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8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B192745.JPG

(앞이 사바나, 뒤가 BW20입니다.)

 

BW20 6.5x32는 중국에서 만든 저배율 쌍안경입니다. 비교적 저가에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으로 알려진 쌍안경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판매하는 곳이 없고 외국의 쇼핑몰에서 직접 구해야 합니다(2017년 11월 기준 중국 현지에서 8~9만원 정도). 옵티크론 사바나 쌍안경은 얼마 전 사용기를 올렸습니다.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는 보급형 쌍안경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보급형 기기를 간략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 사양 비교 >
제품 BW20 6.5x32 옵티크론 사바나 6x30 WP
구경 32mm 30mm
배율 6.5배 6배
시야 8.5도(겉보기 55도) 8도(겉보기 48도)
아이릴리프 17.6mm 21mm
프리즘

Bak4 소재

루프 프리즘(Schmidt–Pechan)

Bak4 소재

포로 프리즘

코팅

전체 광학면 멀티 코팅

위상차 보정 코팅

유전체 반사 코팅

전체 광학면 멀티 코팅
최소초점거리 2.5m 3m
크기, 무게 138x119x45mm, 540g 116x160mm, 485g
특징

저분산 대물렌즈(ED 렌즈) 사용

생활방수 지원

비노홀더 사용 가능

광투과율 88%

생활방수 지원(질소충전)
부속품

대물렌즈/접안렌즈 덮개

스트랩

가방

대물렌즈/접안렌즈 덮개

스트랩

가방

생산국 중국 중국

 

사양만 보면 BW20 쪽이 더 뛰어나 보입니다. 10만원대 쌍안경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사양이긴 합니다. 그러나 실제 사용하며 둘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옵티크론 사바나 쪽이 조금 더 뛰어나다는 느낌을 줍니다. 항목별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BW20 6.5x32는 BW20으로, 옵티크론 사바나 6x30 WP는 사바나로 줄여서 표기하겠습니다. 유리한 쪽에 녹색으로 강조처리를 했습니다.

 

- 구경 : BW20이 32mm, 사바나가 30mm로 BW20이 더 큽니다. 두 제품 모두 내부차폐는 거의 없습니다.

- 배율 : BW20이 6.5배, 사바나는 6배입니다. BW20이 더 높지만 배율은 제품의 특징으로 우열을 가릴 요소는 아닙니다.

- 프리즘 : BW20은 루프 프리즘, 사바나는 포로 프리즘입니다. 보통 같은 비용을 투입했다면 포로프리즘 쪽의 광학성능이 더 좋습니다. 

- 코팅 : 두 제품이 동등한 수준입니다. 사바나는 렌즈와 프리즘 모두 풀멀티코팅입니다. BW20도 렌즈와 프리즘 모두 전체 광학면에 다층막 코팅을 적용했고, 프리즘엔 위상차보정, 유전체 반사 코팅까지 적용되었습니다. 위상차보정, 유전체 반사 코팅은 포로프리즘에는 불필요합니다. 

 

PB192752.JPG

(위가 사바나, 아래가 BW20입니다. 구경은 BW20이 약간 더 큽니다.)

 

- 휴대성 : 사바나가 조금 더 우세합니다. 두 제품의 부피는 비슷하지만, 사바나쪽이 무게가 더 가볍습니다.

- 중심상 : 사바나 쪽이 조금 더 선명합니다.

- 주변상 : 사바나가 더 선명합니다.

- 색 재현 : 두 제품 모두 중립에 가깝습니다. 사바나 쪽이 조금 차가운 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 실시야 : BW20이 8.5도로 사바나(8도)보다 약간 더 넓습니다. 다만 배율이 높은 까닭에 한 번에 전체 시야가 들어오지는 않으므로 크게 체감하긴 어렵습니다.

- 겉보기시야 : BW20이 55도로 사바나(48도)보다 더 넓습니다. 

- 색수차 : 두 제품 모두 주간 관측에는 색수차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로 좋습니다. 다만 달을 볼 때 사바나 쪽이 색수차가 조금 더 적습니다

- 왜곡 : 두 제품이 비슷합니다.

