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09.08.12 01:58

대기 소광 효과 계산

조회 수 1132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기 소광 효과 계산


1. 대기 소광 효과란?

별빛(해나 달도 마찬가지)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으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조금씩 어두워집니다. 이렇게 대기로 인해 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대기 소광 효과라 합니다. 대기 소광은 별의 지평고도가 낮을수록 심하게 일어납니다(고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대기를 통과하기 때문).


2. 대기 소광 효과의 계산


(1) 대기량(X)

별빛이 통과하는 대기의 양을 나타낸 수치입니다. 지평고도가 90도일때를 1로 정의합니다.

대기량을 X, 별의 지평고도를 H(도)라하면 다음 공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X = 1/[sin H + 0.025 exp(-11 sin H)]

이 식은 고도 0도 미만에서는 별 의미가 없는 값을 반환합니다.


(2) 대기 소광 계수(k)

대기 소광 계수는 대기를 통과할 때 별이 어느정도 어두워지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빛의 파장과 대기의 기압,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사람의 눈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녹색 빛의 경우 평균적으로 0.28 정도입니다(지표). 계절에 따른 변화를 보면, 대기가 건조하고 맑은 겨울은 0.25, 습한 여름은 0.32 정도로 겨울철의 값이 더 작습니다.


(3) 대기 소광량의 계산

대기 소광은 별빛이 통과한 대기량에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계산을 합니다. 별의 원래 등급(대기가 없는 우주에서 관측한 밝기)를 m0, 대기 소광 이후의 밝기를 m이라 두면 m은 아래 식을 써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m = m0 + k * X

대기량 X는 (1)에 설명한 식으로, 대기 소광 계수는 (2)에서 설명한 값을 쓰면 됩니다.

만일 m0가 대기량이 1일때의 밝기라면(대기권 내에서 관측한 값이라면) 위의 식은 이렇게 고칠 수 있습니다.

m = m0 + k * (X-1)



*참고*

대기량을 구하는 식은 (1)에서 쓴 것 외에 다른 식을 쓸 수 있습니다.

제가 쓰는 식은 아래 식입니다(VB 코드입니다).


'대기량 계산
Public Function AirMass(ByVal Alt As Double) As Single
Dim SecZ As Single, SecZ1 As Single

If Alt >= 3 Then
'3도 미만에서는 무의미한 공식임
SecZ = 1 / Sind(Alt): SecZ1 = SecZ - 1
AirMass = ((-0.0008083 * SecZ1 - 0.002875) * SecZ1 - 0.0018167) * SecZ1 + SecZ
Else
'수치해에서 구한 근사값, 0.8751131 은 위의 식이랑 맞춰주기 위한 상수
AirMass = 0.8751131 * ((((((-0.00003 * Alt + 0.0011) * Alt - 0.0119) * Alt - 0.0369) * Alt + 1.5089) * Alt - 10.893) * Alt + 36.049)
End If
End Function

TAG •
?
  • ?
    .. 2023.03.29 19:34
    안녕하세요, 혹시 본문에 있는 식을 도출하게 된 자료나 논문이 있을까요?
  • profile
    창환 2023.03.30 00:44
    여기에서 관련 근거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Air_mass_(astronomy)

    2절 (1)의 식은 위키페이지에서 Rozenberg (1966)와 같은 식입니다.
    VB 코드 내의 식은 Hardie (1962) 식입니다.
  • ?
    무독성폭약 2023.05.29 02:02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저는 과학탐구실험으로 태양계로 꼬치를 만들게 되었는데 고전역학을 제외한다면 태양계 내에서만 어떤 변수들이 있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 ?
    창환 2023.05.29 09:25
    안녕하세요. 태양계로 꼬치를 만든다는 게 무슨 의미일까요?

  1.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1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09. 2. 19.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1.0판에 있는 오류를 고친 배포판입니다. 2...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252
    Read More
  2. No Image

    대기 소광 효과 계산

    대기 소광 효과 계산 1. 대기 소광 효과란? 별빛(해나 달도 마찬가지)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으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조금씩 어두워집니다. 이렇게 대기로 인해 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대기 소광 효과라 합니다. 대기 소광은 별의 지평고도가 낮...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322
    Read More
  3. No Image

    간단한 사용법

    이 게시물은 [소스코드]해, 달, 행성의 위치 계산에 올려놓은 파일의 사용법입니다. 간단한 사용법부터 올립니다. 여기에서 설명한 천체의 위치는 모두 황도좌표계로 나타낸 값입니다. (1) 해의 위치 계산 이 함수는 해의 지구중심 좌표를 출력합니다. Private...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878
    Read More
  4. No Image

    [소스코드]해, 달, 행성의 위치 계산

    해와 달, 주요 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위치를 구하는 프로그램 소스코드입니다. 케플러 방정식을 푸는 고전적인 방식으로 주요 천체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정밀도는 황경 방향으로 10초, 황위 방향으로 4초 이내라고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363
    Read More
  5. [성도]Taki's 8.5 Magnitude Star Atlas

    토시미 타키(Toshimi Taki) 씨가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8등급 성도입니다. 이 성도는 전체적으로 Sky Atlas 2000과 비교할 수 있는 성도입니다(타키 씨의 성도가 Sky Atlas 2000보다 조금 더 자세한 편입니다). 표시되어 있는 별이 8.5등급 까지로 서로가 동...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058
    Read More
  6. [성도]Taki's Star Atlas

    토시미 타키(Toshimi Taki) 씨가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6등급 성도입니다. 모두 12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성도는 넓은 범위의 하늘을 담고 있으므로 천체의 전체적인 배치를 알아보거나 쌍안경을 이용해 밝은 천체를 찾는데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681
    Read More
  7. [성도]The Mag-7 Star Atlas

    천체 망원경과 관측 장비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사이트인 Cloudy Nights Telescope Reviews에서 만들어 배포하고 있는 성도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는 좋은 성도입니다. 이 성도에는 7.25등급까지의 별과 550여개의 성운, 성단, 은하가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300
    Read More
  8. [일식]어두워진 하늘

    2009년 7월 22일,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하늘이 어느만큼 어두워졌는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일식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같은 조건으로 촬영했습니다(노광 조건은 일식이 일어나기 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촬영 지역은 고령군(대구광역시 인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05
    Read More
  9. [일식]일식의 효과-기온 하강

    이번에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의 복사량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기온이 내려갔습니다(기상청 발표로는 2~4도). 여기에 실은 그림은 7월 22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774
    Read More
  10. [일식]기상위성에 잡힌 달 그림자

    7월 22일 기상위성에 촬영된 달의 그림자입니다. 기상위성의 가시광 영상은 구름에 반사된 빛을 담기 때문에, 일식이 생기면 달이 드리우는 그림자가 찍히게 됩니다.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가시광 영상입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합쳤습...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8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