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마철보다 더 구름이 많은 가을이지만, 혜성 소식은 올려 봅니다. 얼마 전에도 글을 썼던 C/2025 A6 (Lemmon), C/2025 R2 (SWAN)인데요, 이제 두 혜성 모두 관측하기 좋은 시점이 되었습니다. 
부디 날씨가 맑아지길 기원합니다.

 

1. C/2025 R2 (SWAN)

이제(10월 10일) 저녁천문박명 시점을 기준으로 고도 10도를 넘어섭니다. 10월 15일이 되면 고도 20도를 넘어서고요. 10월 중하순, 북반구 중위도에서 천문박명 시점을 해가 진 후 남서쪽 하늘에서 관측 가능하며, 밝기는 6등급 내외로 예상됩니다. 맨눈으로는 보기가 어렵겠지만, 망원경이나 쌍안경이 있다면 쉽게 관측 가능하리라 예상합니다. 

10월 하순에는 지구과 가깝게 접근하기 때문에 밝기에 비해 꽤 큰 겉보기 크기를 보여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진 촬영 시에는 화각을 넉넉히 잡아도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10월 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저녁천문박명 때 혜성의 위치를 지평좌표로 그린 성도를 첨부합니다. 관측지는 대전이고, 배경의 별은 10월 15일 저녁천문박명 때입니다. 

swan.pngC/2025 R2 혜성의 예상 위치(저녁 남서쪽 하늘)

 

 

2. C/2025 A6 (Lemmon)

레몬 혜성은 이번 가을 가장 밝은 혜성이 되리라 예상됩니다. 현재는 5등급 후반대로 점차 밝아지는 중인데, 예측 최대광도는 10월 하순 무렵 3등급 정도입니다. 이 혜성은 현재 새벽의 북동쪽 하늘과 저녁의 북서~서쪽 하늘 모두 관측이 가능한데, 10월 중순에는 새벽 시간이, 10월 하순부터는 저녁이 더 관측하기 편합니다. 

10월 중순 동안은 4~6등급 정도로 예상되는데 아침천문박명 떄를 기준으로 하면 10일은 고도 약 30도, 15일엔 20도 정도입니다. 10월 19일까지는 아침천문박명 때에 10도 이상의 고도를 유지합니다. 10월 9일부터 10월 21일까지, 아침천문박명 때 혜성의 위치를 지평좌표로 그린 성도를 첨부합니다. 관측지는 대전이고, 배경의 별은 10월 15일 아침천문박명 때입니다.

lemmon.pngC/2025 A6 혜성의 예상 위치(새벽 북동쪽 하늘)

10월 하순부터는 저녁하늘에 더 높이 떠오릅니다. 저녁천문박명 시전을 기준으로 10월 18일이 되면 약 10도까지 높아지며, 23일 정도면 15도를 넘어섭니다. 10월 26~27일에는 고도가 약 17도까지 높아지는데, 마침 혜성이 가장 밝은 시기입니다. 이 때 혜성은 3~4등급 정도까지 밝아집니다.

10월 9일부터 11월 23일까지, 저녁천문박명 때 혜성의 위치를 지평좌표로 그린 성도를 첨부합니다. 관측지는 대전이고, 배경의 별은 10월 15일 저녁천문박명 때입니다.

lemmon2.pngC/2025 A6 혜성의 예상 위치(저녁 서쪽 하늘)

 

?

  1. 혜성 소식- C/2025 A6 (Lemmon), C/2025 R2 (SWAN)

    장마철보다 더 구름이 많은 가을이지만, 혜성 소식은 올려 봅니다. 얼마 전에도 글을 썼던 C/2025 A6 (Lemmon), C/2025 R2 (SWAN)인데요, 이제 두 혜성 모두 관측하기 좋은 시점이 되었습니다. 부디 날씨가 맑아지길 기원합니다. 1. C/2025 R2 (SWAN) 이제(10...
    Date2025.10.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
    Read More
  2. 혜성 소식- C/2025 A6 (Lemmon), C/2025 R2 (SWAN)

    지난해 가을처럼 올 가을도 혜성 소식이 있습니다. 아주 밝지는 않지만, 대신 둘이나 되고, 관측 조건도 괜찮은 편입니다. 바로 C/2025 A6 (Lemmon)과 C/2025 R2 (SWAN)인데요, 둘 모두 현재 6등급 초반대의 밝기입니다. 1. C/2025 A6 (Lemmon) 올해 북반구에...
    Date2025.10.0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7
    Read More
  3. C/2025 R2 SWAN 혜성 소식

    최근 갑작스레 발견된 C/2025 R2 SWAN 혜성(SWAN25B) 관련하여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현재 이 혜성은 6등급 정도의 밝기이며, 북반구에서는 해가 진 후 지평선 살짝 위에 걸린 까닭에 관측이 어렵습니다(화성, 스피카 근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Date2025.09.18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92
    Read More
  4. C/2023 A3 츠진산-아틀라스 혜성 근황: 태양을 향해 뻗은 먼지꼬리

