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안렌즈. 2배 바로우 성능 평가
1. 징후아 2배 바로우는 성능이 괜찮음. 아크로매트 방식이지만 색수차가 거의 보이지 않고 선예도도 잘 유지됨.
2. 오리온 시리우스 25mm : 중저가 제품으로 성능이 좋음. 대비 높고 선예도 잘 나옴.
3. 징후아 와이드 10mm : 광학성능에서 그리 좋은 편 아님. 최소한 고배율용 접안렌즈로는 그리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함. 확대촬영용으로도 마찬가지.
4. 시리우스 25 + 2배 바로우, 2배 바로우 + 징후아 천정미러 : 천정미러의 성능은 무난한 편. 상의 품질에 거의 영향 안 줌. 시리우스 아이피스와 징후아 2배 바로우의 궁합도 좋은 편. 123배, 184배에서도 선예도가 무난하게 유지됨. 징후아 와이드 10mm 단일 사용 시보다 시리우스 + 바로우 조합이 광학 성능이 좋음.
5. 징후아 와이드 10mm + 2배 바로우 : 중간에 있는 먼지가 관측에 방해가 됨. 또한 정확한 초점을 맞추기 어려움. 결국 와이드 10mm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6. 징후아 프뢰슬 40mm : 시야가 44도로 좁은 것만 빼면 광학성능은 무난함. 밝은 천체 볼 때 고스트 상 생김.
흥미로운 이론이 있어요. 태양이 지구의 구름 생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인데요,
지구의 구름은 우주선(cosmic ray)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답니다. 우주선이 대기 중에 미세한 먼지를 만들고 이것이 구름의 생성을 부른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태양활동이 활발해지면 태양의 자기장이 강해지고, 강력한 자기장이 태양계 안으로 우주선이 진입하는 걸 막아 지구로 쏟아지는 우주선의 양을 줄인답니다. 그래서 태양활동이 약해지면 지구로 들어오는 우주선의 양이 늘어나고 구름의 양이 많아진다는 겁니다. 구름의 양이 많아지면 반사율이 늘어나 지구의 기온이 낮아지겠지요(태양 활동 감소로 인한 복사량 감소도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기후변화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 같아요).
CERN의 한 곳에서 우주선과 구름생성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는데, 우주선이 많을수록 작은 먼지의 생성이 늘어나는 걸 확인했다고 합니다. 우주선이 증가하면 구름의 양이 늘어난다는 걸 간접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증거가 되죠.
한편 일본의 어스시튤레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선 작은 먼지와 큰 먼지에 따른 구름의 성질 차이도 확인해 보았다는데요, 큰 먼지로 생긴 구름은 구름이 발달하면 쉽게 비로 바뀌어서 수명이 짧은 반면, 작은 먼지로 생긴 구름은 비로 쉽게 바뀌지 않아서 구름의 수명이 길어진다고 해요. 이건 다른 말로 태양활동이 약화되어생긴 구름은 오래간다는 뜻이고, 구름의 효과를 강화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어요. 결국 태양활동의 약화는 지구의 우주선 유입 증가를 뜻하고 이는 지구를 덮는 구름의 증가와 구름 수명 증가를 뜻해요. 지구를 냉각하는 피드백 작용이 강화되는 것이에요.
상당히 흥미로운 이론이에요. 앞으로의 검증이 기대가 되는데요.
지구, 우리의 삶이 얼마나 예민하고 민감하게 다른 것과 영향을 주고 받는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주어요. 우리가 아는 것이 참으로 작구나, 그런 느낌도 주고. 우주와 지구가 함께하고 있다는 증거가 될 것 같기도 해요. 우리가 겸손해야 할 이유이기도 하겠죠.
아파치 서버 리다이렉션
http://httpd.apache.org/docs/2.0/misc/rewriteguide.html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png [nc]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css [nc]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jpg [nc]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js [nc] RewriteCond %{REQUEST_FILENAME} !^.gif [nc] RewriteCond %{HTTP_USER_AGENT} "Firefox/2"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Firefox/1"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Flock/1"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Camino/1"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9"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8"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7"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6"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5"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4"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3"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2"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Opera/1"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Safari/4"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Safari/3"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Safari/2"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Safari/1"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Navigator/"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6"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5"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4"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3"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2" [or] RewriteCond %{HTTP_USER_AGENT} "MSIE 1" RewriteRule . upgrade.html [L]
성도 0.8.36에서 찾기 기능은 굴절 반영이 되었을 때, 고도가 -2도 이하일 때 생김.
