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력에서 지구의 위치를 표시할 때 주로 쓰는 EMB(Earth-Moon Barycenter, 지구-달 질량 중심)는 지구와 달의 질량 중심을 가리키는 약호입니다. 지구와 달은 공동의 질량 중심인 EMB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두 천체가 도는 계에서 질량 ...
EMB에서 지구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같은 시각의 EMB의 일심황도좌표, 달의 지심황도좌표를 구합니다. 이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도록 합시다. EMB의 일심황도좌표: LE(황경), BE(황위), RE(해-지구 거리) 달의 지심황도좌표: LM(황경), BM(...
플램스티드 성도(Atlas Coelestis)를 열람할 수 있는 곳이 있네요. 17~18세기에 유럽에서 발행된 대표적인 성도 가운데 하나로, 당시 유럽의 성도가 대강 어떤 형태로 발행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보세요. http://contentdm....
-제목: 쉽게찾는 우리별자리 -저자: 이태형, 김한준, 이주형 -출판사, 펴낸 날: 현암사 (1993년 10월 30일) -분량: 336쪽 -크기: 112 x 210 mm -ISBN-10: 8932307792 국내에서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가인 이태형씨가 쓴 별자리 안내서입니다. 현암사에서 펴내...
TRIATLAS 성도는 Jos? R. Torres와 Casey Skelton가 만든 성도입니다. 일부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우수한 품질을 보여줍니다. A4(또는 US letter) 또는 A3(또는 타블로이드 용지) 용지에 인쇄해서 쓸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내려받을 수 ...
이 글은 다음 게시물에서 첨부한 파일의 사용법입니다. [프로그램 소스]행성의 위치를 계산(DE404)하는 DLL 파일 http://blueedu.dothome.co.kr/xe/815 아래 코드는 설명서에 있는 코드입니다. 이 소스 코드는 비주얼베이직 6에서 쓸 수 있습니다. 이 소스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