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22.02.02 14:30

태양관측과 UHC 필터

조회 수 38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호기심 삼아 UHC 필터를 태양 관측에 이용하면 어떨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광대역 필터라 크게 도움이 되진 않을 듯 했지만, UHC 필터는 태양 복사가 가장 강한 영역(녹색)의 파장을 차단하고, 적색과 청녹색 계열의 파장만 통과시키는지라 조금은 다르게 보이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1280px-Solar_spectrum_en.svg.png optolong_uhc.jpg

태양광의 파장 분포(출처: 위키피디아)와 옵토롱 UHC 필터의 투과 파장(출처: 옵토롱 홈페이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UHC 필터는 단독으로 쓰면 태양 관측에 별 도움이 안 됩니다. 오히려 표면 무늬의 대비가 낮아여 관측이 어려워집니다. 

그러나 UV-IR Cut 필터를 UHC 필터와 함께 쓰면 대비가 낮아지지 않습니다. 백반이 조금 더 강조되고 미립반의 무늬가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 정도로 영상의 특징이 조금 달라집니다. 백반을 강조하는 용도로는 UHC 필터를 추가로 사용하는 편이 더 좋아 보입니다. UHC 필터를 단독으로 썼을 때 대비가 낮아진 원인은 옵토롱 UHC 필터가 적외선을 잘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비교를 위해 사진을 촬영해 비교했습니다. 태양필터는 백색광을 그대로 보여주는 바더(Baader) 사의 필름형 필터를 썼고, 옵토롱에서 만든 UHC 필터를 장착했을 때와, 스보니(Svbony) 사의 UV-IR Cut 필터를 장착했을 때를 비교했습니다. 

- 촬영 일시: 2022. 1. 22.
- 망원경: 60mm ED 자작 굴절(유효구경 45mm)
- 필터: 바더(Baader) 필름형 태양 필터
- 보정렌즈: Baader Hyperion 2.25배 바로우렌즈(전체)
- 가대: AZ-GTi 경위대
- 카메라: ZWO ASI224MC
- 소프트웨어: ASICap, AutoStackkert 3, Photoshop

2022-01-22_UHC.jpg 2022-01-22-UVIRCut.jpg

UHC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왼쪽)과 UV-IR Cut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오른쪽)

보다시피 UHC 필터만 썼을 때에는 태양의 백반과 흑점이 덜 선명하게 보입니다. 다른 지역과의 밝기 차이가 줄어서 눈에 덜 띕니다. 그러나 UV-IR Cut 필터만 쓰면 무늬가 더 선명하게 도드라집니다. 필터를 하나만 쓴다면 UV-IR Cut 필터만 쓰는 편이 좋아 보입니다. 

ex1_uvir_uhc.jpg ex1_uvir.jpg

UHC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왼쪽)과 UV-IR Cut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오른쪽)

UV-IR Cut 필터와 UHC 필터를 함께 쓰면 결과가 조금 달라집니다. 이 사진에서는 둘 사이에 대비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미립반의 모습이 조금 다르게 나타납니다. 

ex2_uvir_uhc.jpg ex2_uvir.jpg

UHC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왼쪽)과 UV-IR Cut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오른쪽)

다른 예입니다. 이 사진은 둘이 제법 다릅니다. 태양 가장자리에 있는 백반은 UHC 필터를 쓴 쪽이 더 선명하고 잘 드러납니다. 미립반도 UHC 필터를 쓴 쪽이 더 잘 나타납니다만,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선명도는 두 사례 모두 UHC 필터를 추가로 쓴 쪽이 더 좋습니다. 이 부분은 초점 조절 문제인지, UHC를 써서 대물렌즈의 색수차의 영향을 조금 줄여준 덕인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추가로 촬영을 해 보아야 확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요약한다면 UV-IR Cut 필터를 함께 쓰는 경우에 한해서 UHC 필터를 함께 써도 좋을 듯 합니다. 백반이 더 잘 드러나고,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조심스럽지만, 예시로 든 사례에서는 선명도도 더 좋습니다(이 부분은 굴절 망원경과의 조합에서 비롯된 특성일 수 있음). 그러나 녹색 파장대의 빛이 상당량 차단되어 노출 시간을 더 늘여주어야 하므로(날씨가 좋다면 노출 증가는 문제가 거의 안 되긴 합니다), 환경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 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1. 달 지도 3종 소개

  2. 올해 최고의 하늘을 만났습니다.

  3. 새로 들인 반사망원경(Meade Lightbridge 130 Mini)

  4. 스보니(Svbony) 5배 바로우 렌즈 사용기

  5. 태양관측과 UHC 필터

  6. 초망원렌즈를 망원경으로 쓰기(삼양 500mm 렌즈)

  7. C6 망원경에 함께 쓰는 부속품 소개

  8. [행성 촬영] 스택 비율에 따른 선명도 비교

  9. 콘도르 7x30 쌍안경 간단한 사용기

  10. 셀레스트론 C5, C6 XLT 망원경 광축 조절 나사 교체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