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14.10.19 21:20

아이패드에서 쓸만한 천문 앱

조회 수 22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SkySafari

- 제작사 : Southern Stars

- 홈페이지 : http://www.southernstars.com/products/skysafari/


safari1.png


iOS 기반 천문앱으로는 최고의 앱입니다. iOS 계열에는 실제 천체관측에 쓰기보다는 화면으로 즐기기 위한 앱이 많은 편인데, 이 앱은 실제 천체관측에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앱입니다. 야외에서 실제로 관측하면서 전자성도로 쓸 수 있는 앱으로는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주요 기능은 성도를 그려주는 것인데, 성도가 꽤 예쁘게 그려지고, 천체 위치 계산도 정확한 편입니다. 

태양계 행성의 주요 위성들과 혜성, 소행성 위치도 계산해주며, 천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태양계를 여행하듯 볼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특징적인 기능으로는 WiFi를 통해 망원경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망원경 제어를 위해서는 별도의 부속품을 구입해야 함)과, Sky and Telescope의 SkyWeek가 통합되어 있다는 것이 있습니다. SkyWeek는 천문소식지인데, 미국 기준으로 쓰여있긴 하지만 각종 천문현상을 살펴보는 용도로는 괜찮습니다. 


지금(2014년 10월)은 버전이 4까지 나와 있지만 버전 3과 기능상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진 않습니다. 

기능과 천체 자료의 양에 따라 3가지 에디션으로 나뉘어 있는데, 중간 버전인 Plus 에디션 정도면 실사용에 필요한 기능은 거의 포함되어 있습니다. 


* 같은 프로그램이 안드로이드 용으로도 나와 있지만, 대개가 그렇듯이, iOS용 버전이 기능이 더 많고 완성도가 높습니다.  

* 얼마 전 Celestron에서 망원경을 새로 발매하면서, 'Cosmos Navigator'라는 앱을 무료로 공개했습니다. 이 앱은 SkySafari 4 기반으로 만들어진 앱으로, 대부분의 기능을 SkySafari 4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kySafari 4를 무료로 쓰거나, 체험해보고 싶다면 'Cosmos Navigator'를 설치해서 쓰면 됩니다(iOS와 안드로이드 버전 모두 있습니다). 



2. Satellite Safari

- 제작사 : Southern Stars

- 홈페이지 : http://www.southernstars.com/products/satellite_safari/index.html


safari2.png


SkySafari의 인공위성 버전입니다. 인공위성의 위치를 하늘에 표시해주고, 지도 위에 그려주는 기능이 주 역할입니다. 인공위성 관측에 관심이 있다면 추천할만 합니다. 인공위성 위치를 계산해주는 앱으로는 가장 뛰어납니다. SkySafari만큼은 아니지만, 별자리나 행성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것 같은 기본적인 성도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 Exoplanet

- 제작 : Hanno Rein

- 홈페이지 : http://exoplanetapp.com/


exo.png


외계 행성 정보를 보여주는 앱입니다. 

외계 행성 정보 앱으로는 최고의 완성도를 보여줍니다(안드로이드와 윈도우까지 다해도 이 분야에서는 단연 돋보이는 앱입니다). 

천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굉장히 깔끔하게 표시해주고, 관련된 정보도 충실히 보여줍니다. 천체 자료도 자주 갱신됩니다. 외계 행성 탐사에 흥미가 있다면 필수적인 앱이 아닐까 합니다. 


 

4. Sky Guide: View Stars Night or Day

- 제작사 : Fifth Star Labs LLC

- 홈페이지 :  http://fifthstarlabs.com/


sg1.png


sg2.png


iOS 용으로 쓸 수 있는 사진성도 앱입니다. 기능은 그리 많지 않지만, iOS의 천문앱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현실적인 밤하늘 모습을 모여줍니다. 가시광선 외에도 적외선, 자외선,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파장으로 볼 수 있고, 주요 천체에 대한 간단한 설명도 제공해줍니다. 확대율에 제한이 커서(아래 가운데 그림이 최대로 확대한 상태입니다.) 실제로 밤하늘에서 망원경과 함께 쓰기에는 부족하지만, 화면으로 즐기기에는 굉장히 좋습니다. iOS 8 부터는 위젯 기능을 써서 주요 행성의 뜨고 지는 시각을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제법 유용합니다(아래 오른쪽 그림). 



