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도의 기본 단위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360분법으로 표시하는 1도는 사방을 360으로 나눈 크기입니다. 1분은 1도를 60등분한 각이고 1초는 1분을 다시 60등분한 크기입니다. 분(arcminute)과 초(arcsecond)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인 분(minute), ...
천체의 좌표를 적도좌표에서 황도좌표 또는 황도좌표에서 적도좌표로 바꾸려면 아래 식을 쓰면 됩니다. 이 계산에 쓰이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λ : 황경 β : 황위 α : 적경 δ : 적위 ε :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 (1) 적도좌표에서 ...
IAU1982에서 결정된 항성시 계산법은 IAU2000/2006에서 결정한 방법보다는 조금 더 간단합니다. 오래된 방법이지만 아마추어용 성도 투영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1) 그리니치 평균항성시 계산(GMST)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는 다음 식을 ...
IAU2000에서 결정한 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결정한 방법과 거의 같습니다. 겉보기 항성시, 지방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설명한 방법과 완전히 같고,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를 계산하는 식만 약간 다릅니다. 평균 항성시 계산에서 IAU2006...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은 특정 시점의 실제 황도경사각으로 평균황도경사각(Mean obliquity of the ecliptic)에 장동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반영해주면 얻을 수 있습니다. 진황도경사각은 적도좌표와 황도좌표 사이의 상호 변환에 쓰...
천문 계산에 종종 쓰이는 천문 상수를 모아봤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원래의 문서를 살펴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07 http://www.kasi.re.kr/Knowledge/almanac_src/2007/2007_ch10_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