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71)

  •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1]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40mm 망원경으로 어떤 정도의 관측이 가능한지 다시 실험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SV165 대신 60mm ED 굴절망원경에 마...
    창환 | 2025-02-15 16:19 | 조회 수 761
  • 목성과 화성(2025. 1. 23.)
    새로 촬영한 목성과 화성입니다. 이번에는 사전에 1시간 정도 충분히 냉각을 한 상태로 촬영을 시작했습니다. 광학계 구성은 지난 1월 17일과 같습니다. 날씨도 맑고, 시상도 비교적 좋은 편이라 같은 구성에서도 결...
    창환 | 2025-01-24 12:53 | 조회 수 133
  • 목성과 화성(2025. 1. 17.)
    간만에 행성 촬영을 했습니다. 날씨는 맑았지만, 시상은 나쁜 편이었습니다. 행성의 고도가 높아져도 선명하지 않고 많이 흔들립니다. GS-114CC 망원경은 앞이 트인 경통이지만 냉각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냉각...
    창환 | 2025-01-20 12:12 | 조회 수 100
  • 필드스코프로 행성 관측하기(SV406P 80ED)
    1. 간단히 필드스코프로 천체 관측 구성을 만들어 봤습니다. 특별한 것은 없고요. 천체 도입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등배파인더를 연결했습니다. 필드스코프로 하늘을 볼 때는 특별한 기준점이 없다 보니 천체 도입이 ...
    창환 | 2025-01-08 13:00 | 조회 수 126
  • 달, 목성, 토성(2024. 10. 8.)
    최근 들인 카사이 GS-114CC 경통 실험을 위해 촬영했습니다. 예보와는 다르게 시상이 꽤 좋은 편이었던 덕에 망원경의 성능을 확인하기 좋았습니다. GS-114CC는 전통적인 카세그레인식 반사망원경입니다. 특징으로는 ...
    창환 | 2024-10-09 14:12 | 조회 수 202
  • 목성 - 흑백 LRGB 촬영 연습(2024. 3. 10.)
    이번에는 150mm 구경의 망원경으로 연습했습니다. 아쉽게도 시상이 나쁘고, LRGB 처리도 익숙하진 않아서 결과는 볼품이 없습니다. 20분 결과로는 많이 떨어지지만, 기록 삼아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3. 10....
    창환 | 2024-03-10 21:40 | 조회 수 143
  • 목성 - 컬러와 흑백의 차이(2024. 3. 9.)
    얼마 전 모노 카메라를 들이고 컬러 카메라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실험 삼아 촬영했습니다. 소구경 망원경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궁금했고요. 결과물만 보면 세부나 색상 표현이나, 차이가 꽤 크게 납니다...
    창환 | 2024-03-09 22:33 | 조회 수 144
  • 틈틈이 담은 태양계 천체(해, 달, 목성)
    틈틈이 찍은 태양계 사진입니다. 해, 달, 목성이고요. 화소 크기(2.9μm)가 작은 585MC 센서에 장초점 막스토프를 쓰니 해와 달은 바로우 렌즈가 없이도 적당한 크기로 나와서 좋습니다. - 촬영 일시: 2024. 2. 13....
    창환 | 2024-03-01 12:33 | 조회 수 430
  • 2024년 첫 관측(목성, 오리온자리)
    2024년들어 첫 관측을 했습니다. 70mm 짜리 작은 막스토프 망원경으로 행성과 이중성 위주로 간단히 촬영했습니다. 망원경의 온도 평형이 덜 이뤄진 상태에서 촬영한 까닭에 경통 내부에 대류가 생겨서, 별상이 조금 ...
    창환 | 2024-01-09 21:38 | 조회 수 250
  • 목성(2023. 12. 8.)
    간만에 구경 102mm 망원경으로 촬영했습니다. 목성 왼쪽의 밝은 점 3개는 위성입니다. - 촬영 일시: 2023. 12. 8. 22시 무렵(KST) - 촬영 장소: 대전 - 망원경: Skywatcher 102mm 막스토프 - 보조렌즈: 이프랑티스 2x...
    창환 | 2023-12-10 15:15 | 조회 수 138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