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계산
2009.10.08 22:46

EMB에서 지구의 위치 계산하기 예제

조회 수 7706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구-달 질량 중심(EMB)으로 표시된 지구-달 계의 위치에서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이나 계산 원리는 이전에 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예제에서는 이전에 공개한 DE404 DLL 파일에서 계산한 값을 사용합니다. 이 DLL 파일은 아래 글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한국 표준시로 2009년 10월 8일 9시의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계산하려는 일시의 세계 표준시를 구합니다. 2009년 10월 8일 9시(KST)는 UTC로 2009년 10월 8일 0시입니다. 이 날짜를 율리우스 적일로 바꾸면 2455112.5입니다. 이 때의 시각을 지구시(TT)로 바꾸면 2455112.50077107가 됩니다.


DE404로 이 때의 EMB와 달의 위치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MB의 위치는 태양 중심 황도좌표이고 달은 지구 중심 황도좌표입니다.


 

황경(도)

황위(도)

거리(km)

 EMB

 14.85221259

 -0.000050747

 149481680.8

 61.26811465

 4.139966092

 376810.3961


이제 EMB에서 지구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이 값을 직교좌표로 바꿉니다.


 

X(km)

Y(km)

Z(km)

EMB

 144487528.4

 38316145.97

 -132.3958315

 180664.466

 329554.8732

 27203.14137


이 값을 바탕으로 지구와 달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산 식은 EMB에서 지구의 위치 보정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계산 결과를 태양 중심 황도직교좌표로 나타내면 이렇습니다.


 

X(km)

Y(km)

Z(km)

지구

144485333.2

38312141.68

 -462.9298292

144665997.7

38641696.56

 26740.21154


이 값을 구면좌표계로 바꾸면 지구의 태양 중심 좌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황경(도)

황위(도)

거리(km)

 지구

14.85094469

14도 51분 3.4초

-0.000177443

-0도 0분 0.6초

 149478532.6


태양의 지구 중심 황도좌표는 지구의 태양 중심 황도 좌표에 황경 방향으로 180도를 더하고, 황위 방향으로 -1을 곱하면 됩니다. 달은 처음부터 지구 중심 좌표를 얻을 수 있으므로 따로 계산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 값은 지구 중심 좌표로 나타낸 해와 달의 위치입니다.


 

황경(도)

황위(도)

거리(km)

 해

194.85094469

194도 51분 3.4초

0.000177443

0도 0분 0.6초

149478532.6

 달

61.26811465

61도 16분 5.2초

4.139966092

4도 8분 23.9초

376810.3961


해와 달의 겉보기 위치는 여기에서 계산한 값에 광행차와 장동을 반영(달은 장동만 반영)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지구 중심좌표가 아니라 관측자 중심 좌표가 필요하다면 관측자의 위치에 따른 보정을 해 주면 됩니다. 이 주제는 다음에 새로운 글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 ?
    자운 2009.10.12 13:57

    에구! 예제를 따라 하다가 '이 때의 시각을 지구시(TT)로 바꾸면 2455112.50077107가 됩니다.'의 '지구시(TT)'부분에서 막혔네요. 시간되는대로 지구시 계산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rofile
    창환 2009.10.12 19:31

    이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NASA 일식 사이트에서 소개하고 있는 계산법입니다. 이 예제에서도 이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Delta T (ΔT)
    http://eclipse.gsfc.nasa.gov/SEcat5/deltat.html


    Polynomial Expressions for Delta T (ΔT)

    http://eclipse.gsfc.nasa.gov/SEcat5/deltatpoly.html

  • ?
    자운 2009.10.14 16:27

    예제의 지구시(TT)가 '2455112.50077107'라고 하셨는데, 저는 왜 '2455112.500772'가 나올까요?  영문 독해에 문제가 있나...

     

  • profile
    창환 2009.10.14 19:53

    예제에 쓰인 날짜가 2009월 10월 8일입니다.

