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23.10.06 22:27

천문, 광학 장비 관련 국제 표준

조회 수 1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망원경과 천문장비 관련 국제 표준입니다. 
모든 제조사가 국제 표준을 따르진 않지만, 업계의 기준이 되는 자료입니다. 
한 번씩 읽어 두면 천문장비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이들 문서는 공개 문서가 아니며, 전문을 열람하려면 유료로 구입해야 합니다. 개별 문서 가격도 비싼 편이고요. 그래도 구글에서 검색을 하면 미리보기를 통해 상당 부분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특히 ISO 14132은 문서 길이가 짧은 편으로, 일부 미리보기 사이트에서는 거의 전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문서는 국역본으로 보실 수도 있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는 '나라표준인증' 사이트에서 국가 표준 내용 전체를 열람할 수 있는데, 일부 표준규격은 ISO를 그대로 따왔습니다. 이런 표준은 표준 번호도 ISO 번호와 똑같이 붙어 있으므로 쉽게 검색/열람할 수 있습니다. 

 

국가표준 검색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List.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

 

ISO 14132는 광학 관련 기초 용어, 정의를 정한 표준입니다. 

[ISO 14132] Optics and photonics — Vocabulary for telescopic systems
- ISO 14132-1:2015 Part 1: General terms and alphabetical indexes of terms in ISO 14132
- ISO 14132-2:2015 Part 2: Terms for binoculars, monoculars and spotting scopes
- ISO 14132-3:2021 Part 3: Terms for telescopic sights
- ISO 14132-4:2015 Part 4: Terms for astronomical telescopes
- ISO 14132-5:2008 Part 5: Terms for night vision devices

 

ISO 14134는 아마추어 망원경의 사양을 표시하는 방법과 허용 범위를 정한 표준입니다. 

[ISO 14134]
 ISO 14134:2006   Optics and optical instruments — Specifications for astronomical telescopes

 

ISO 14490는 광학장비 측정, 테스트 방법을 정한 표준입니다. 

[ISO 14490] Optics and photonics — Test methods for telescopic systems
- ISO 14490-1:2005  Part 1: Test methods for basic characteristics
- ISO 14490-2:2005  Part 2: Test methods for binocular systems
- ISO 14490-3:2021  Part 3: Test methods for telescopic sights
- ISO 14490-4:2005  Part 4: Test methods for astronomical telescopes
- ISO 14490-5:2021  Part 5: Test methods for transmittance
- ISO 14490-6:2014  Part 6: Test methods for veiling glare index
- ISO 14490-7:2016  Part 7: Test methods for limit of resolution
- ISO 14490-8:2011  Part 8: Test methods for night-vision devices
- ISO 14490-9:2019  Part 9: Test methods for field curvature
- ISO 14490-10:2021 Part 10: Test methods for axial colour performance

 

위의 3개 표준 외에 다음 표준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관련 표준] Optics and photonics 분야의 관련 표준
- ISO 9336-3:2020  Optical transfer function — Application — Part 3: Telescopes
- ISO 14133-1:2016 Specifications for binoculars, monoculars and spotting scopes — Part 1: General purpose instruments
- ISO 14133-2:2016 Specifications for binoculars, monoculars and spotting scopes — Part 2: High performance instruments
- ISO 14135-1:2021 Specifications for telescopic sights — Part 1: General-purpose instruments
- ISO 14135-2:2021 Specifications for telescopic sights — Part 2: High-performance instruments
- ISO 21094:2008    Telescopic systems — Specifications for night vision devices

 

다른 광학 관련 표준은 다음 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Standards by ISO/TC 172 Optics and photonics
https://www.iso.org/committee/53686/x/catalogue/

 

 

?

