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지

글 수 116
  • Skin Info

혜성 밝기식

 

H = H0 + 5 Log ∆ + 2.5 n Log R

 

* Δ: distance to the Earth (in au)

* R: Sun (in au)

SSD 다시 쓰기

 

http://www.puransoftware.com/DiskFresh.html

https://rhodesmill.org/pyephem/

AutoStitch (matthewalunbrown.com)

 

http://matthewalunbrown.com/autostitch/autostitch.html

 

이어 붙이기 성능 뛰어나지만, 채널당 8비트인 JPEG 출력만 지원하므로 후처리가 곤란함. 

이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들이 있으나 오래 전에 단종되어 구할 수 없음. 

참고

 

https://blog.naver.com/norma88/222289642627

https://blog.naver.com/norma88/222082579988

천체 궤도 결정

- oorb: https://github.com/oorb?tab=repositories

- On-line Find_Orb: https://www.projectpluto.com/fo.htm

  * offline version: https://www.projectpluto.com/find_orb.htm#read_first

- wiki: https://en.wikipedia.org/wiki/Orbit_determination

- wiki: https://en.wikipedia.org/wiki/Gauss%27s_method

LLR

 

https://tmurphy.physics.ucsd.edu/apollo/basics.html

 

DEA-431 지구형 행성과 외행성

 

https://academic.oup.com/mnras/article/466/3/2675/2928215

https://academic.oup.com/mnras/article/456/4/4015/1032033

사진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19Y4-20200314.jpg

 - 촬영: Martin Gembec, March 14th, 2020

 

궤도 요소(http://www.aerith.net/comet/catalog/2019Y4/2019Y4.html)

Epoch 2020 May 31.0 TT = JDT 2459000.5

T 2020 May 31.01590 TT                                  Bell

q   0.2528373            (2000.0)            P               Q

z  +0.0029667      Peri.  177.40807     +0.48072264     +0.62713497

 +/-0.0000129      Node   120.57004     -0.81677692     +0.57453678

e   0.9992499      Incl.   45.38181     -0.31903168     -0.52593651

From 598 observations 2019 Dec. 28-2020 Mar. 5, mean residual 0".6. 

 

밝기 예측

NASA/JPL Horison: -5(5.29.~30.), -4>(5.27~6.3.)

http://www.aerith.net/: -1(~5.30.~5.31.)

 

근일점: 0.25AU

특징

 - 현재 7등급 중반.

 - C/1844 Y1 (Great Comet) 궤도와 유사

 - 근일점 부근에선 태양과 너무 가까워서 관측환경 나쁨. 

  * -5등급보다 밝아지면 주간 관측 가능

  * 밝기 예측은 1~-10등급(위키)

  * 2월 말 아웃버스트(2.1AU 거리에서) -> 휘발성 물질 증발 가속? 

  * 남반구에서는 근일점(5.31.) 무렵 관측 불가

  * 북반구에서는 항해박명 기준으로 저녁은 북서쪽 지평선 아래에 있음(관측 환경이 좋다면 긴 꼬리 관측 가능할 듯. 2006년 C/2006P1 McNaught 혜성처럼. 근일점 거리 0.17AU, -5.5등급).

  * 북반구에서는 항해박명 기준으로 새벽은 근일점 무렵 지평선 위 1~3도 정도. 북동쪽이 트여야 함. 

  * 근일점 거리가 가깝진 않으므로 ISON처럼 소멸되진 않을 듯. 그러나 현재까지의 밝기로 보아 혜성 자체의 크기가 아주 대형은 아닌 듯 하며, 일부에서 예측하는 -10등급은 기대하기 어려울 듯. 실제로는 -1 등급 근처 아닐까.. 

  * 혜성 코마 보다는 꼬리 관측에 유리할 듯 -> 뛰어난 관측환경 필수

  * 꼬리 방향도 새벽 관측이 유리

  

창환
삭제 수정 댓글
2020.03.23 13:33:56
창환
삭제 수정 댓글
2020.03.24 12:34:53

ELP2000/MPP02 새 주소

ftp://cyrano-se.obspm.fr/pub/2_lunar_solutions/

 

창환
삭제 수정 댓글
2019.12.18 17:04:52

DE 시리즈

 

ftp://ssd.jpl.nasa.gov/pub/eph/planets/

meade1.jpg

 

meade2.jpg

 

중국이 한국을 경계하는 이유는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중국 입장에서 남한 주도의 통일한국과 맞닿아 있다는 건 간단히 프랑스와 국경을 맞대었다고 보면 된다. 한국이라고 하면 별 거 아니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자리에 프랑스를 넣으면 느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쉽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국경을 맞댄 나라가 독재국가가 아니라 민주국가 이고 경제적으로 훨씬 풍요롭다면. 국가의 전체 규모와 상관 없이 중국의 정치체계는 흔들리게 된다. 공산당 독재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대한민국은 아시아 최고 수준의 민주정을 영위하는 나라이다. 북한이 아니라 남한과 경계를 맞대면 중국은 매우 부담스러울 것이다. 멀리있는 유럽에서도 귀국을 원치 않는 중국인들이 무수히 많은 게 현실이다. 중국이 북한의 경제 발전을 달가워 않는 까닭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https://www.lpi.usra.edu/resources/mapcatalog/

https://cseligman.com/text/moons/moonmap.htm

S-MS 20x80 첫인상

 

+ 어포컬은 조리개를 통제한 상태로 촬영. 사람눈과 사출동공(2, 4, 6mm)이 비슷한 조리개 또는 f수(f8)가 비슷한 조리개로. 초점거리는 20mm

+ 이름표 145mm 금색 선 1mm 볼트 13mm 거리 122m에서 1.7 arcsec/mm

? 솔로몬 el : 2~3초 정도의 각분해능인 듯 함. ed렌즈 덕인지 횡색수차는 보유 쌍안경 중 가장 적음.