- 어포컬 촬영 성능 : 사바나가 중심상, 주변상 선명도가 우수하지만 시야가 다소 좁다는 약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사진 품질의 전체적 만족도는 BW20보다 좋습니다.  

- 내부반사 방지 처리 : 두 제품이 비슷한 수준입니다. 둘 모두 시야 내의 광원에 대한 반사방지 처리는 우수합니다. 그러나 시야 바깥에 있는 광원에 대한 처리는 부족한데요, 특성이 서로 다릅니다. 사바나는 프리즘 내부 반사가 문제가 될 때가 있고, BW20은 대물렌즈 부근의 난반사 제어가 취약합니다. 발생 빈도나 조건을 감안하면, 지상관측 시에는 사바나 쪽이 약간 낫습니다

 

PB192749.JPG

(위가 사바나, 아래가 BW20입니다. 둘 모두 접안부 코팅이 잘 되어 있습니다.)

 

- 방수 : 두 제품 모두 지원합니다.  질소 또는 아르곤을 충전해서 일상 용도로는 날씨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 근거리 관측 : BW20이 2.5m로 약간 우세합니다. 루프 프리즘 방식이라 근거리 관측 시에 시차가 적어서 더 편합니다. 

- 입체감 : 포로형인 사바나 쪽이 유리합니다.

- 렌즈 덮개 : BW20은 대물렌즈 보호 덮개를 본체와 연결할 수 있어서 분실 위험이 적고 더 편리합니다. 접안렌즈 덮개는 둘이 비슷합니다.

- 스트랩 : 두 제품 모두 네오플랜 스트랩으로 편안합니다. 사바나 쪽이 길이가 짧습니다.

- 아이컵 : 두 제품 모두 회전식으로 높이를 조절합니다. 비슷한 수준이지만, BW20은 아이컵을 덮은 고무가 헐거워서 잘 빠집니다.

- 힌지 : BW20이 더 좋습니다. 사바나는 사용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느슨해서 단단히 고정이 안 됩니다.

 

PB192754.JPG

(위가 사바나, 아래가 BW20입니다. 사출동공은 둘 모두 깔끔한 원형입니다. BW20은 사출동공 바로 아래에 대물렌즈 경통에서 생기는 강한 난반사가 보입니다.)

 

- 별 관측 : BW20의 극한등급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더 높습니다. 사바나보다 천체 관측에는 유리합니다.

- 아이릴리프 : 사바나 쪽이 21mm로 더 깁니다만, 두 제품 모두 안경을 쓰고 편안하게 관측 가능합니다. 

- 밝기 : 체감은 두 제품이 비슷합니다.

- 가방 : 두 체품이 비슷한 수준입니다. 

- 삼각대 고정 : BW20은 비노홀이 있어서 비노홀더를 이용하서 삼각대에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사바나에는 삼각대 고정을 위한 장치가 없습니다.

 

< 결론 > 

사바나가 전체적으로 더 뛰어나고, 지상 관측 용도로는 만족도가 더 높습니다. 다만 별 관측에선 BW20이 유리합니다.

 

< 어포컬 사진 비교 >

- 촬영에는 아이폰 6s를 사용했습니다. 

- 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자세한 비교를 위해서는 확대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 사진은 왼쪽이 사바나, 오른쪽이 BW20입니다. 

 

1. 먼 풍경 : 중심의 선명도는 비슷하지만, 주변부는 사바나가 선명합니다. 시야는 BW20이 넓습니다.

i1.jpg

 

2. 건축물 : 왜곡은 두 기기가 비슷한 수준입니다. 

i2.jpg

 

3. 나무 : BW20으로 찍은 사진은 오른쪽 아래에 대물렌즈 주변 경통에서 생긴 난반사가 보입니다(시야 바깥 왼쪽 위에 밝은 하늘이 있습니다). 이 난반사는 실제로 관측할 때에도 그대로 보이며, 상당한 방해 요소로 작용합니다. 사바나에선 안 보입니다.   

i3.jpg

 

4. 자전거 주차대 : 주변부 선명도가 제법 차이납니다.

i4.jpg

 

?