5. Emerald Observatory for iPad

- 제작사 : Emerald Sequoia LLC

- 홈페이지 : http://emeraldsequoia.com/eo/index.html


es.png


천문시계 앱입니다. 해와 달, 주요 행성이 뜨고 지는 시각과 박명시각, 행성 위치와 식 현상 정보, 항성시, 태양시, 세계시, 달의 위상을 등을 한 번에 보여주는 천문시계 앱입니다. 시각적으로 예쁘고, 그날 어떤 행성을 관측할지 대강 살펴보기에 편합니다. 



* 같은 종류의 앱이라면 보통 iOS 쪽이 안드로이드 계열보다는 완성도가 높은 편이지만, 천문앱 쪽은 사정이 좀 다릅니다. 개별 앱의 완성도는 iOS 용으로 나온 앱이 좋은 편이지만, 다양성 측면에서는 안드로이드 계열이 훨씬 풍부합니다. 앱의 특성도 약간 다른데, iOS 쪽은 화면으로 보고 즐기기 위한 앱이 많은 반면, 안드로이드 쪽은 천문 계산이나 실제 외부에서 활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앱이 더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천문학 앱에 관한 한 안드로이드 계열의 앱 생태계가 iOS 계열의 앱 생태계에 밀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

  1. 위상차 보정 코팅과 확인법

    위상차 보정 코팅은 루프프리즘을 쓰는 쌍안경에 적용하는 코팅입니다. 좋은 광학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필요한 코팅이지만,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므로 상대적으로 비싼 고급 쌍안경에만 적용됩니다(포로 프리즘을 쓰는 쌍안경엔 근본적으로 불필요한 않은 코...
    Date2017.02.0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827
    Read More
  2. 아이패드에서 쓸만한 천문 앱

    1. SkySafari - 제작사 : Southern Stars - 홈페이지 : http://www.southernstars.com/products/skysafari/ iOS 기반 천문앱으로는 최고의 앱입니다. iOS 계열에는 실제 천체관측에 쓰기보다는 화면으로 즐기기 위한 앱이 많은 편인데, 이 앱은 실제 천체관측...
    Date2014.10.1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288
    Read More
  3. [소개] 안드로이드 최고의 천문 앱, Mobile Observatory

    안드로이드 기반의 천문 앱 가운데 가장 훌륭한 앱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Mobile Observatory'와 'SkySafari'라는 두 앱을 꼽을 수 있을 겁니다. 적어도 글쓴이의 취향엔 이 둘이 가장 좋았습니다. 두 앱은 모두 유료이지만, 그만한 값어치를 합니다. 이...
    Date2014.07.05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64515
    Read More
  4. 태양필터를 만들었어요.

    미루고 미루다 태양필터를 만들었습니다. Apex 127 망원경에 쓸 필터인데요, 전체 구경을 다 활용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었습니다. 재료는 Baader AstroSolar 필름, 빨간색 골판지, 검정색 하드보드지입니다. (Baader AstroSolar 필름은 비닐로 만들어져 있어...
    Date2014.07.0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23
    Read More
  5. [소개] Lunafaqt sun and moon info

    이번에 소개할 "Lunafaqt sun and moon info"라는 앱은 달의 월령 달력을 보여주는 앱입니다. 해에 관한 정보도 알려주긴 하지만, 뜨고 지는 시각 정도만이라 거의 달에 관한 정보를 주는 프로그램으로 보면 됩니다. 달의 위상과 뜨고 지는 시각, 거리 정도를 ...
    Date2014.05.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687
    Read More
  6. [소개] 안드로이드에서 쓰는 성도 앱, Astro Tools

