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11.09.02 23:45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1.02)

조회 수 6485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2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11. 9. 2.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수정 사항
-1.01: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고쳤습니다(음력 2033년 11월~2034년 1월 사이에 치윤이 잘못되는 문제).
-1.02: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고쳤습니다(간혹 31일을 다음 달 0일로 출력하는 문제).


*지난 번에 올려놓은 1.0판과 비교했을 때, 기능상의 차이는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압축 파일 안에 있는 안내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참고: VB.Net용은 클래스로 만든 버전이 아닙니다. VB6용을 .Net에서 작동만 하도록 바꿔 놓은 것이라, 개체지향 모델은 적용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파일 받기  lunisolar102.zip

TAG •
?
  • profile
    창환 2013.01.13 18:01

    오류를 수정한 1.0.3 판으로 받으세요.


  1.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1.02)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 *배포 버전: 1.02 *제작자: 김창환(blueedu@hanmail.net) *홈페이지: http://blueedu.dothome.co.kr *제작일: 2011. 9. 2. *저작권: 이 프로그램의 저작권은 제작자에게 있습니다. *수정 사항 -1.01: 음양력 변환 코드의 오류를...
    Date2011.09.0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485
    Read More
  2.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3

    이번에는 지난 번에 이야기한 대로 시간 계산에 쓰이는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이 모듈에 쓰이는 상수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원래 지난 번 글에서 다루어야 했지만 깜빡했네요. 1. 상수이 모듈은 모두 8개의 상수를 사용합...
    Date2010.09.14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647
    Read More
  3.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2

    아주 오래 쉬었습니다. 지난 번의 글에서 함수의 역할만 대강 설명을 했는데, 이번 글부터는 조금 더 자세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음양력 변환 함수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 함수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속 함수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먼저...
    Date2010.09.06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655
    Read More
  4. 새 혜성 C/2009 R1 (McNaught)

    C/2009 R1 (McNaught) ▲ 40년만에 나타난 대혜성, C/2006 P1 McNaught. 2007년 1월,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혜성과 별 관련은 없습니다만..(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omet_Mc...
    Date2010.06.1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608
    Read More
  5.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예전에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이라는 자료를 이곳에 올려 놓았습니다. 이 자료에는 음양력 변환을 할 수 있는 VB용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소스코드에는 주석이 거의 없어서 어떻게 음양력을 계산하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앞으로 몇 편...
    Date2010.02.0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677
    Read More
  6.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조선 세종대에 만든 천체 관측기기로 해가 없는 밤에도 별을 이용해 시각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 4월 15일에 4대를 완성했는데, 한 대는 사진처럼 용으로 장식을 해서 궁궐 내에 설치를 했고, 나머지 ...
    Date2010.02.0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10541
    Read More
  7. No Image

    관측자중심좌표계에 관하여

    관측자중심좌표는 지구 표면 위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나타낸 좌표계입니다. 이 좌표계는 관측자에게 실제로 관측되는 좌표를 알려줍니다. 관측자중심좌표를 구할 때에는 지구중심좌표에 아래 사항을 반영해주면 됩니다. 1) 항성-일주 광행차(diurnal aberratio...
    Date2010.01.2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008
    Read More
  8. No Image

    지구중심좌표계에 관해서

    지구중심좌표계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쓰는 좌표계 가운데 하나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입니다. 여기에서 지구의 중심은 지구 타원체의 중심입니다. 지구중심좌표계로 나타낸 위치에는 관측지에 따른 위치의 차이가 포함되어 ...
    Date2010.01.2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030
    Read More
  9. No Image

    국역이 이루어진 천문 관련 고서

    국역이 이루어져 있는 천문 관련 고서 목록입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펴낸 책을 번역한 것이지만 고려사 역지, 천문지, 오행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에는 이전 시대의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1. 천문류초(天文類抄) 옮긴이: 김수길, 윤상철 펴낸곳: 대유학당, 2...
    Date2010.01.2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573
    Read More
  10. No Image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펴낸 과학기술 관련 도서 142종의 문헌을 모아서 펴낸 책으로 모두 7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1~10권이 천문학 관련 도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천문 연...
    Date2010.01.2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66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 Next
/ 2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