    연도는 2009년이고 월은 10이므로 링크에 있는 계산식으로 y 값을 구하면 2009.79166666667가 됩니다.

    y = year + (month - 0.5)/12 = 2009 + (10-0.5)/12 = 2009.79166666667

    이 y 값으로 ΔT를 구하면

    t = y - 2000 = 2009.79166666667 - 2000 = 9.79166666667

    ΔT = 62.92 + 0.32217 * t + 0.005589 * t^2
    = 62.92 + 0.32217 * 9.79166666667 + 0.005589 * 9.79166666667^2
    = 66.6104363281264

    가 됩니다. 여기에서 계산한 ΔT 값은 단위가 초이므로 일 단위로 바꾸기 위해 86400으로 나누면

    ΔT = 0.0007709541

    TT = UT + ΔT 이므로, 이 예제에 쓰인 2009월 10월 8일의 TT는

    TT = 2455112.5 + 0.0007709541 = 2455112.5007709541

    이 됩니다.

    이 값은 예제에 계산해 놓은 값보다 약간 작은데, 이는 예제에서 날짜 단위까지 반영해서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한달을 평균 30일로 가정하고 위의 y 값을 다음 식으로 계산했습니다. y = 2009 + ((10 + 8/30) - 0.5)/12 )
    이렇게 하면 y 값은 2009.81388888889가 되고 위의 계산과 같은 방법으로 TT를 계산하면

    TT = 2455112.50077107

    이 됩니다.

    최종 결과가 자운님이 계산한 값과 0.8초 정도 차이가 나는데, 정확한 원인은 저도 알 수 없습니다.
    아마도 y 값을 계산하는 방법이 조금 달랐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로 2009년 7월 1일의 ΔT 실측치는 65.9509 초입니다(IERS).
    10월의 실측치는 아직 측정치가 나와있지 않아서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IERS 예측치는 2009년 10월 1일(2009.75)에 66.3(+-0.3)초입니다.

  • ?
    자운 2009.10.15 09:55

    자세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황도직교좌표를 구면좌표계의 황경, 황위로 바꾸는 것은 인터넷을 검색하여 겨우 알아냈는데, 

    예제의 황도직교좌표의 Z(Km)값 '-462.9298292'를 구면좌표계로 바꾸면 거리(Km)  '149478532.6'은

    즉 거리는 어떻게 변환하나요?

  • profile
    창환 2009.10.15 11:59

    거리(R)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R=√(X2 + Y2 + Z2)


    제곱근은 보통 프로그램 언어에서 sqr() 또는 sqrt() 라는 함수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컴퓨터로 계산한다면 다음 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R = sqrt(X*X + Y*Y + Z*Z)

  • profile
    창환 2009.10.15 12:04

    구면좌표계에서 직교좌표계로 혹은 그 역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 사이트에서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구면좌표계


  1. No Image

    [프로그램 소스]행성의 위치를 계산(DE404)하는 DLL 파일

    성도 프로그램에서 쓰고 있는 행성, 달 위치 계산 라이브러리입니다. 비주얼 C++ 2008에서 컴파일 할 수 있고, 프로젝트 파일을 새로 만들면 비주얼 C++ 6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 안에 들어있는 DLL 파일은 비주얼 C++ 2008에서 컴파일 한 것으로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947
    Read More
  2. [책]역서

    (사진은 2008년판, 출처: 천문연구원) -제목: 역서 -편찬: 한국천문연구원 -발행사: 남산당 -언어: 한국어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펴낸 역서입니다. 현재 매년 새로운 역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는 해당 해의 일력 자료, 해와 달, 행성, 혜성, 소행성의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517
    Read More
  3. [책]The Astronomical Almanac

    (사진은 2008년판, 출처는 구글 검색) -제목: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0 and Its Companion, The Astronomical Almanac Online: Data for Astronomy, Space Sciences, Geodesy, Surveying, Navigation, and other applications (제목 속의 연도...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225
    Read More
  4. [책]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책 표지 사진은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제목: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저자: P. Kenneth Seidelmann -출판사, 펴낸 날: University Science Books, Revised edition (2005년 8월 15일) -분량: 752쪽 -언어: 영어 -ISBN-10: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961
    Read More
  5. [책]Astronomy with your personal computer

