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13.09.14 19:14

간단 관측기(2013.9.1, 9.8.)

조회 수 366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3. 9. 1.

- 서귀포시 정방동

- 구름 많지만, 하늘이 드러난 부분은 투명도 좋음. 은하수 안 보임.

- 성단 위주로 관측.

- 127mm MC 망원경

-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 밝게 보임. 별이 가득한 인상적인 모습.

  Tr2 : 5개의 별이 모인 독특한 배열. 4개의 선형 배열 끄트머리에 하나의 구부러진 별.

  M 103 : 그다지 볼품이 없어 보이는 성단. 밝은 별 4개와 그냥 뿌옇게 보이는 빛무리.

  올뺴미성단 : 두 개의 밝은 별과 어두운 별이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고 그 사이에 별무리가 보임. 올뺴미라는 이름이 어울림.

  NGC 663 : 밝은 별은 없지만, M 103보단 훨씬 인상적임.

  M 45 : 따로 설명할 필요 없음

  M 31 : 밝은 핵, M 32 같이 보임.

  M 34 : 밝지만, 크게 화려하진 않음. 일그러진 나비모양.

  M 57 : 고리 모양 뚜렷함.

  토성, 금성 : 시상은 그다지 좋은 편 아님.



2013. 9. 7.

- 서귀포시 정방동

- 구름 적고 맑은 하늘. 투명도 4.5~5. 은하수 안 보임.

- 저~중배율 위주 관측이라 시상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음.

- 127mm MC, 20mm 프뢰슬 접안렌즈.

- M 15 : 아주 밝은 핵이 보임. 50mm 파인더에서도 뚜렷.

  M 2 : M 15와 비슷함. 밝고 집중된 핵. 50mm 파인더에서도 뚜렷.

  M 57 : 행성상성운 중 가장 보기 쉬운듯 보임. 고리모양이 뚜렷하게 보임.

  M 27 : 밝지만, 표면 광도는 M 57보다 훨씬 어두움, 크고 흐릿한 직사각형의 성운기가 쉽게 관찰되긴 함.

  M 30 : 비교적 밝은 솜뭉치 모양이지만 M 2, 15보단 작고 어두움,

  M 72, 75 : 확인 안 됨.

  M 71 : 흐릿한 솜뭉치 모양으로 겨우 식별이 가능함. 크기가 작은 편은 아님(M 15보다 훨씬 어둡지만 크기는 비슷한 느낌)

  M 11 : 밝은 별과 흐릿한 성운기가 잘 어울림. 50mm 파인더에서도 뚜렷.

  M 31 : 핵은 매우 밝음. 은하의 핵과 양옆으로 약간 긴 성운기가 보임.  M 32는 잘 보이지만, M 110은 잘 안 보임. 

  토성성운(NGC 7009) : 매우 밝음. 표면광도가 매우 높아서, M 57보다 더 잘 보임. 단, 크기가 작아서 낮은 배율에서는 별과 잘 구분이 안 됨. 초점이 맞지않는 별과 비슷한 모양. 작은 타원형으로 보이고 밝지만, 작아서 무늬를 알아보기는 어려움.

?

  1. 이리듐 플레어 촬영 2차 시도

    날씨는 크게 나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그리 성공적이지 않네요. 배경은 고니자리입니다. 아래 사진은 별자리 선을 대강 그려 넣은 사진.. (2009-6-25)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631
    Read More
  2. 이리듐 플레어 촬영

    사진은 이리듐 플레어입니다. 가운데에 조그맣게 그려진 하얀 선이 위성 흔적입니다.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진입니다. 예측대로라면 20시 17분 경에 이리듐 위성이 밝게 빛나야 했고, 관측 결과 그렇게 되었습니다만, 사진을 제대로 찍지는 못했습니다. 예상 ...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1959
    Read More
  3. 목성, 토성 그림

    예전에 그렸던 목성, 토성 그림. 토성은 그림자로 인해 약간 어색합니다.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715
    Read More
  4. 이리듐플레어

    이리듐 플레어 현상을 촬영하려다 실패했습니다. 이리듐 위성의 위치와 밝기를 계산해보니 관측에 매우 좋아보였습니다. 고도는 57도에 밝기는 -8등급.. 시간은 오후 8시 44분이니까 하늘도 적당히 어두운 때입니다. 그런데 밖을 보니 하늘에는 구름이 잔뜩.....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502
    Read More
  5. [일식]어두워진 하늘

    2009년 7월 22일,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하늘이 어느만큼 어두워졌는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일식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같은 조건으로 촬영했습니다(노광 조건은 일식이 일어나기 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촬영 지역은 고령군(대구광역시 인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42
    Read More
  6. [일식]일식의 효과-기온 하강

    이번에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의 복사량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기온이 내려갔습니다(기상청 발표로는 2~4도). 여기에 실은 그림은 7월 22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831
    Read More
  7. [일식]기상위성에 잡힌 달 그림자

    7월 22일 기상위성에 촬영된 달의 그림자입니다. 기상위성의 가시광 영상은 구름에 반사된 빛을 담기 때문에, 일식이 생기면 달이 드리우는 그림자가 찍히게 됩니다.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가시광 영상입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합쳤습...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8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