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 관측일: (안시) 2025. 1. 24.    (사진) 2025. 1. 25. 
* 망원경: Svbony SV165 40mm 보조 망원경(구경 40mm, 초점거리 160mm)
* 보조장비: Celestron 천정프리즘, Svbony SV136 3x 바로우렌즈
* 접안렌즈: 솔로몬 PF 5.5mm 접안렌즈(87배)
* 참고: 사진은 ASI585MC 카메라 사용

파인더 용도로 쓰려고 구입한 40mm 망원경으로 간단한 실험을 했습니다. 
이렇게 작은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면 어떻게 보일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요즘이야 보조 망원경으로나 쓰는 기기이지만, 갈릴레이가 자작 망원경으로 목성을 보던 시기로 돌아가면 최상급의 기기가 되니까요. 실제로 이 기기가 뉴턴이나 갈릴레오가 쓰던 망원경보다는 훨씬 성능이 좋습니다.

망원경은 행성 관측에 적합하도록 고배율로 설정하고 천체를 찾기 쉽도록 등배 파인더만 붙이고, 일반 삼각대 위에 얹었습니다. 애초에 집광력이 많이 부족한 기기인지라 관측대상은 행성, 이중성으로 정했습니다. 

가볍게 들고 나갈 때는 손바닥만한 구경 40mm 망원경으로 뭐가 보일까 싶었습니다. 그런데 기대했던 것보다는 훨씬 잘 보였습니다. 관측 결과로 보건데 달도 나름 자세하게 관측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추후에 날씨가 좋아지면 사진으로도 촬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목성: 시직경 44초
2개의 줄무늬는 뚜렷합니다. 존재 확인은 쉽고, 남북으로 구불구불하다는 것도 보입니다. 북극과 남극이 저위도보다 어둡다는 점도 명확하게 확인되는지라, 잘만 하면 대적반도 보이겠다 싶을 정도입니다. 색수차는 있지만, 관측에 전혀 지장이 없는 수준입니다.

2. 화성: 시직경 14초
원반상으로 보입니다. 극관은 보이긴 하지만 겨우 알아볼 수만 있는 정도로 흐릿합니다. 표면에 밝고 어두운 무늬가 있지만 그리 선명하진 않습니다. 

3. 카스토르: 분해각 5.7초
명확히 분리가 됩니다. 눈사람인데 머리와 몸통 사이에 간격이 있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2025-01-25_215741.jpg

 

같은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구름이 조금씩 지나는 하늘에서 촬영했습니다. 시상은 좋지 않았지만, 구경이 작아서 큰 영향을 주진 않았습니다.  

사용한 카메라는 ASI585MC 카메라이고, 화성은 120초를 촬영 후 상위 40%를, 목성은 60초 촬영 후 상위 40%를 스택했습니다. 모두 동영상 3개씩을 스택 처리하여 노이즈를 줄였습니다(목성은 자전 속도가 빠르므로 디로테이션 적용, 화성은 미적용). 안시 관측과 비교하면, 안시관측 시 사진보다 작게 보이지만 보이는 세부의 느낌은 비슷합니다. 

이번 관측으로 40mm 망원경으로도 기대하는 것보다는 훨씬 많은 것이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는 있었습니다. 다만 작은 구경의 한계는 명확하고, 사용할 수 있는 부속품도 많이 제한되므로 본격적인 관측에 권하기는 어렵습니다. 훨씬 크고 좋은 망원경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시대이기도 하니까요. 이미 보유한 것을 최대한 사용하고 싶거나, 400년 전의 관측이 어떤 느낌인지 체감해 보고 싶은 때가 아니라면 말이죠. 

 

2025-01-25-1329_Jupiter.png

 

2025-01-25-1317_Mars.png

 

 

 

 

?

  1.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40mm 망원경으로 어떤 정도의 관측이 가능한지 다시 실험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SV165 대신 60mm ED 굴절망원경에 마스크를 씌워 구경을 40mm로 줄여 테스트했습...
    Date2025.02.15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
    Read More
  2.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지난 번에 이어 40mm 망원경으로 관측했습니다. 이번에는 상현달입니다. 안시 관측을 간단히 한 후, 사진으로도 남겼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선명해 보입니...
    Date2025.02.0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1
    Read More
  3.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1(목성, 화성)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2(달) [연관글] 40mm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3(목성, 화성) * 관측일: (안시) 2025. 1. 24. (사진) 2025. 1. 25. * 망원경: Svbony SV165 40mm 보조 망원경(구경 40mm, 초점거리 160mm) * 보조장비: Celestron 천정프리즘, S...
    Date2025.01.25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3
    Read More
  4. 필드스코프로 행성 관측하기(SV406P 80ED)

    1. 간단히 필드스코프로 천체 관측 구성을 만들어 봤습니다. 특별한 것은 없고요. 천체 도입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등배파인더를 연결했습니다. 필드스코프로 하늘을 볼 때는 특별한 기준점이 없다 보니 천체 도입이 늘 문제였는데, 등배파인더만 달아줘도 아주...
    Date2025.01.0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83
    Read More
  5. 도심에서 혜성 담기(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

