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2013.08.17 14:25

간단 관측기(2013.5.5)

조회 수 449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늘에 구름은 없지만, 며칠째 이틀째 계속되는 연무로 인해 뿌옇게 흐린 상태입니다. 투명도는 낮지만, 시상은 비교적 괜찮습니다. 회절링이 약간 흔들리지만,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있을 정도는 됩니다. 망원경은 광축이 맞지 않아서 회절링이 한쪽으로 쏠려 부채꼴 형태로 보이는 상태입니다. 망원경 구조상 광축을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있어서 광축이 틀어진 상태로 써야되는 게 아쉽군요. 행성을 관측할 때 대비가 낮아지고, 밝은 별을 볼 때(특히 밝은 이중성) 회절링이 상당히 방해가 되긴 하지만, 분해능은 어느 정도 유지가 됩니다.


장비 : 보그 76mm 아크로매틱 굴절(플라스틱 경통), 프뢰슬 40mm 접안렌즈, 광시야 10mm 접안렌즈, 2배 확대렌즈, 천정프리즘, bresser jwt-1 경위대


관측지 : 경북 고령군 다산면


관측대상

1. 목성 : 4개의 위성과 붉게 보이는 표면 위로 2개의 줄무늬가 보입니다. 150배에서도 상의 질은 유지가 되지만, 고도가 낮은 탓에 다른 무늬가 더 잘 보이진 않습니다. 


2. 토성 : 150배에서 고리와 본체가 선명히 보입니다. 본체를 가로지르는 약간 짙은 띠도 하나 보입니다. 윤곽은 비교적 선명하지만, 카시니 간극은 안 보입니다.


3. 이자르(Izar) : 150배에서 약간 붉게 보이는 주성과 푸른색 계열의 반성이 간신히 구분됩니다. 주성의 첫번째 회절링 바로 옆에서 조그맣게 붙어있는 푸른 점이 관측이 됩니다. 색대비가 인상적입니다.


4. 더블더블 : 150배에서 한 시야에서 둘 보두 분해가 됩니다. 두 개의 하얀색 별이 서로 직각으로 앙증맞게 붙어 있습니다.


5. 프레세페 성단 : 투명도는 좋지 않지만 그래도 워낙 밝은 성단이라 수십개의 별이 보입니다. 12.5배에서 전체 모습을 살필 수 있습니다. 37배에서는 중앙부만 보입니다. 개별 별은 37배에서 더 잘 보이지만, 전체 모습을 볼 수는 없다는 점이 아쉽네요.


6. 머리털자리 성단 : 12.5배에서 관측이 되지만 별이 느슨하게 보입니다.


* bresser 2배 확대렌즈는 이전까지 쓰던 보그 2.2배 확대렌즈보다는 상이 밝고 깨끗합니다. 커다란 렌즈 덕에 빛 손실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bresser 천정미러는 고배율에서 상의 품질을 약간 떨어뜨리긴 하지만, 크게 거슬릴 정도는 아닙니다. 표면 정밀도가 어느 정도인진 확실히 알기 어렵군요.

* bresser jwt-1 경위대(적도의 겸용)는 3인치(76mm)급 단초점 굴절망원경에 쓰기에는 무척 좋습니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가벼우므로 휴대성이 참 좋습니다. 3kg 정도의 무게를 가진 80~90mm 단초점 망원경에도 잘 어울릴 것으로 보입니다. 구경 100mm급 굴절에 쓰기에는 조금 부족할 것 같고요, 막스토프나 카세그레인식 반사굴절식 망원경으로는 구경 100mm정도까지 쓸만할 것 같습니다. 미자르 K 경위대를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

  1. 이리듐 플레어 촬영 2차 시도

    날씨는 크게 나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그리 성공적이지 않네요. 배경은 고니자리입니다. 아래 사진은 별자리 선을 대강 그려 넣은 사진.. (2009-6-25)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631
    Read More
  2. 이리듐 플레어 촬영

    사진은 이리듐 플레어입니다. 가운데에 조그맣게 그려진 하얀 선이 위성 흔적입니다.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진입니다. 예측대로라면 20시 17분 경에 이리듐 위성이 밝게 빛나야 했고, 관측 결과 그렇게 되었습니다만, 사진을 제대로 찍지는 못했습니다. 예상 ...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1959
    Read More
  3. 목성, 토성 그림

    예전에 그렸던 목성, 토성 그림. 토성은 그림자로 인해 약간 어색합니다.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715
    Read More
  4. 이리듐플레어

    이리듐 플레어 현상을 촬영하려다 실패했습니다. 이리듐 위성의 위치와 밝기를 계산해보니 관측에 매우 좋아보였습니다. 고도는 57도에 밝기는 -8등급.. 시간은 오후 8시 44분이니까 하늘도 적당히 어두운 때입니다. 그런데 밖을 보니 하늘에는 구름이 잔뜩.....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4502
    Read More
  5. [일식]어두워진 하늘

    2009년 7월 22일,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하늘이 어느만큼 어두워졌는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일식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같은 조건으로 촬영했습니다(노광 조건은 일식이 일어나기 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촬영 지역은 고령군(대구광역시 인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6542
    Read More
  6. [일식]일식의 효과-기온 하강

    이번에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태양의 복사량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국적으로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기온이 내려갔습니다(기상청 발표로는 2~4도). 여기에 실은 그림은 7월 22일...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5831
    Read More
  7. [일식]기상위성에 잡힌 달 그림자

    7월 22일 기상위성에 촬영된 달의 그림자입니다. 기상위성의 가시광 영상은 구름에 반사된 빛을 담기 때문에, 일식이 생기면 달이 드리우는 그림자가 찍히게 됩니다. 위성영상은 기상청에서 가져 왔습니다. 우선 가시광 영상입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합쳤습...
    Date2009.08.12 Category관측기 By창환 Views78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