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쩌면 중국은 핵 동결만으로도 북한을 지원할 수 있다고 했을지도 모르겠다.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는 선에서 관리만 해 준다면, 중국은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지원할 수 있다고 했을 것이다. 남한은 미국의 영향력을 벗어나기 어려우므로 비핵화 이후에나 경제 협력이 가능하겠지만, 중국은 막강한 국력에다 국경을 접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미국의 압력을 어느 정도 무마하거나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북한을 당장 지원할 수 있으며, 거기엔 핵 포기 같은 불안한 대가가 필요치 않다고 거래를 제안했을 것이다. 아마 비핵화 후 남한과의 경제 협력은 남북 간 경제 격차로 인해 북한이 남한에 끌려가는 형국이 될 수 있다고, 북한의 취약한 자존심과 불안감을 자극했을 수도 있다. 북미협상이 잘 타결될 경우 북한이 급격히 친미화하는 것을 막고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선택일 것이다. 북한은 미국의 포위 전략에 대응할 수 있는, 현재 중국으로써는 거의 유일한 숨구멍이다. 

 

아마도 중국은 북미 협상 또는 완전한 비핵화를 하지 않고도 비교적 안전하게 나갈 수 있는 출구를 보여주었을 수도 있다. 북핵은 여태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는 장치였지만 어쩌면 중국은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미국을 제어하는 장치로 북핵을 다루는 방법을 시험하려 들지도 모른다. 트럼프의 불안정한 정치적 입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미국과의 긴장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이 중국 내의 반발을 잠재우기에 더 좋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국제 정세를 험악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작용하겠지만, 중국으로써는 국내의 불만을 누르기 위해서 당분간 국제관계의 냉각기를 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더구나 북한이 확실히 친중 태도를 유지하도록 지킬 수 있다면, 미국뿐만 아니라 남한을 견제하기도 수월하니까. 중국은 현상 유지가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은 근거가 없는 추측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대응은 심상치가 않다. 김정은으로서도 북한 내의 강경파를 달래기 쉽고 포기할 것이 적은 방법에 상당한 매력을 느낄 것이다. 문재인의 해법과 시진핑의 해법을 비교하면서, 어떤 선택을 할지 망설이고 있을 것이다. 미국과의 협상에 진력하지 않더라도 다른 선택지가 생겼으니. 북한은 북미협상으로 얻을 수 있는 바를 중국의 제안과 비교할 것이다. 김정은은 여전히 북미협상을 선호하겠지만, 치르는 비용이 낮은 다른 방법이 생겼다(대가도 적지만 위험부담도 적은 방법). 미국과의 협상에 매달리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남측에 대한 압박의 배경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한국, 미국이 북한에 더 큰 대가를 지불하도록 종용하는 방법으로 쓸 수도 있으니).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과 중국을 모두 상대해야 하고 미국까지 설득해야 하는, 상당히 어려운 과제를 안고 비행기에 올랐다.

 

* 첨언 : 남한에 대한 압박은 북미회담 전 남한의 태도를 떠보는 의중도 있을 것이다. 북한도 잘 안다. 남한보다 약소하다는 사실을. 그래서 본격적인 관계 개선 전, 남측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려면, 북측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사 표현일 거다. 아마 북한은 어려운 과제를 던지면서, 남측이 북측을 어떻게 대하는지, 자신을 존중하는지(남측 제도상 어렵다는 말 대신, 행동으로 보이는 시늉이라도 하는지), 실리보다는 '태도'를 살필 것이다.

?

  1. No Image

    6.12 북미정상회담과 6.1 남북고위급회담을 앞두고

    폼페이오의 인터뷰 내용으로 보건대, 아마 한두 가지의 중요한 결단이 남은 것 같다. 김정은의 결정이 필요한 사항일 것이다. 모르긴 해도 미국은 북한에 대륙간탄도탄 일부 폐기나 핵탄두 폐기라 간주할 수 있는 모종의 행위를 제안했을 것이다. 회담에서 이 사항을 발표하고 단시일 내에 이행을 약속한다면 미국은 북한과 ...
    Date2018.06.01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400
    Read More
  2. No Image

    2차 남북정상회담 소식을 들으며

    5월 26일의 2차 남북정상회담. 이 소식은 좀 놀랍다. 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약간 대응이 무뎌졌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상황의 엄중함 때문인지 과감하게 움직였다. 북미회담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실질적인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비공개로 의전이나 다른 부대 행사 없이 핵심적인 부분만 준비했을 것이다. 의제...
    Date2018.05.27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347
    Read More
  3. No Image

    2018년 5월,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어쩌면 중국은 핵 동결만으로도 북한을 지원할 수 있다고 했을지도 모르겠다.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는 선에서 관리만 해 준다면, 중국은 미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지원할 수 있다고 했을 것이다. 남한은 미국의 영향력을 벗어나기 어려우므로 비핵화 이후에나 경제 협력이 가능하겠지만, 중국은 막...
    Date2018.05.22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321
    Read More
  4. No Image

    문창극 사태를 보며..

