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14.05.11 18:16

[소개] Lunafaqt sun and moon info

조회 수 38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번에 소개할 "Lunafaqt sun and moon info"라는 앱은 달의 월령 달력을 보여주는 앱입니다. 해에 관한 정보도 알려주긴 하지만, 뜨고 지는 시각 정도만이라 거의 달에 관한 정보를 주는 프로그램으로 보면 됩니다. 


달의 위상과 뜨고 지는 시각, 거리 정도를 알려주는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지만, 달에관한 정보를 훑어보기에 좋고, 비교적 깔끔한 사용자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각, 박명시각도 함께 표시해주며, 한 달 단위로 월령 달력을 만들어주는 기능, 현재의 달과 해 정보를 위젯으로 보여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 앱은 현재(2014년 5월) 구글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앱 하단에 광고가 표시되긴 합니다. 


아마도 안드로이드 2.3 이상이면 잘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Lunafaqt sun and moon info

구글 플레이 주소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lunafaqt


프로그램을 받고 처음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위치는 GPS에서 받아올 수도 있고, 경위도를 직접 입력해 주어도 됩니다. 


main.png


가운데에 달의 모습을 커다랗게 그려주고, 왼쪽에 달이 뜨고 지고 남중하는 시각, 오른쪽에 위강과 현재 위치하고 있는 별자리를 알려줍니다. 아래쪽에는 달의 거리, 고도와 방위각, 월령을 보여주고, 오른쪽에 해가 뜨고 지는 시각과 박명 시각을 표시해줍니다. 박명시각은 천뭄/시민/항해 박명 가운데 하나만 표시할 수 있는데, 설정화면에서 고르도록 되어 있습니다. 


cal_moon.png 


'Lunar Calendar'라고 쓰인 버튼을 누르면 1달치 달의 위상을 그려줍니다. 오늘 날짜는 빨간색으로, 보름과 상현, 하현, 그믐은 흰색 테두리를 둘러 알아보기 쉽게 표시합니다. 다른 앱과 비교했을 때 그래픽이 깔끔하게 표시되는 편이라 보기에 좋습니다. 관측 계획을 세울 때 도움이 되기도 하고요. 


위젯을 써서 안드로이드 기기의 바탕화면에 해와 달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widget.png 


위젯은 두 종류 가운데 하나를 고를 수 있습니다. 해와 달의 정보를 모두 표시(2x1)하는 것과 달만 표시(1x1)하는 것이고요,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각, 달의 위상을 간단히 보여주는 겅도입니다. 위젯에 달력기능이 없는 것은 조금 아쉽습니다. 


기능 자체가 단순한만큼 설정도 간결합니다. 


setup.png


관측지의 경위도와 시간권 설정, 표시 단위와 달력에 관간 간단한 설정, 위젯 투명도와 글자 크기, 박명시각 종류를 지정해주는 정도입니다. 


Lunafaqt sun and moon info 앱은 용도가 굉장히 뚜렷한 앱입니다. 기능은 달의 주요 정보를 보기 편하게 알려주는 것이 전부인데요. 기능은 딱 필요한 만큼만 넣고, 간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한 게 장점인 앱입니다. 

?

  1. 망원경의 실질 집광력에 관하여

    지난 번 글에서 망원경에서 일어나는 빛의 손실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 글에서 쉽게 추정할 수 있는 부분은 굴절망원경에 비하여 반사망원경은 빛 손실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구조적으로 부경을 쓸 수밖에 없고, 특수한 코팅 방법을 쓰지 않는 한, 거울의 ...
    Date2013.04.2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639
    Read More
  2. 망원경 시스템의 빛 손실에 관하여

    * 반사율 부분 설명에 잘못된 부분이 있어 고쳤습니다(2013. 4. 23.). 망원경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빛을 모으는 것입니다. 커다란 렌즈나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많이 모아서 어두워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천체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것, 이것이 가장 기본적...
    Date2013.04.2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359
    Read More
  3. No Image

    11월 방문할 ISON 혜성(C/2012 S1)에서 주목할 것들

    최신의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쓴 아래 기사도 참고하세요. ISON 혜성(C/2012 S1), 좀 더 자세한 소식 - http://blueedu.dothome.co.kr/xe/16782 올해 11월 말에서 12월 초 세기의 대혜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 ISON 혜성(C/2012 S1)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
    Date2013.04.0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913
    Read More
  4. C/2011 L4(PanSTARRS) 혜성, 4월까지의 소식

    지난 3월 중순, 혜성 관측자들을 들뜨게 했던 C/2011 L4(PanSTARRS) 혜성은 이제 태양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서서히 어두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밝은 혜성(밝기에 비해 상당히 작긴 하지만..)의 면모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3월말까지는 2~3등급으로 밝...
    Date2013.03.2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809
    Read More
  5. C/2011 L4(PanSTARRS) 혜성, 자세한 소식!