    앞으로 몇 회에 걸쳐 안드로이드 계열의 태블릿 PC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천문 프로그램을 소개토록 하겠습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앱들은 전화기에서도 문제없이 쓸 수는 있지만, 활용성 측면에서 태블릿 PC에 더 적당합니다. 처음으로 소개할 앱은 Astro...
    Date2014.04.0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709
    Read More
  7. 행성촬영에 좋은 두 가지 프로그램

    행성이나 이중성, 달처럼 먼 곳에 있는 피사체를 고해상도로 확대해서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는 한 장으로 찍는 것 보다는 여러 장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한 다음 한 장으로 합치는 것이 화질에서 훨씬 유리합니다. 대기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한 장만 ...
    Date2013.12.2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505
    Read More
  8. ISON 혜성(C/2012 S1)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지난 11월 13~14일(한국시 기준), ISON 혜성이 24시간만에 2등급 이상 밝아지는 갑작스런 증광(Outburst)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이전까지 7.5~8등급 정도에 작고 조그맣게 보이던 혜성은 하루 아침에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6등급 초반대로 밝아졌고(17일 기준...
    Date2013.11.1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0742
    Read More
  9. ISON 혜성(C/2012 S1), 좀 더 자세한 소식

    C/2012 S1 ISON 혜성이 점점 지구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최적의 관측시기는 11월 말에서 12월 초이므로 아직 여유가 있지만, 관측을 위한 조금 더 자세한 소식을 올립니다. 이 혜성은 전체적으로 남반구보다 북반구에서 더 관측하기가 좋은 편입니다. 최대 ...
    Date2013.08.0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149
    Read More
  10. ISON 혜성(C/2012 S1) 소식

    ▲ 허블우주망원경에서 촬영한 ISON 혜성(2013.4.10). (사진 출처 :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13/14/image/a/ ) 지난번에 ISON 혜성에 관한 소식을 간단히 전했습니다. 그 소식을 전하고 3달 정도 지났는데요, 이제 4달 후면 혜성...
    Date2013.07.2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792
    Read More
  11. 망원경 이슬방지 후드 만들기

    슈미트-카세그레인식이나 막스토프-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은 망원경 앞쪽에 커다란 보정판이 붙어 있고, 뉴턴식 반사망원경도 앞쪽에 부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들 망원경은 이슬이 내리기 쉽기 때문에 이슬 방지를 위한 장치를 함께 쓰는 때가 많은데요, 망...
    Date2013.05.2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696
    Read More
  12. 어떤 망원경을 고르는 게 좋을까?

    천체 망원경을 사고 싶은데, 어떤 망원경이 좋을까요? 이미 별을 보는 게 익숙하다면 망원경을 고르는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겠지만, 밤하늘 관측에 취미를 붙이고 첫 망원경을 고를 때라면 꽤 망설여지는 문제입니다. 예전에 비해서 많이 싸지긴 했지만, 천...
    Date2013.05.1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062
    Read More
  13. 망원경의 실질 집광력에 관하여

    지난 번 글에서 망원경에서 일어나는 빛의 손실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 글에서 쉽게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은 굴절망원경에 비하여 반사망원경은 빛 손실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구조적으로 부경을 쓸 수밖에 없고, 특수한 코팅 방법을 쓰지 않는 한, 거울의 ...
    Date2013.04.2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473
    Read More
  14. 망원경 시스템의 빛 손실에 관하여

    * 반사율 부분 설명에 잘못된 부분이 있어 고쳤습니다(2013. 4. 23.). 망원경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빛을 모으는 것입니다. 커다란 렌즈나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많이 모아서 어두워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천체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것, 이것이 가장 기본적...
    Date2013.04.2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245
    Read More
  15. No Image

    11월 방문할 ISON 혜성(C/2012 S1)에서 주목할 것들

    최신의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쓴 아래 기사도 참고하세요. ISON 혜성(C/2012 S1), 좀 더 자세한 소식 - http://blueedu.dothome.co.kr/xe/16782 올해 11월 말에서 12월 초 세기의 대혜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 ISON 혜성(C/2012 S1)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
    Date2013.04.0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8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