    13일의 문창극 인사 참극. 논평할 가치조차 없습니다. 이런 사람을 뽑은 인사는 달리 뭐라 말할까요. 논평할 가치도 없는 인물을 내세우는 인사와 그 인사권자에 대해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제 무덤을 파고 있다는 것 뿐. 이번 인사로 분명해졌습니다. 국민이 어떤 신호를 보내든 박근혜는 변하지 않습니다. 7.30을...
    Date2014.06.16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407
    Read More
  5. No Image

    선거 이후에..

    이 글은 6월 11일 밤에 쓴 글입니다. ------------------------------- 선거가 끝나고 대략 일 주일, 예상대로 남경필은 지지기반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민주당과의 연정을 제안하고, 새누리당 소속이지만, 자신은 합리적인 인사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경기도지사라는 직을 발판삼아 차기 ...
    Date2014.06.16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377
    Read More
  6. No Image

    6.4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보면서..

    이 글은 6.4 전국동시지방선거 다음 날(6월 5일 아침)에 쓴 글입니다. 임시 메모장에서 이곳으로 옮깁니다. --------------------------------------------------- 야권을 지지하는 사람으로, 어제 결과는 아쉽습니다. 광역단체장에서 경기나 인천 정도는 더 잡았어야 하는데, 서울만 잡은 건 아쉽죠. 그러나 결과는 이미 나...
    Date2014.06.16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396
    Read More
  7. No Image

    천주교 "교황청도 4대강 우려 밝힐 것"

    천주교 "교황청도 4대강 우려 밝힐 것" '뷰스앤뉴스'라는 인터넷 매체에 실린 기사 제목입니다(기사 제목이 본문 내용에 비해 약간 앞서나간 측면은 있습니다.). 요즘 4대강 사업에 대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가 천주교 교단에서 흘러나오고 있는데, 관심있는 이가 아니면 잘 알 수가 없네요. 2MB의 말뿐인 이야기는 TV와 신...
    Date2010.03.09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4787
    Read More
  8. No Image

    어이없는 기사 하나

    참 어처구니 없는 기사 하나.. 우리법연구회를 전두환의 하나회와 비교하고 있네요. 기자도 이름을 밝히기 부끄러운가 봅니다. 연합뉴스에서 기사 게제 정책을 바꾸었을 수도 있겠지요(요즘 연합뉴스의 기사를 보면 기자들이 이름을 가리고 싶어할 이유가 있어 보입니다). `사법부 좌편향' 논란의 핵 '우리법연구회'(연합뉴...
    Date2010.01.22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7 Views4348
    Read More
  9. No Image

    몇 가지 사안에 관해서

    #1. 하니TV(한겨레신문사)에서 얼마 전부터 '2010 연합 정치의 미래를 묻다'라는 토론회를 방송하고 있습니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연합론이 야권에서 널리 논의되고 있는데, 그에 관해 해당 정치 세력들의 입장을 직접 들어볼 수 있습니다. 시간을 내서 볼 만 합니다. 하니TV(기획특집 코너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
    Date2010.01.20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3892
    Read More
  10. 4대강 사업 강정보 구간 건설 현장

    4대강 사업 중 강정보 건설 현장 사진입니다. 사진 촬영일은 2009년 12월 22일로 공사가 시작된지 대략 1개월 정도 지난 시점입니다. 4대강 사업에서 낙동강 구간에 포함된 강정보는 낙동강 중류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는 대구 지역의 상수도 취수원 가운데 하나입니다. 지금도 취수를 위해 설치한 작은 보가 있습니다(아래...
    Date2009.12.28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9330 file
    Read More
  11. No Image

    경기도의 학생인권조례 논란을 보고..

    머리 기를 권리?...'산 넘어 산'(YTN)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67&newsid=20091220092406138&p=ytni 이게 왜 문제가 되는지 참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청소년들도 사람이고 당연히 그들의 신체에 대한 권리는 스스로 행사해야 하는 게 맞는데, 낡은 틀에 너무 끼워 맞추려 하고 있네요. 기...
    Date2009.12.20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6 Views4356
    Read More
  12. No Image

    몇 가지 생각

    1. 어찌하여 형제의 눈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보라, 네 눈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찌하여 형제에게 말하기를, '나로 네 눈속에 있는 티를 빼게 하라' 하겠느냐? 위선자*여, 먼저 네 눈속의 들보를 빼어라. 그 후에야 밝히 보고 형제의 눈속에서 티를 빼리라. (마태 7:3 ~ 7:5) 저희가 묻...
    Date2009.11.23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2674
    Read More
  13. No Image

    국제기구 한국평가 '못믿을 잣대'

    국제기구 한국평가 ‘못믿을 잣대’(파이낸셜뉴스)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view.html?cateid=1006&newsid=20091118173318092&p=fnnewsi 언론의 잣대는 믿을 수 있고?
    Date2009.11.21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2805
    Read More
  14. No Image

    거꾸로 가는 '안보 시계'

    ‘안보 시계’ 거꾸로 돌리는 경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88352.html 가만 보자... 올 해가... 1989년인가요??
    Date2009.11.19 Category사회/시사 By창환 Reply0 Views25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