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09.11.21 13:37

항성시와 세계시의 길이 비율

조회 수 9254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평균 항성시와 평균 세계시(UT1)의 길이 비율은 세계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를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값은 지구가 얼마나 빠르게 자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자전 속도가 느립니다. 기호로는 r'로 적습니다. 이 비율은 항성시 계산이나 ΔT의 추정에 이용됩니다.


항성시와 세계시의 관계를 식으로 적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UT1은 세계시입니다.


(UT1의 길이) = r' × (항성시의 길이)


예를 들어 세계시로 표시한 하루(24시간)를 항성시로 나타내려면 24시간에 r'을 곱하면 됩니다. 2010년에는 r'의 값이 1.00273790935 이므로 세계시로 나타낸 하루를 항성시로 나타내면  1.00273790935 × 24(시간)이 됩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1 평균 태양일(24시간) = 1.00273790935 평균 항성일(24시간 3분 56.55537초)


지구가 공전을 하고 있고 그 방향이 자전 방향과 같으므로, 평균 항성시와 평균 세계시(UT1)의 길이 비율은 항상 1보다 큰 값을 가집니다. 이 비율은 장기간에 걸쳐 대체로 일정한 편이지만 달과 해, 다른 행성의 조석력과 세차운동의 영향으로 인해 아주 느리게 변화합니다. 지금은 r' 값이 서서히 커지고 있습니다.


r'의 값은 아래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T는 지구시로 계산해야 합니다. 아래에 소개한 세 개의 식 가운데 IAU2006 식이 가장 근래에 만들어진 식입니다. 새롭게 발행되는 천문력에서는 이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T = (JDTT - 2451545.0) / 36525


IAU1980/1982
r' = 1.002737909350795 + 5.9006×10-11T - 5.9×10-15T2

IAU2000
r' = 1.00273790934498694 + 5.90107×10-11T - 5.92187×10-15T2 + 1.59032×10-15T3

IAU2006
r' = 1.00273790934496866 + 5.87954×10-11T - 2.78538×10-17T2 - 2.53133×10-15T3 - 3.88654×10-18T4


차이가 아주 작긴 하지만 계산식에 따라 r'의 값이 약간 다릅니다. IAU2006의 식을 기준으로 이 차이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이렇습니다. 그래프에서 (r'-r'2006)의 값이 가장 큰 경우라도 오차는 2마이크로초 미만으로 실용상 세 식은 같은 결과를 준다고 해도 문제가 없는 정도입니다.



grap2.jpg



<참고 문헌>

1. Seidelmann, P. Kenneth,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1992)



?
  • ?
    지돌스타 2009.12.03 17:20

    정말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저도 열심히 공부해서 창환님과 같이 좋은 천문프로그램을 많이 만들도록 노력할께요. ^^

  • profile
    창환 2009.12.03 23:34

    저도 부지런히 프로그램을 고쳐가야겠네요.


  1. No Image

    고천문 관련 '한국서지(韓國書誌)' 수록 도서 목록

    『한국서지(韓國書誌)』는 지금으로부터 120여년 전 프랑스의 서지학자인 모리스 꾸랑이 지은 서지 목록으로,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에서부터 구한말에 펴낸 '한성순보'까지 3821 종에 이르는 도서의 정보를 크게 9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
    Date2010.01.20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138
    Read More
  2. 직교좌표와 구면좌표

    천문학에서는 보통 천체의 위치를 나타낸 때 구면좌표를 씁니다. 적경과 적위, 황경과 황위 또는 방위각과 고도 등과 같이 기준이 되는 점에 대한 각도를 써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천문 계산을 할 때에는 구면좌표 대신 직교좌표를 쓰는 것이 더...
    Date2010.01.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6169
    Read More
  3. 2010년 1월 15일의 금환식(국내는 부분일식)

    올해 1월 15일에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이번 금환일식은 아프리카에서 시작해서 인도양을 거쳐 중국 산동반도에서 끝이납니다. 금환식의 지속 시간은 최대 11분 이상으로 긴 편에 속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부분일식으로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Date2010.01.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6295
    Read More
  4. 항성시와 세계시의 길이 비율

    평균 항성시와 평균 세계시(UT1)의 길이 비율은 세계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를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값은 지구가 얼마나 빠르게 자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자전 속도가 느립니다. 기호로는 r'로 적습...
    Date2009.11.21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254
    Read More
  5.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기

    조금 전에 별똥비를 보고 왔어요(2009년 11월 18일). 새벽 4시 반부터 6시 조금 넘을 때까지.. 대도시가 가까이에 있어서 관측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별을 보기에는 정말 좋은 날씨라서 살짝 기대를 하고 나갔는데, 별똥별이 예상보다는 조금 적게 ...
    Date2009.11.1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354
    Read More
  6. 옛 천문도 그림을 볼 수 있는 곳

    옛 천문도 그림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http://cosmos.es.pusan.ac.kr/~hbann/ancient/ 고구려 고분 벽화 가운데 별 그림이 그려진 것과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모사본, 황도남북총성도를 비롯한 각종 신법 천문도, 일본과 중국의 천문도 그...
    Date2009.11.07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433
    Read More
  7. 2009년 사자자리 유성우

    ▲ 2001년에 촬영한 사자자리 유성우. 별똥별과 다른 별똥별이 남긴 흔적 사자자리 유성우(Leonids)는 템펠-터틀 혜성(55P/Tempel-Tuttle)을 모혜성으로 하는 유성우입니다. 평소에는 평범한 수준의 활동을 보이지만 33년에 한 번 꼴로 대규모 유성우 현상을 ...
    Date2009.11.05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6890
    Read More
  8. 적도좌표↔지평좌표

    지평좌표계는 지상에서 관측한 천체의 방향을 고도(Altitude)와 방위각(Azimuth)으로 나타내는 좌표체계입니다. 고도는 지평선으로부터 얼마나 높이 떠올랐는지를 나타낸 각도이고 방위각은 천체의 방향을 북쪽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한 각도입니다(간혹 남쪽을...
    Date2009.10.2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9253
    Read More
  9. 관측자중심좌표 구하기

    (1) 지구 중심 좌표와 관측자 중심 좌표 지구 중심 좌표는 지구 중심에서 천체를 보았을 때의 좌표입니다. 이 좌표의 중심은 지구의 한 가운데에 있습니다. 천체의 위치를 계산할 때 주로 쓰이며 (책으로 인쇄된) 대부분의 천체력은 지구 중심 좌표로 천체(행...
    Date2009.10.2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5641
    Read More
  10. 태양이 특정 황경을 통과하는 시점 계산

    태양이 특정 황경을 통과하는 시점을 계산해주는 엑셀 문서를 올립니다. 이 문서는 계절의 길이나 절입 시각의 계산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sun.xlsm 파일은 엑셀 2007에서, sun.xls 파일은 엑셀 2000 이상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오픈오피스에서 열어보시...
    Date2009.10.23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6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