  1. No Image

    천문, 광학 장비 관련 국제 표준

    망원경과 천문장비 관련 국제 표준입니다. 모든 제조사가 국제 표준을 따르진 않지만, 업계의 기준이 되는 자료입니다. 한 번씩 읽어 두면 천문장비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이들 문서는 공개 문서가 아니며, 전문을 열람하려면 유료로 구입해야 합니...
    Date2023.10.0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26
    Read More
  2. Svbony SV208 8x50 정립파인더 리뷰

    Svbony SV208 8x50 정립파인더는 스보니(Svbony)에서 출시한 보급형 정립파인더입니다. 구경이 50mm, 배율 8배의 정립파인더로 암시야 조명장치까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격(10만원 초반대) 대비 꽤 매력있는 사양입니다. 이 제품이 실제로도 사양만큼 훌륭한 ...
    Date2023.10.06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65
    Read More
  3. 토성과 해왕성(2023. 10. 4.)

    연휴 마지막 날(2023년 1월 4일), 날이 맑아 간단히 행성을 관측했습니다. 애초 목표는 해왕성이었습니다. 이전에 올렸던, 태양계 행성 모음 사진에서 해왕성만 노이즈가 많은 저품질 사진인지라, 품질을 높여서 매끈하게 보이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함입니다. ...
    Date2023.10.04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35
    Read More
  4. 80mm 굴절 망원경 비교 - 아포크로매틱과 아크로매틱

    굴절망원경은 대물렌즈 설계에 따라 아크로매틱 망원경과 아포크로매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크로매틱(achromatic)은 2개 파장의 빛이 같은 곳에 초점을 맺도록 맞춘 망원경으로, 보통 2매 구성입니다. 색수차를 1매의 렌즈를 쓴것에 비해 크게 줄여주지...
    Date2023.09.10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685
    Read More
  5. 태양계 행성 모음(2023년, 2020~2023년)

    올해 찍은 행성을 모았습니다. 구경 150mm 망원경(C6 XLT)으로 올해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잘 나온 것만 골랐습니다. 거의 같은 장비 구성으로 촬영한지라 크기의 척도는 전부 거의 동일합니다.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의 모든 행성을 다 찍은 건 올해가 처음입니...
    Date2023.09.0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74
    Read More
  6. C/2023 P1 (Nishimura) 혜성 관측정보

    C/2023 P1 (Nishimura) 혜성은 대략 일 주일쯤 전, 태양에 비교적 근접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10등급 중반대의 혜성이지만, 궤도 계산 결과 올해 9월 18일쯤 근일점을 지나며, 약 3등급까지 밝아지리라는 예측이 나온 덕에 기대를 모으고 있...
    Date2023.08.1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02
    Read More
  7. Bresser Elfin 7X20 쌍안경 어포컬 사진

    보급형 기기인 브레서 엘핀 7x20 쌍안경으로 촬영한 바다 풍경입니다. 4만원 미만에서는 가장 뛰어난 기기라고 봅니다. 사진은 갤럭시 S10, 자동모드로 촬영했습니다.
    Date2023.08.13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419
    Read More
  8. New MS 20x70 쌍안경 어포컬 촬영 사진

    마이스코프 사에서 판매하는 New MS 20x70 쌍안경으로 촬영한 어포컬 사진입니다.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중심상과 주변상 모두 깔끔한 편입니다. 사진 촬영에 쓴 휴대전화는 삼성전자 갤럭시 S10입니다. 촬영은 자동 모드로 했습니다.
    Date2023.08.12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72
    Read More
  9. UV/IR 차단 필터 비교 – 스보니와 플레이어원

    자외선/적외선 차단 필터(UV/IR Cut filter) 두 가지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하나는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쓰이는 스보니(Svbony) 사의 핕터이고 하나는 플레이어원(Player One) 사의 필터입니다. 모두 보급형 제품으로 큰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가격도 다르고...
    Date2023.03.25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440
    Read More
  10. 정립프리즘에서 알아두면 좋은 것들

    천체망원경은 보통 상하좌우가 바뀌어서 보입니다. 그래서 지상을 관측할 때에는 상하좌우를 바꾸어주는 정립프리즘(erecting prism)을 쓰는데요. 정립프리즘을 준비하기 전에 알아 두어야 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만 이 글은 정립프리즘을 구입할 때...
    Date2023.02.21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3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