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55)
-
- 2024년 첫 관측(목성, 오리온자리)
- 2024년들어 첫 관측을 했습니다. 70mm 짜리 작은 막스토프 망원경으로 행성과 이중성 위주로 간단히 촬영했습니다. 망원경의 온도 평형이 덜 이뤄진 상태에서 촬영한 까닭에 경통 내부에 대류가 생겨서, 별상이 조금 ...
창환 | 2024-01-09 21:38 | 조회 수 260
-
- 초망원렌즈를 망원경으로 쓰기(삼양 500mm 렌즈)
- 얼마 전 활동하는 카페에서 저렴한 가격에 삼양 500mm F8 Preset 망원렌즈를 내놓으신 덕에 구했습니다. 가끔 해나 달 촬영에도 쓰고, 간단한 휴대용 망원경으로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들였는데요. 광학성능은 아...
창환 | 2022-01-16 22:52 | 조회 수 34982
-
- [행성 촬영] 스택 비율에 따른 선명도 비교
- 행성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럭키 이미징(lucky imaging) 기법을 많이 씁니다. 대기의 흔들림을 극복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사진을 대량을 촬영한 다음(보통 동영상으로 기록), 선명한 사진만 골라서 모은 평균 영...
창환 | 2021-10-20 22:18 | 조회 수 832
-
- 보급형 60mm 망원경으로 찍은 달(2020.3.30.)
- 보급형 60mm 단초점 망원경인 미드 어드밴처 스코프 60으로 촬영한 달입니다. 천체 망원경으로는 아주 저렴하게 나온 제품이라 망원경의 만듦새는 상당히 떨어지지만(구입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한 일이 망원경의 허술...
창환 | 2020-03-30 23:42 | 조회 수 865
-
- 도심 일주(2018.5.19.)
- 길을 걷다 어디서든 별을 찍어 볼 요량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봤습니다. 앱에서 장노출을 지원하긴 하지만 아이폰 6S 카메라의 한계(최장 셔터시간이 1/3초)로 어두운 별이 찍히진 않네요. 그래도 나름 쓸만한 것 ...
창환 | 2018-05-19 18:07 | 조회 수 399
-
- 옵티크론 사바나(Savanna) 6x30 WP 어포컬 사진 모음
- 옵티크론 사바나(Savanna) 6x30 쌍안경을 이용해서 찍은 어포컬 사진 모음입니다. 카메라는 대부분 아이폰 6s입니다. 아래쪽에 대형 센서가 달린 카메라(올림푸스 E-M10)을 사용해 찍은 예제도 있습니다. 사진 아래에...
창환 | 2017-11-06 01:08 | 조회 수 413
-
- 토성(2014. 6. 18.)
- 처음 찍어보는 토성입니다. 최근 한 두 달간, 섬이라 그런지 밤만 되면 구름이 가득해져 한동안 망원경을 꺼낼 일이 없었습니다. 6월 중순을 넘어서면서 제주는 본격적인 장마철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한동안...
창환 | 2014-06-19 00:24 | 조회 수 819
-
- 대보름 보름달(2014.2.14)
- 2014년 정월대보름 때 뜬 보름달입니다. 첫번째 사진은 평범한 사진, 두 번째 사진은 색을 강조한 사진입니다. 날씨는 맑았지만, 시상이 좋지 않아서 선명하진 않습니다. (Apex127 + E-M5) 색을 강조한 사진입니다. ...
창환 | 2014-02-15 15:15 | 조회 수 1509
-
- 목성(2014.1.26.)
- 2014년 1월 26일 밤에 촬영한 목성입니다. 투명도도 4~5 정도로 좋고 시상도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는 GSO의 5배 바로우와 Apex 127mm 막스토프-카세그레인 망원경, 올림푸스 E-M5입니다. 노출시간 15초 정...
창환 | 2014-01-28 11:44 | 조회 수 1613
-
- 목성(2014.1.24.)
- 2014년 1월 24일 촬영한 목성입니다. 해가 바뀌고 계속 시상이 좋지 않았는데, 오랜만에 시상이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의 구성이 이전과 약간 바뀌었습니다. 징후아의 2배 바로우렌즈 대신 GSO의 5배 바로우...
창환 | 2014-01-25 01:11 | 조회 수 154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