 file 창환 2024.09.28 194
201 천문 일반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 관측 정보 2 file 창환 2024.09.21 7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