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09.08.12 00:30

2010년 1월 15일의 금환식

조회 수 467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0년 1월 15일에는 아프리카~남아시아 일대에서 관측할 수 있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한국에서는 일몰 시각 무렵에 부분일식으로 관측할 수 있는데, 다소 흥미로운 모양으로 관측될 것 같습니다.
날씨가 맑고 주변 환경이 좋은 편이라면 아래와 같은 사진도 촬영이 가능해 보입니다.

ecl1.jpg
(이 사진은 미항공우주국의 오늘의 천문사진에서 가져왔습니다.)

한국에서는 대구 지방에서는 16시 44분 무렵에 부분일식이 시작되는데, 해가 넘어가면서 점점 더 많이 가려집니다.
해가 질 때에는 식분이 0.5~0.6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서쪽으로 갈수록 식분이 더 커집니다(서해안에서 일몰 사진 형식으로 찍기에 좋습니다).
해는 17시 30분 경에 남서쪽으로 지는데, 방위각으로는 약 244도 정도가 됩니다.
해가 질 때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이렇습니다(대기 굴절을 고려한 모습입니다).

ecl2.png

관심있는 분들의 경우 미리 준비해 두면 진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추후 올리겠습니다.

TAG •
?
  • ?
    Karion 2010.01.06 19:16

     아이고~~ 제가 안보인다고 뻥을 쳤네요. 다시 보니 해질 무렵에 부분 일식은 관측이 가능한데 이런이런;; 트랙백 감사합니다~!

  • profile
    창환 2010.01.06 19:48

    그래도 좋은 정보입니다. 요즘 이 일식을 소개하는 곳이 거의 없던데.. 가치 있는 정보입니다.

  • ?
    박지 2010.01.16 11:28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창환 2010.01.16 12:09 Files첨부 (1)

    이런 조건이 되면 해질녘에 일식을 볼 수 있습니다.

    e1.jpg


  1. [일식]기상위성에 잡힌 달 그림자

    7월 22일 기상위성에 촬영된 달의 그림자입니다. 기상위성의 가시광 영상은 구름에 반사된 빛을 담기 때문에, 일식이 생기면 달이 드리우는 그림자가 찍히게 됩니다.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가시광 영상입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합쳤습...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880
    Read More
  2. 국내에서 관측된 오로라

    몇 년 전에 일어난 일이긴 합니다만, 올려봅니다. 사진은 한국해양원구원 극지연구소 소속의 원영인 박사가 촬영한 사진으로 한국해양연구원 뉴스 게시판에서 퍼왔습니다. (원본 주소: http://www.kordi.re.kr/?m1_cd=7&m2_cd=1&m3_cd=0&action=v...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292
    Read More
  3. 우리 은하

    우리은하의 모습입니다. 2008년 6월에 공개된 그림으로(NASA/JPL 작성), 최근의 연구 성과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스피처 위성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은하의 모습입니다. 2008년까지 약 1억개의 별의 분포를 조사했다고 합니다. 예전...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5883
    Read More
  4. 2010년 1월 15일의 금환식

    2010년 1월 15일에는 아프리카~남아시아 일대에서 관측할 수 있는 금환식이 일어납니다. 한국에서는 일몰 시각 무렵에 부분일식으로 관측할 수 있는데, 다소 흥미로운 모양으로 관측될 것 같습니다. 날씨가 맑고 주변 환경이 좋은 편이라면 아래와 같은 사진도...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672
    Read More
  5. 광해 지도

    한반도 전체의 광해 지도입니다. 지도에서 옅은 회색-파랑-연두-노랑-주황-빨강-흰색순으로 광해가 심한 지역입니다.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은 광해가 없거나 거의 없는 곳입니다. 지도에서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과 옅은 회색 지역은 별을 보기에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1978
    Read More
  6.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 동정

    **이 글은 2009년 5월 14일에 작성한 글입니다.** 얼마전부터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나와있는 별을 요즘의 성표와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요즘 기준으로 보면 그리 엄격하게 그려진 성도는 아닌지라 개개의 별이 실제로 어떤 별인지...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4890
    Read More
  7. No Image

    은하지도

    우리 은하 내의 성단, 성운(암흑, 산광, 초신성 잔해 등)의 위치와 크기를 그려 놓은 지도입니다. 보기가 그리 편하게 되어 있지는 않지만, 우리 은하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보기는 좋습니다. 매우 추천할만한 사이트이니 방문해보세요. http://galaxymap.org...
    Date2009.08.1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773
    Read More
  8. No Image

    Cartes du Ciel용 우리 별자리

    Cartes du Ciel 프로그램 한글화 및 동양 별자리 표시 파일 ▲ 자미원 부분(파일 내려받기) Cartes du Ciel 프로그램을 한글로 바꿔주고, 동양 별자리를 표시해주는 파일입니다. 압축을 풀면 '읽어보세요.txt' 파일이 생기는데, 이 안에 사용법이 적혀 있습니...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104
    Read More
  9.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 채색 성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성도 부분 채색 <이 그림은 월간 과학 뉴턴(뉴턴코리아 발행) 2005년 1월호 87쪽에 실려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성도 부분만 채색(큰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지도 부분만 따와서 별자리 별로 알아보기 쉽게 채색한 자료입니다. 빨...
    Date2009.08.1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8735
    Read More
  10. No Image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세차운동

    아무래도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을 더하는 데에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 전용 프로그램(세차운동 및 고유운동 포함))을 개발해 현재의 성표와 비교해 본 결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정밀도가 예상보다 훨씬 떨어집니다(어느 정도의 부정확함은 ...
    Date2009.08.1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3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