이는 Ref_R2A 함수가 -2도 이상일 때만 계산값을 출력하고 그 이하는 0을 반환하기 때문임.
또한 0~-2도 사이의 고도는 정확한 위치로 찾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Ref_R2A와 Ref_A2R 함수가 서로 계산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대기 굴절(실제 좌표->겉보기 좌표, -2도까지만.), 단위: 도, 섭씨, 헥토파스칼
Public Function Ref_R2A(ByVal H As Double, ByVal Pres As Single, ByVal temp As Single) As Double
Dim r As Double, TP As Double
If H >= -2 Then
TP = (Pres / 1010) * (283 / (273 + temp))
r = 1.02 / Tand(H + 10.3 / (H + 5.11)) + 0.0019279
Else
r = 0
End If
Ref_R2A = (r / 60) * TP
End Function
------------------------
혜성을 좌표고정 기능으로 추적하면 화면 가운데에서 약간 떨어진 지점으로 고정되는 문제가 있음.(원인 불명)
글리제 목록
(Gliese Catalogue of Nearby Stars)
The Gliese Catalogue of Nearby Stars is a frequently referenced, modern star catalogue of stars located within 25 parsecs (81.54 ly) of the Earth.
목록 받기 : http://www.zah.uni-heidelberg.de/ari/databases/
ARICNS 목록 안에 글리제 목록이 포함되어 있음. http://wwwadd.zah.uni-heidelberg.de/datenbanken/aricns/index.htm
전산처리 가능한 버전: http://wwwadd.zah.uni-heidelberg.de/datenbanken/aricns/files/cns3type.htm
CNS3 판임. 3R판은 아직 구할 수 없음.
http://en.wikipedia.org/wiki/Gliese_Catalogue_of_Nearby_Stars
자폐증 딸이 아이들에게 피해를 주지않을까 늘 걱정하던 아버지는 딸이 아파 몇주 학교에 못 나가자 학부모들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한다. "따님이 있음으로 인해 우리 아이들이 서로 배려하려는 경쟁이 있었는데 따님 없으니 아이들이 공격적으로 변했어요ㅠ"
"따님이 아이들의 인성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이제서야 알게되었습니다. 따님이 빨리 학교에 돌아오길 기다리고 있어요. 그립습니다." 이것은 자폐 장애 딸을 둔 아버지가 자신의 저서에서 기술한 내용이다. 미국 학교의 사례다.
부모강좌나 교사 연수교육에서 빼놓지 않고 말하는 사례이다. 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이 함께 어울리며 경쟁적으로 함양되는 배려 문화가 우리 교육현장에서부터 형성되길 바라는데, 과연 지금 통합교육이 그러한지? 장애자녀 부모의 피눈물은 그렇지않다고 대답한다.
천근아 교수의 트위터에서(https://twitter.com/Dr_Cheon_Keunah).
안드로이드 전화기 - 아이패드 블루투스 테더링
(사용 용도)
아이패드가 와이파이 전용일 때, 외부에서 블루투스 테더링을 이용해 와이파이 접속 가능
전화기는 이동통신사의 와이파이존에서 와이파이 접속이 가능하지만 아이패드는 별도의 서비스 가입 없이는 와이파이 연결이 안 됨. 이 때 휴대전화로 와이파이에 연결하고 블루투스 테더링으로 아이패드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음(아이패드 뿐만 아니라 다른 타블렛 PC도 가능).
1. 안드로이드폰 설정
- 블루투스테더링을 사용하도록 설정
(환경설정-추가설정-테더링 및 휴대용 핫스팟-블루투스 테더링)
- 블루투스 기능을 켜고
- 상대방의 기기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2. 아이패드 설정
- 블루투스를 켜고
- 안드로이드 폰 검색
- 안드로이드 전화기와 쌍으로 연결
3. 두 기기가 쌍으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안드로이드 전화기의 블루투스 테더링이 활성화 됨.
- 아이패드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