  1. Astro-Dream 3배, 5배 바로우렌즈에 대한 간단한 느낌

    Astro-Dream사는 대전에 자리잡고 있는 국내의 몇 안되는 천문관측기기 생산업체 가운데 하나입니다. 지금은 Rainbow-Astro라는 이름으로 바꾸로, 고급형 적도의를 주로 만들고 있는데요, 이 회사에서 3배, 5배 바로우렌즈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직...
    Date2014.01.18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3284
    Read More
  2. Bresser(Jinghua) EQ3 적도의 손질하기

    Bresser EQ3 적도의(구형)는 중국 징후아 광학 그룹에서 만든 소형 적도의입니다. 탑재중량은 3~4kg 정도인 보급형 적도의(제품 광고에는 사양이 어떻게 적혀있는지 모르겠지만, 실 탑재중량은 4kg 정도가 최대로 보입니다)로, 작은 망원경에는 쓸만하고 가격...
    Date2014.01.13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3621
    Read More
  3. GSO 8x50 파인더 사용기

    GS Optical에서 만든 구경 50mm, 8배 파인더입니다. 다른 파인더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만듦새는 좋은 편입니다. 50mm 파인더 망원경과 지지대를 합해서 10만원 이내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파인더 망원경, 렌즈 앞뒤 덮개, 파인더 브라켓, 파인더베이스...
    Date2013.12.07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434
    Read More
  4. Orion Srius 25mm Plossl 접안렌즈 사용기

    이번에는 미국 오리온(Orion) 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시리우스 프뢰슬 접안렌즈입니다. 2013년 5월 현재 미화 48달러로 대략 50,000원 정도에 판매하는 프뢰슬식 접안렌즈입니다. 보급형 프뢰슬 접안렌즈로, 다양한 용도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25mm 짜리입니...
    Date2013.05.14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3620
    Read More
  5. Orion 45도 정립 프리즘 사용기(번들형)

    이번에도 미국 오리온사에서 만든 45도 정립 프리즘 사용기입니다.따로 판매하는 제품은 아니며, 망원경을 사면 번들로 따라오는 것입니다. 외부에는 아무런 표시도 없습니다. 망원경을 통해 볼 때 보이는 상을 똑바로 세워주는 역할을 하는 프리즘(루프프리즘...
    Date2013.05.14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4411
    Read More
  6. Orion T 카메라 연결 어댑터(T-ring, Nikon 카메라용) 사용기

    미국 오리온 망원경에서 판매하는 카메라 연결 어댑터입니다. 표준 T-링이므로, T-마운트를 쓰는 렌즈라면 어디에나 쓸 수 있습니다. 외관은 사진처럼 평범합니다. 앞쪽에 연결을 위한 나사산이 파여있고 뒷 부분에는 니콘 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도록 니콘 F ...
    Date2013.05.14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3681
    Read More
  7. Bresser 광시야 10mm 접안렌즈 사용기(WA 10mm)

    (2014.1.17. 추가) 이 접안렌즈는 괜찮은 접안렌즈이긴 하지만, 모든 광학계와 잘 어울리는 것은 아닙니다. 10mm 초점거리이면 짧은 초점거리에 속하고, 보통은 고배율이 필요한 행성관측에 쓰게 됩니다. 그러나, 이 접안렌즈는 행성관측에 추천할만한 렌즈는...
    Date2013.05.06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4208
    Read More
  8. Bresser Plossl 40mm 접안렌즈 사용기

    Bresser Plossl 40mm 접안렌즈는 Bresse사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접안렌즈입니다. 생산은 중국 징후아(Jinghua)사에서 하고 있고요. 이 접안렌즈는 Bresser Plossl 접안렌즈 제품군 가운데 초점거리가 가장 길고 크기도 가장 큰 40mm 제품으...
    Date2013.05.06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5030
    Read More
  9. 보그(BORG) 접안렌즈 사용기

    벌써 17년이 넘는 세월 동안 사용한 장비입니다. 사진에 있는 접안렌즈는 중학교 시절 구입한 보그 76mm 아크로매틱 굴절 망원경에 기본 세트로 포함되어 있는 접안렌즈입니다. 3개의 접안렌즈와 1개의 2.2배 확대렌즈(Barlow Lens)인데요, 모두 작고 가볍고,...
    Date2013.05.03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56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