    C/2023 A3 츠진산-아틀라스 혜성은 이제 착실히 저녁하늘로 이동 중입니다. 아직은 태양과 너무 가까워서 관측은 어렵지만, 0등급 이상은 되는지라 하늘 상태가 아주 좋다면 박명 무렵에 어렴풋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태양 관측위성인 SOHO의 코로나그래프...
    Date2024.10.1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30
    Read More
  5. 새로운 대혜성 후보, C/2024 S1 (ATLAS) 이야기

    * A11bP7I의 정식 명칭은 C/2024 S1 (ATLAS) 입니다. 얼마 전 새로운 혜성의 후보인 A11bP7I가 발견되었습니다. 절대적인 크기만 보면 작고 어둡고 특별할 게 없는 천체이지만, 크로이츠 혜성군의 일원으로 근일점 거리가 약 83만 km(초기 관측을 바탕으로 추...
    Date2024.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335
    Read More
  6.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 예측

    이번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의 꼬리 모양을 예측해 봤습니다. 10월 중순, 저녁 하늘 기준이고요. 녹색은 코마, 파란색은 이온꼬리, 황토색은 먼지꼬리입니다. 먼지꼬리의 예측에는 Finson-Probstein 모델을 썼고요. 보다시피, 10월 13일은 먼지꼬...
    Date2024.10.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45
    Read More
  7.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 관측 정보

    올 가을 기대되는 혜성으로 C/2023 A3(Tsuchinshan-ATLAS) 혜성이 있는데요. 간만에 등장한 밝은 혜성이라 관측 정보를 공유합니다(성도는 대전을 관측지로 하였고, 지평좌표계로 그렸습니다. 혜성의 밝기 예측에 필요한 인수는 http://www.aerith.net/comet/c...
    Date2024.09.2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44
    Read More
  8. 루프 프리즘에서 위상차 보정 코팅의 효과

    오래 전 쌍안경에 위상차 보정 코팅을 적용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글을 게시하였습니다. 점광원의 회절 스파이크 유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이었는데, 편광판을 이용한 판별보다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별다른 도구 없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
    Date2024.01.01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33
    Read More
  9. 12P/Pons-Brooks 혜성 정보

    폰-브룩스 혜성은 주기가 71년인 단주기 혜성입니다. 1954년 근일점을 돌아나간 후, 내년(2024년)에 다시 태양에 접근할 예정입니다. 특기할 점이 있다면, 근일점이 0.78 천문단위로 태양에 가깝게 접근하지 않으면서도 태양에 근접할 때마다 맨눈으로 충분히 ...
    Date2023.12.09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81
    Read More
  10. No Image

    천문, 광학 장비 관련 국제 표준

    망원경과 천문장비 관련 국제 표준입니다. 모든 제조사가 국제 표준을 따르진 않지만, 업계의 기준이 되는 자료입니다. 한 번씩 읽어 두면 천문장비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만 이들 문서는 공개 문서가 아니며, 전문을 열람하려면 유료로 구입해야 합니...
    Date2023.10.06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17
    Read More
  11. C/2023 P1 (Nishimura) 혜성 관측정보

    C/2023 P1 (Nishimura) 혜성은 대략 일 주일쯤 전, 태양에 비교적 근접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10등급 중반대의 혜성이지만, 궤도 계산 결과 올해 9월 18일쯤 근일점을 지나며, 약 3등급까지 밝아지리라는 예측이 나온 덕에 기대를 모으고 있...
    Date2023.08.1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314
    Read More
  12. [도서] 이중성 및 다중성에 관심이 있다면, Discovering Double Stars

    이중성 관측에 관심이 있다면 도움이 되는 자료를 공유합니다. Agnes Clarke라는 분이 쓰신 Discovering Double Stars라는 책인데요. 구경 150mm 이하의 중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이중성/다중성을 소개한 자료입니다. 천체 이름과 위치, 간단한 설명을 ...
    Date2022.12.2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198
    Read More
  13. 달 지도 3종 소개

    이번에 새로운 장비로 달 지도 3종을 들였습니다. Virtual Moon Atlas 같은 전자 지도를 써도 되지만, 야외 관측지에서 전자 지도를 쓰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한 번에 넓고도 자세하게 보기엔 아무래도 아직은 인쇄물을 따라가기가 어려운 까닭에 종이 지도도 ...
    Date2022.12.1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266
    Read More
  14. 태양관측과 UHC 필터

    호기심 삼아 UHC 필터를 태양 관측에 이용하면 어떨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광대역 필터라 크게 도움이 되진 않을 듯 했지만, UHC 필터는 태양 복사가 가장 강한 영역(녹색)의 파장을 차단하고, 적색과 청녹색 계열의 파장만 통과시키는지라 조금은 다르게 보이...
    Date2022.02.02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491
    Read More
  15. [행성 촬영] 스택 비율에 따른 선명도 비교

    행성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럭키 이미징(lucky imaging) 기법을 많이 씁니다. 대기의 흔들림을 극복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사진을 대량을 촬영한 다음(보통 동영상으로 기록), 선명한 사진만 골라서 모은 평균 영상을 만들고, 이를 선명하게 만드는 방법입...
    Date2021.10.20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