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09.11.18 06:59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기

조회 수 637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0_7173m.jpg


100_7186en.jpg


100_7187en.jpg


조금 전에 별똥비를 보고 왔어요(2009년 11월 18일).

새벽 4시 반부터 6시 조금 넘을 때까지..


대도시가 가까이에 있어서 관측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별을 보기에는 정말 좋은 날씨라서 살짝 기대를 하고 나갔는데, 별똥별이 예상보다는 조금 적게 떨어진 듯 합니다. 5시를 넘어가면서부터 조금 늘어나는 것 같기도 했는데..


2001년과 비교한다면, 떨어지는 유성의 개수가 훨씬 적었고(예측으로도 훨씬 적었지만), 전체적으로 별똥별의 크기도 작고 밝기도 많이 어두운 편이었습니다. 3등급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밝은 별똥별은 한 시간에 15~30개 정도 떨어진 것 같고, 유성흔을 남긴 것도 3~4개 정도 보긴 했는데, 2001년에 비할 바는 아니었습니다.


사진은 코닥에서 만든 P880이라는 카메라로 찍어 봤는데(셔터 속도가 1분까지 가능한), 희미하게 3개 정도 찍혔습니다. 사진 촬영은 실패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 외에 특별한  점이 있다면 TRMM이라는 인공 위성을 본 것 정도. 5시 38분 경, 사자자리를 가로지를 때 가장 밝게 보였는데, 밝기가 0.5등급 정도는 되는 것 같았습니다. 처음에는 ISS 아닌가 싶었는데, 찾아보니 TRMM이라는 기상 관측 위성입니다.

?
  • ?
    김은경 2009.11.18 11:17
    혁준이도 보고 잔다며 난리더니 너에게 새벽5시경에야 볼 수 있다는 말에 그냥 잠자리에 들던걸. 아이들도 너무 보고 싶어 했는데 아쉽네. 사실 여건이 좋지 않아 시간이 맞더라도 얼마나 볼 수 있었을지도 의문이긴 하지만...
  • profile
    창환 2009.11.19 14:02

    도심에서 별똥별을 보기는 쉽지 않았을 듯..

    대략 20년쯤 후에 이 별똥별이 크게 떨어질 것 같은데..

  • ?
    준희 2009.11.30 09:56

    맙소사! 20년 후엔 '성층권에서 유성관찰 투어'가 개발 될지도 모르겠다.

  • profile
    창환 2009.11.30 10:54

    이미 지금도 성층권에서 비행기로 별똥별 관측을 하고 있어. 천문학자가 아닌 일반인들은 참여하지 못해서 그렇지..


  1. 이리듐 플레어 촬영 2차 시도

    날씨는 크게 나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그리 성공적이지 않네요. 배경은 고니자리입니다. 아래 사진은 별자리 선을 대강 그려 넣은 사진.. (2009-6-25)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610
    Read More
  2. 이리듐 플레어 촬영

    사진은 이리듐 플레어입니다. 가운데에 조그맣게 그려진 하얀 선이 위성 흔적입니다.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진입니다. 예측대로라면 20시 17분 경에 이리듐 위성이 밝게 빛나야 했고, 관측 결과 그렇게 되었습니다만, 사진을 제대로 찍지는 못했습니다. 예상 ...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1877
    Read More
  3. 목성, 토성 그림

    예전에 그렸던 목성, 토성 그림. 토성은 그림자로 인해 약간 어색합니다.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701
    Read More
  4. 이리듐플레어

    이리듐 플레어 현상을 촬영하려다 실패했습니다. 이리듐 위성의 위치와 밝기를 계산해보니 관측에 매우 좋아보였습니다. 고도는 57도에 밝기는 -8등급.. 시간은 오후 8시 44분이니까 하늘도 적당히 어두운 때입니다. 그런데 밖을 보니 하늘에는 구름이 잔뜩.....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494
    Read More
  5. [일식]어두워진 하늘

    2009년 7월 22일,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하늘이 어느만큼 어두워졌는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일식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같은 조건으로 촬영했습니다(노광 조건은 일식이 일어나기 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촬영 지역은 고령군(대구광역시 인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31
    Read More
  6. [일식]일식의 효과-기온 하강

    이번에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의 복사량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기온이 내려갔습니다(기상청 발표로는 2~4도). 여기에 실은 그림은 7월 22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818
    Read More
  7. [일식]기상위성에 잡힌 달 그림자

    7월 22일 기상위성에 촬영된 달의 그림자입니다. 기상위성의 가시광 영상은 구름에 반사된 빛을 담기 때문에, 일식이 생기면 달이 드리우는 그림자가 찍히게 됩니다.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가시광 영상입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합쳤습...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8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