    * 혜성이 예상보다 훨씬 밝아지고 있습니다. 근일점 통과 전 0등급을 돌파하여 지금은 -1등급 정도에 이른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고도가 낮아 관측환경이 좋지 않지만, 이 추세라면 3월 중순 내내 1등급에서 2등급 사이의 밝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Date2013.02.2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073
    Read More
  6. C/2011 L4(PanSTARRS) 혜성 소식

    겨울 한파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한 달 보름만 더 기다리면 3월, 봄입니다. 다가올 2013년 봄에는 밝은 혜성이 방문한다는 소식이 있는데요, 2011년에 발견되어 지구로 다가오고 있는 C/2011 L4(PanSTARRS)이 그 주인공입니다. 이전의 예측에 따르면, 불확실...
    Date2013.01.1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639
    Read More
  7. 색깔있는 달

    2012년 7월 28일 찍은 달입니다. 왼쪽은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않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색을 도드라지게 강조한 사진입니다. 색을 강조한 사진에서 주로 바다 부분은 푸르스름하고 육지 부분은 붉으스레한 색을 띱니다. 이러한 차이는 달 표면을 이루는 물질의 ...
    Date2012.07.2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465
    Read More
  8. 2012년 6월 6일 금성의 태양면 통과

    6월 6일, 매우 드문 천문현상이 일어납니다. 바로 금성이 태양 앞을 지나가는 현상인데요, 한 세기에 두 번 정도 일어나는 매우 드문 현상입니다. 이번 세기에는 2004년 6월 8일에 이어 두 번째로 일어나는 금성의 태양면 통과인데요, 다음 발생은 2117년 12월...
    Date2012.05.2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260
    Read More
  9. 2012년 6월 4일 부분월식

    지난 2011년 12월 10일에 있었던 개기월식의 기억이 남아있어서인지, 올해 6월 4일 있을 부분월식에 대한 관심은 덜한 편입니다. 올해 6월 4일에는 보름달이 뜰 때 달의 일부가 이지러진 상태로 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시작 부분은 볼 수 없고, 본영식의...
    Date2012.05.2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503
    Read More
  10. 안전한 태양관측법

    오는 6월 6일에 있을 금성의 태양면 통과, 5월 21일의 부분일식, 2013년 극대기를 앞두고 활발해진 흑점 활동 관측.. 요즘들어 태양을 바라볼 일이 자주 생겼습니다. 그러나 눈부신 빛과 강렬한 자외선으로 인해서 태양을 직접 바라보는 건 무척 위험합니다. ...
    Date2012.05.2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3069
    Read More
  11. 2012년 5월 21일 금환식(부분일식)

    다음주 월요일인 5월 21일, 중국 남부에서 시작되어 동중국해, 일본, 북태평양을 지나 미국 남서부를 가로지르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아쉽게도 한국은 금환식이 일어나는 지역보다 북쪽에 자리잡고 있어 부분일식으로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식이 ...
    Date2012.05.1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821
    Read More
  12. 새 혜성 C/2009 R1 (McNaught)

    C/2009 R1 (McNaught) ▲ 40년만에 나타난 대혜성, C/2006 P1 McNaught. 2007년 1월,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혜성과 별 관련은 없습니다만..(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omet_Mc...
    Date2010.06.1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724
    Read More
  13. 2010년 1월 15일의 금환식(국내는 부분일식)

    올해 1월 15일에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이번 금환일식은 아프리카에서 시작해서 인도양을 거쳐 중국 산동반도에서 끝이납니다. 금환식의 지속 시간은 최대 11분 이상으로 긴 편에 속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부분일식으로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Date2010.01.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6357
    Read More
  14.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 2001년에 촬영한 사자자리 유성우. 별똥별과 다른 별똥별이 남긴 흔적 사자자리 유성우(Leonids)는 템펠-터틀 혜성(55P/Tempel-Tuttle)을 모혜성으로 하는 유성우입니다. 평소에는 평범한 수준의 활동을 보이지만 33년에 한 번 꼴로 대규모 유성우 현상을 ...
    Date2009.11.05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6971
    Read More
  15. [책]쉽게찾는 우리별자리

    -제목: 쉽게찾는 우리별자리 -저자: 이태형, 김한준, 이주형 -출판사, 펴낸 날: 현암사 (1993년 10월 30일) -분량: 336쪽 -크기: 112 x 210 mm -ISBN-10: 8932307792 국내에서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가인 이태형씨가 쓴 별자리 안내서입니다. 현암사에서 펴내...
    Date2009.09.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63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