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성 촬영] 스택 비율에 따른 선명도 비교

    행성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럭키 이미징(lucky imaging) 기법을 많이 씁니다. 대기의 흔들림을 극복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사진을 대량을 촬영한 다음(보통 동영상으로 기록), 선명한 사진만 골라서 모은 평균 영상을 만들고, 이를 선명하게 만드는 방법입...
    Date2021.10.2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812
    Read More
  2. 복합 광학계 초점 조절장치 개선 팁(행성 촬영)

    복합광학계를 이용해서 행성을 촬영할 때에는 초점 조절이 만만치 않습니다. 손으로 초점조절 노브를 돌리려다 보면 정밀한 조작이 어렵기도 하지만, 아무리 조심스럽게 조작해도 진동이 아주 크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미동 포커서나 ...
    Date2020.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856
    Read More
  3. 행성촬영에 좋은 두 가지 프로그램

    행성이나 이중성, 달처럼 먼 곳에 있는 피사체를 고해상도로 확대해서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는 한 장으로 찍는 것 보다는 여러 장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한 다음 한 장으로 합치는 것이 화질에서 훨씬 유리합니다. 대기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한 장만 ...
    Date2013.12.2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528
    Read More
  4. 2012년 6월 6일 금성의 태양면 통과

    6월 6일, 매우 드문 천문현상이 일어납니다. 바로 금성이 태양 앞을 지나가는 현상인데요, 한 세기에 두 번 정도 일어나는 매우 드문 현상입니다. 이번 세기에는 2004년 6월 8일에 이어 두 번째로 일어나는 금성의 태양면 통과인데요, 다음 발생은 2117년 12월...
    Date2012.05.2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1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