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밝은 혜성 목록 추가 후보
C/1998 J1 SOHO
C/2001 A2 LINEAR
C/2000 WM1 LINEAR cometography
C/2002 C1 Ikeya-Zhang (=153P/Ikeya–Zhang)
C/2002 V1 NEAT cometography
C/2001 Q4 NEAT cometography
C/2002 T7 LINEAR cometography
C/2004 Q2 Machholz -> 개인적 취향
C/2004 F4 (Bradfield) cometography
17P Holmes
C/2011 L4 PANSTARRS cometography
C/2020 F3 NEOWISE
C/2021 A1 Leonard
C/2023 P1 Nishimura
C/2023 A3 Tsuchinshan-ATLAS
C/2024 G3 ATLAS
The Bortle survival limit for comets
https://earthsky.org/astronomy-essentials/bortle-survival-limit-for-comets/
Bortle derived a formula for this. If the comet was brighter than this calculated magnitude it was likely to survive. If it was fainter than the calculated magnitude, there was at least a 70% chance that it would not survive perihelion.
The formula is this: In order to survive perihelion, the absolute magnitude must be brighter than 7.0 + 6 times the perihelion distance.
In astronomical terms that is:
H10 = 7.0 + 6q, where H10 is the absolute magnitude and q is the perihelion distance in astronomical units.
화성의 고리
https://earthsky.org/space/did-ancient-mars-have-rings-deimos/
https://arxiv.org/abs/2006.00645 (원본 논문)
- 포보스가 화성에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하면서 고리를 주기적으로 만들어냄,
https://earthsky.org/space/mars-phobos-cycles-between-rings-and-moon/
지구의 고리
https://www.monash.edu/science/news-events/news/current/earth-may-have-had-a-ring-system-466-million-years-ago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12821X24004230 (논문)
Hilton, J.L., Seidelmann, P.K., & Liu Ciyuan 1992, "An Examination of the Change in the Earth's Rotation Rate from Ancient Chinese Observations of Lunar Occultations of the Planets," Astron. J., 104, 2250-2252
Gurfil, P., Lainey, V., & Efroimsky, M. 2007b, "Long-term Evolution of Orbits About a Precessing Oblate Planet: 3. A Semianalytical and a Purely Numerical Approach," Celest. Mech., 99, 261-292
Efroimsky, M. & Escapa, A. 2007, "The Theory of Canonical Perturbations Applied to Attitude Dynamics and to the Earth Rotation. Osculating and Nonosculating Andoyer Variables," Celest. Mech., 98, 251-283
Efroimsky, M. 2006b, "Long-Term Evolution of Orbits About a Precessing Oblate Planet. 2. The Case of Variable Precession," Celest. Mech., 96, 259-288
Efroimsky, M. 2005c, "Long-Term Evolution of Orbits About A Precessing Oblate Planet: 1. The Case of Uniform Precession," Celest. Mech., 91, 75-108
Efroimsky, M. 2005b, "On the Theory of Canonical Perturbations and Its Applications to Earth Rotation: A Source of Inaccuracy in the Calculation of Angular Velocity," in Journées 2004 - Systèmes de référence spatio-temporels, N. Capitaine ed., (Paris: Observatoire de Paris) 74 - 81
Kaplan, G.H. 2005b, "The IAU Resolutions on Astronomical Reference Systems, Time Scales, and Earth Rotation Models : Explanation and Implementation,"
망원경 비교(SV MK105 vs SW 102Mak)
- 달 사진: 2023. 5. 1.(SW), 2024. 5. 19.(MK)
- SV MK105를 SW 102Mak와 비교하면,
* 경통 크기: MK105가 5cm 정도 더 길고 약간 더 굵음.
* 경통 무게: MK105가 2.23kg, 102Mak 1.91kg
* 광학계
** 실제 구경: 102Mak는 95mm, MK105는 천정미러 사용 시 95mm, 미사용 시 103mm.
>> 두 망원경 모두 내부 차폐가 있음.
>> MK105는 내부 차광판을 적절히 잘라내면 천정미러 사용과 무관하게 103mm 구경을 얻을 수 있음.
** 부경 차폐: 102Mak은 37mm(39%), MK105는 33mm(32%)
>> MK105는 천정미러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33mm로 일정
** 반사 코팅: 102Mak은 주경과 부경 모두 알루미늄 코팅. 반사율은 불명이지만 강화 알루미늄 코팅일 가능성이 있음. MK105는 부경은 유전체 코팅(99%), 주경은 알루미늄 코팅(반사율 불명)
>> 102Mak의 반사율을 각각 93%, MK105는 99%, 90%로 가정하면 유효구경은 Mak102가 81mm, MK105가 92mm로 MK105 쪽의 집광력이 약 30% 높음(구경이 103mm일 때).
* 초점 조절: 둘 모두 주경 이동식. MK105는 현 세대의 막스토프로는 이미지 시프트가 다소 큰 편.
* 경통의 기계적 완성도: 102Mak 우수함. 부품 사이의 유격이 적고, 조립 완성도가 뛰어남. MK105는 광학 성능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부품 사이에 유격이 있음. 특히 경통과 주경부의 연결, 접안부가 유격에 취약함.
* 광학성능은 기본 상태에서는 둘의 성능이 비슷하지만, 기계적 완성도가 높은 102Mak 쪽이 문제가 적음. 다만 MK105는 몇 가지 최적화를 거치면 구경을 전부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광학 성능이 쉽게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향상되어 102Mak을 능가함(집광력과 분해능 모두).
* MK105에 필요한 최적화 작업
1. 도브테일 방향 변경: 무게 균형을 잡기 좋음.
2. 보정판 고정링 조절: 보정판의 스트레스 방지
3. 접안부 교체: 접안부 유격 제거
4. 포커서 손잡이 조립 상태 확인: 손잡이 고정 볼트가 제대로 잠기지 않은 상태로 판매가 되기도 함.
5. 원뿔모양 내부 차광판 가공: 앞에서 약 20mm 정도를 잘라서 광로 지름을 20~21mm 확보. 망원경의 내부 차폐 요인 제거(실제 구경 증가(95mm->103mm))
6. 광축 조절
- 평가
* MK105는 최적화를 할 경우 괜찮은 광학성능을 보여줌.
** 다만 아직 QC 문제 해결 여부가 분명치 않음.
** 기계적 만듦새에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음.
** 자체 가공이 가능하고 광학기기 점검, 수리가 어느 정도 익숙한 경우에는 괜찮음.
* 다만 아직 QC 문제 해결 여부가 불명확하고, 여전히 조립 상태가 뛰어나지 않다는 점에서 권장하기는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