    도심에서 C/2023 A3 쯔진산-아틀라스(Tsuchinshan–ATLAS) 혜성을 촬영해 봤습니다. 어차피 박명 무렵 하늘이 어스름하게 밝아올 때 관측이 가능하니까 광해의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으로 동쪽이 트인 장소만 찾아서 시도를 했는...
    Date2024.09.28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87
    Read More
  6. 올해 첫 토성(2024. 7. 20)

    올해 처음으로 담은 토성입니다. 촬영 떄 구름이 많았던 까닭에 선명도는 매우 떨어집니다. 잠시 하늘이 열렸던 동안 눈으로 봤을 때보다도 선명하지 못합니다. 다만 옆으로 고리가 누운 토성 촬영은 처음이라, 기록 차원에서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
    Date2024.07.2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36
    Read More
  7. 목성 - 흑백 LRGB 촬영 연습(2024. 3. 10.)

    이번에는 150mm 구경의 망원경으로 연습했습니다. 아쉽게도 시상이 나쁘고, LRGB 처리도 익숙하진 않아서 결과는 볼품이 없습니다. 20분 결과로는 많이 떨어지지만, 기록 삼아 남겨봅니다. - 촬영 일시: 2024. 3. 10.(KST) - 촬영 장소: 대전 - 망원경: Celest...
    Date2024.03.1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24
    Read More
  8. 목성 - 컬러와 흑백의 차이(2024. 3. 9.)

    얼마 전 모노 카메라를 들이고 컬러 카메라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실험 삼아 촬영했습니다. 소구경 망원경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궁금했고요. 결과물만 보면 세부나 색상 표현이나, 차이가 꽤 크게 납니다. 시상이 나쁘고, 고도도 낮아서 정확한 비...
    Date2024.03.09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24
    Read More
  9. 2024년 첫 관측(목성, 오리온자리)

    2024년들어 첫 관측을 했습니다. 70mm 짜리 작은 막스토프 망원경으로 행성과 이중성 위주로 간단히 촬영했습니다. - 촬영 일시: 2024. 1. 8.(KST) - 촬영 장소: 대전 - 망원경: 70mm 막스토프 - 가대: Skywatcher AZ-GTi 경위대 - 카메라: ZWO ASI585MC - 소...
    Date2024.01.09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218
    Read More
  10. M42(오리온대성운): 적외선 촬영의 효과

    M42 성운을 적외선-자외선 차단 필터(UV-IR Cut filter)를 사용한 상태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촬영했습니다. 적외선-자외선 차단 필터를 사용하면 가시광선 영역만 촬영이 되고, 쓰지 않으면 근자외성과 근적외선 영역도 같이 촬영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Date2023.12.10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80
    Read More
  11. 토성과 해왕성(2023. 10. 4.)

    연휴 마지막 날(2023년 1월 4일), 날이 맑아 간단히 행성을 관측했습니다. 애초 목표는 해왕성이었습니다. 이전에 올렸던, 태양계 행성 모음 사진에서 해왕성만 노이즈가 많은 저품질 사진인지라, 품질을 높여서 매끈하게 보이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함입니다. ...
    Date2023.10.04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43
    Read More
  12. 태양계 행성 모음(2023년, 2020~2023년)

    올해 찍은 행성을 모았습니다. 구경 150mm 망원경(C6 XLT)으로 올해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잘 나온 것만 골랐습니다. 거의 같은 장비 구성으로 촬영한지라 크기의 척도는 전부 거의 동일합니다.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의 모든 행성을 다 찍은 건 올해가 처음입니...
    Date2023.09.0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86
    Read More
  13. 올해 최고의 하늘을 만났습니다.

    - 관측일: 2022년 9월 21일 연이은 태풍 소식에 연일 흐린 하늘이 계속 되다, 간만에 맑은 하늘이 보여서 관측을 나갔습니다. 마침 센터링 아이피스와 레이저 콜리메이터가 전부 도착한지라 망원경 부경의 오프셋부터 광축까지 싹 조절하고 행성이 떠오르길 기...
    Date2022.09.27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1338
    Read More
  14. 화성: 80mm vs 127mm(2020. 11. 11.)

    얼마 전 카페에서 C5 XLT 경통을 들였습니다. 이미 휴대용 망원경으로 80mm 아포크로매틱 굴절(솔로몬 EDT80)을 쓰고 있었습니다. 상당히 좋은 망원경이지만, 주로 관측하는 대상이 행성이었던지라, 분해능과 집광력의 부족함이 늘 아쉬웠습니다. 새로 들인 C5...
    Date2021.05.0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47
    Read More
  15. 구경에 따른 품질 비교(80mm vs 150mm)

    망원경 구경에 따른 사진 품질의 차이를 비교했습니다. 비교 대상은 80mm 굴절 망원경과 150mm 슈미트 카세그레인 망원경입니다. 80mm 굴절은 저분산 소재에 3매 구성의 아포크로메틱 설계 렌즈로 색수차를 상당히 잘 제어한 기종입니다(솔로몬 EDT80). 150mm ...
    Date2018.06.23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35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