    (책 표지 사진은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제목: Astronomy with your personal computer -저자: Peter Duffett-Smith -출판사, 펴낸 날: Cambridge University Press, 2nd edition (1990년 6월 29일) -분량: 272쪽 -언어: 영어 -ISBN-10: 052138995X -ISBN-...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183
    Read More
  6. [책]Practical Astronomy with your Calculator

    (책 표지 사진은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제목: Practical Astronomy with your Calculator -저자: Peter Duffett-Smith -출판사, 펴낸 날: Cambridge University Press, 3rd edition (1988년 3월 31일) -분량: 약 200쪽 -언어: 영어 -ISBN-10: 0521356997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068
    Read More
  7. [책]Astronomical Algorithms

    (책 표지 사진은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제목: Astronomical Algorithms -저자: Jean Meeus -출판사, 펴낸 날: Willmann-Bell, 2nd edition (1998년 12월) -분량: 477쪽 -언어: 영어 -ISBN-10: 0943396611 -ISBN-13: 978-0943396613 이 책은 천문 계산에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005
    Read More
  8. [책]역법의 원리분석

    -제목: 역법의 원리분석 -저자: 이은성 -출판사, 펴낸 날: 정음사 (1985년 2월 1일 초판 발행) -분량: 444쪽 -언어: 한국어 -ISBN-13: 2005853002988 '역법의 원리분석'은 달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달력 제작에 어떤 ...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608
    Read More
  9. No Image

    IAU2000 장동 모델

    IAU 2000 장동 모델 IAU2000 장동 모델은 국제천문연맹에서 정한 장동 계산식으로 MHB2000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수 세기의 범위에서 마이크로초(microarcsecond, μas) 단위의 정밀도를 가지는 IAU2000A 모델과 이보다 조금 낮은 정밀도를 가지지만 항...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5573
    Read More
  10. No Image

    IAU2006 세차 모델

    IAU2006 세차 모델 IAU에서는 2006년에 IAU2000에서 결정한 세차운동 식을 대체할 새로운 세차운동 식을 채택했습니다. 현재 IAU에서는 IAU2000A에서 결정한 세차운동식 대신 2006년에 채택한 새로운 식을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고, 미해군천문대에서는 2009년...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4379
    Read More
  11. No Image

    [소스코드]해와 달의 위치 계산(간단한 방법)

    해와 달의 위치 계산에 쓸 수 있는 함수입니다. 가까운 미래나 과거에 한해 비교적 낮은 정밀도로 해와 달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낮은 정밀도라고 해도 실용상으로 쓰기에는 충분한 정확도를 가집니다(일식, 월식, 엄폐 현상의 계산에는 부적...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854
    Read More
  12. No Image

    [소스코드]천문 계산용 수학 함수 모음 1

    천문 계산에 필요한 수학 함수를 모아놓은 소스코드입니다. 비주얼베이직 6 또는 MS오피스 2000이상의 VBA에서 쓸 수 있습니다. 이 소스코드에는 삼각함수, 삼각함수의 역함수, 상용로그 계산 함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이 게시판에 올라올 천문 계산...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326
    Read More
  13. No Image

    각도변환문제 : 도(degree), 시(hour), 라디안(radian)

    이 글은 2009년 4월 15일에 지돌스타님이 쓰신 글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문제는 천문 관련 계산할 때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할 각도 변환에 관련된 것이다. 매우 기초적인 내용이다. 꼭 천문 계산이 아니더라도 수학계산을 위해 이러한 내용은 잘 알고 있어...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091
    Read More
  14. No Image

    지구의 세차운동(歲差運動, Precession) 계산하기

    이 글은 2009년 4월 14일에 지돌스타님이 쓰신 글입니다. HTML 제한으로 인해 링크만 걸어놓겠습니다. 틀린부분이나 추가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 지구의 세차운동(歲差運動, Precession) 계산하기 첨부파일은 간단하게 만들어본 세차운동 계...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5768
    Read More
  15. No Image

    시간에 관해(ΔT)

    이 글은 2009년 4월 10일에 지돌스타님이 쓴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환님. 좋은 프로그램 예전 부터 너무 잘 보고 있고 올라오는 자료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질문이 있어서 글을 적습니다. 제가 요즘 천문계산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명확...
    Date2009.08.12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0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