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잡담
2012.09.30 10:32

멀리 보이는 구름 높이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날 아침 출근길, 무척 맑은 하늘이라는 생각이 들 무렵, 동쪽 먼 곳에 구름이 보입니다.
무슨 구름일까?.. 위성영상을 찾아보니 동해바다 위를 덮고 있는 높은 구름이 있습니다.
얼마나 높기에 이 거리에 있는 구름이 이렇게 보이나 싶어 계산해 봅니다.


p1.jpg


부산에서 구름까지의 거리는 91km 정도이므로, 지구의 곡률을 무시하고 구름의 높이를 계산하면


91km ⅹ tan(9.2º) ≒ 14.7km (곡률을 감안하면 0.7km 정도가 높아짐)


대류권계면까지 솟아오른 매우 높은 구름입니다(전날 21시 포항의 대류권계면 높이는 약 14.6km).
06시 58분의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그림자의 길이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약간 낮은 13.9km로 계산되는데, 여전히 매우 높습니다.
사진에서 구름의 고도각 추정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마도 그림자의 길이를 이용한 계산이 더 정확하리라 봅니다.  


p2.jpg 


운정온도를 바탕으로 한 온정고도 추정자료를 보면..
하늘색으로, 10~16km의 중간 정도로 나옵니다. 고도 12km 이상으로 실제 관측치와 비슷하게 나옵니다.
태풍구름의 서쪽 경계와 중간중간에 빨갛게 표시되어 운정고도가 낮디고 표시된 부분이 있는데, 실제로 운정고도가 낮은 것일 수도 있지만, 구름이 얇아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는 것일 가능성도 높습니다.


TAG •
?

  1. No Image

    크리스마스에 많이 팔린 것

    “콘돔 가장 많이 팔린 날은…성탄절”(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94566.html 뭐, 그렇다는군요.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읽어보시면 되고(다른 곳의 판매량이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 정녕 크리스마스는 디오니소스의 날인 걸까요? 크리스마스가 예수의 생일로 바뀐지 거의 2000년이...
    Date2009.12.21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639
    Read More
  2. 첫눈이 왔어요

    거의 흩날린 정도이긴 하지만, 첫눈이 내렸습니다. 사진은 눈송이를 커다랗게 확대해서 찍었습니다. 낱낱의 눈 결정이 서로 엉겨 있어서 모양을 제대로 알아 볼 수는 없네요. 기상청에서는 전국 각지에 있는 기상관측소에서 관측자가 눈으로 눈이 내리는 것을 직접 확인해야 눈이 왔다고 인정하고, 0.1cm 이상 쌓이면 눈이 ...
    Date2009.12.20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2 Views3819 file
    Read More
  3. No Image

    도시의 밤하늘

    요즘, 도시에서 별을 보기가 힘들죠. 천문의 해 한국위원회와 연세대학교에서 서울과 경기도 일대의 밤하늘의 밝기를 조사해 본 결과 서울 압구정 지역의 하늘이 파주시 법원읍의 하늘보다 22배 정도 밝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서울 문래동의 밝기가 16.16등급이라는데, 예상보다는 어둡다는 느낌이 듭...
    Date2009.12.10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888
    Read More
  4. No Image

    정훈이 731호 - 더 문

    한겨레 신문에서 연재하는 만화인데, 이번 호도 참신하고 재미있네요. 정훈이 731호 - 더 문 http://www.hani.co.kr/arti/cartoon/junghe/391252.html
    Date2009.12.04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046
    Read More
  5. No Image

    산화 신기전 복원 기사

    세종 때 만든 '산화신기전'…세계 첫 '2단 로켓' http://media.daum.net/society/view.html?cateid=100000&newsid=20091130211013801&cpid=73&fid=20091130211014803&lid=20091130211013800 흥미로운 기사네요. 자세하지는 않지만 영상이 있으니 한 번 살펴보세요. 1* 채연석 박사는 이 분야의 연구를 오래도...
    Date2009.11.30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743
    Read More
  6. 첫 얼음

    이번 가을 들어 처음으로 얼음이 얼었네요. 건강 조심 하세요.
    Date2009.11.03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2 Views2596 file
    Read More
  7. 억새와 갈대 2

    억새와 갈대 구별법 두번째입니다. 이번에는 근접 사진을 올립니다. 먼저 억새.. 이번에는 갈대. 많이 다르죠?
    Date2009.10.31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184 file
    Read More
  8. 윈도우 3.1

    윈도우 3.1 예전에 386컴퓨터에 도스를 쓸 때 참 써보고 싶었는데, 결국 한 번도 써 보진 못했습니다. 얼마 전에 가상 컴퓨터에 한 번 설치해서 작동시켜 봤는데, 투박하고 불편하더군요. 그래도 한 때에는 GUI를 바탕으로 상당히 혁신적인 컴퓨터 환경을 만들어 주던 프로그램이었는데... 시대의 흐름은 어쩔 수 없나 봅니...
    Date2009.10.28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2625 file
    Read More
  9. 합성 사진

    오래 전에 재미삼아 만들어 본 합성 사진입니다. 구름 사이로 낯선 행성이 떠 있는 모습입니다. 들판은 의성군에서 직접 찍은 사진이고 별은 그려 컴퓨터로 넣었습니다. 하늘에 떠 있는 소행성은 일반 풍경 사진을 동그랗게 말아서 소행성처럼 모양을 바꾸고 구름 뒤에 있는 것처럼 연출했습니다.
    Date2009.10.27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4 Views4083 file
    Read More
  10. 억새와 갈대

    둘 다 벼과 식물이고 가을 비슷한 때에 열매가 맺히지만 서로 다른 식물입니다. 아래 사진을 보세요. 사진 가운데를 경계로 해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식물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아래쪽에 있는 식물이 억새, 위쪽에 있는 식물이 갈대입니다. 억새 열매에는 하얀 솜털 같은 것이 붙어있어서 빛을 받으면 ...
    Date2009.10.21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693 file
    Read More
  11. 창백한 푸른 점

    창백한 푸른 점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64억km의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파란 동그라미 안에 있는 작은 점이 지구입니다. 정말 작은 점입니다. 칼 세이건이 쓴 책에 나오는 말입니다. 여기 있다. 여기가 우리의 고향이다. 이곳이 우리다.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이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 당신이 들...
    Date2009.09.25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3297 file
    Read More
  12. 강변 둑길

    *사진을 누르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강변의 둑길입니다. 한 쪽에는 넓은 들이 펼쳐져있고 한 쪽에는 강 줄기가 유유히 흐르고 있는 무척 아름다운 길입니다. 이 둑길은 걸어서 가면 대략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 되는 거리인데,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길입니다.
    Date2009.09.22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1 Views2839 file
    Read More
  13. No Image

    구글, 오프라인 출판

    구글, 오프라인 출판업 진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91829681&sid=0104&nid=004&ltype=1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나왔네요. 구글에서 절판된 책을 책 자판기를 통해서 판매한다고 하는 소식. 품질이 어떨지는 모르지만 가격도 권당 8달러 정도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절판된 책...
    Date2009.09.19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1887
    Read More
  14. No Image

    노자 10장

    낳으면서도 낳은 것을 가지지 않고 지으면서도 지은 것에 기대지 않으며 자라게 하면서도 자란 것을 지배치 않네. 이를 일컬어 가믈한 덕이라 하는 것일세.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노자 10장에서(도올 김용옥 선생 옮김)
    Date2009.09.16 Category일상/잡담 By창환 Reply0 Views20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