 

+ 추가

  1. 배율이 높아 대비는 약간 낮음. 주로 횡색수차 때문에 낮아지는 듯 함. 주간 색수차가 상당히 심함. 중앙부는 양호하지만 주변부로 갈수록 매우 급격히 색수차가 증가하며, 눈의 위치에 따른 차이도 심함. 심한 색수차로 인해 광학 품질이 15x70보다 뛰어나다 하기는 어려움. 22 대비겉보기 횡색수차가 2~3배. 배율은 2.25배.
  2. 대구경 고배율이라 심도가 낮음.
  3. 무겁고, 개별초점절방식이라 삼각대에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선 조작이 불편.
  4. 시야 바로 밖의 밝은 광원에 의해 생기는 플레어는 거의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수준. 이 점은 15x70보다 확연히 뛰어남.
  5. 아이릴리프는 짦은 영향이 느껴짐(주간).
  6. 중앙부 각분해능은 약 1.5~2초각에 이르는 듯. 대강 60%까지 유지되고 밖부턴 무너짐. 80%에서 7~10초, 최외곽은 15~20초 정도? 분해능 자체는 양호함. 20배라는 배율을 고려하면, 중앙부는 약 0.5분, 60%에서 0.7~0.8분, 80%에서 2.5~3분, 최외곽에서 5~7분 정도의 겉보기 분해능이 나옴. 사람 눈의 평균적인 최대 분해능인 1분을 기준으로 잡으면, 중앙부는 제법 뛰어남. 달의 지름이 30분 정도임.
  7. 그러나 횡색수차는 중앙 10%에서 4분, 30%에서 7분, 50%에선 이미 겉보기로 12분 정도에 이름. 이보다 밖에선 더 커지지는 않으나, 50%에서 이미 달의 반 정도면 주간엔 심각함.
  8. 삼각대 마운트는 8mm + 부쉬 어댑터 구성임.

 

이미 가지고 있는 MyScope 15x70과 비교하면, 

  • 코팅 품질은 비슷합니다(fully multi-coated). 
  • 프리즘은 차폐는 bw22와 비슷하게 뒷면에 차폐막을 설치하였고, 광로를 따라 동그란 차폐판이 붙어 있습니다. 옆면은 어두운 색 도료를 칠한 것으로 보이지만 완전히 까맣진 않습니다. 대물렌즈 쪽에는 차폐막이 따로 설치되어 있지만, 대신 내부 검정 도장은 평범한 수준이고, 경통 내부에 나사산과 비슷한 빗살 무늬 가공도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전체적으로 잡광 방지 설계는 괜찮은 편입니다.
  • 구경 손실도 적어 보입니다.실구경은 대략 77mm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 접안부 아이컵은 고무 재질이고 길이가 짧아 안경을 쓸 때 아이컵을 접지 않아도 그리 불편하지 않습니다. 
  • 프리즘 크기는 15x70과 비슷하거나 약간 커 보입니다. 생각보단 프리즘 크기 차이가 적습니다. 접안렌즈는 20x80이 더 큼직합니다. 
  • 개별 초점이라 조금 불편합니다.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엔 불리하지만, 별을 볼 때는 크게 신경쓸만한 문제는 아닙니다.
  • 색수차는 조금 더 심해 보이지만 야간 관측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닙니다.
  • 토성은 본체와 고리가 명료하게 분리됩니다.실제 각분해능은 5초 보다 좋을 것 같습니다.
  • 별상은 60% 지점까지 깔끔하게 유지됩니다. 주변부 상이 제법 괜찮은데, 15x70보다는 확실히 뛰어납니다.
  • 접안부에서 눈을 움직이면 상이 쉽게 나빠집니다.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범위가 좁은 편입니다.
  • 손으로 들면 확실히 무겁지만 무게 균형은 더 좋습니다.
  • 의외로 달을 볼 때 고스트가 보입니다. 달을 제외하면 전혀 영향을 주진 않겠지만 조금 아쉽습니다.
  • 15x70과 비교하면 전체 크기가 좀 더 큽니다. 15x70과 비교했을 때 체감하는 대물렌즈 크기 차이는 제법 커 보입니다.
  • 광축이 아주 완벽하진 않습니다. 양쪽이 각도로 3~4분각 정도 어긋난 듯 하지만, 실제 관측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 방수기능 있습니다. 함께 오는 가방도 튼튼합니다. 
  • 천체 관측용으로는 제법 쓸만해 보입니다. 

WMO 구름 사전

 

https://www.wmocloudatlas.org/home.html

구글에서 위경도로 고도 얻기

https://maps.googleapis.com/maps/api/elevation/json?locations=-6.699941,106.950931

e프랑티스 미동헤드(롱펑 제품과 동일)

 

1. 고도, 방위각 방향 모두 탄젠트 암 방식.

2. 고도 방향으로는 큰 각도로 조절 가능함. 방위각 방향은 미동만 가능하므로 추가 헤드가 필요함. 

3. 고도 방향의 조절 각도는 방위각 미동 손잡이가 있는 방향으로는 10도 정도, 반대 방향으로는 90도가 가능.

4. 미동 부분의 유격으로 인해 아주 튼튼하게 고정되진 않으므로, 가이드 마운트 거치용도로는 부적합.

5. 작은 필드스코프나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쓸만함. 

6. 윤활유 사용 부분이 밖으로 드러나있어, 손에 묻을 가능성이 있음. 

7. 가격이 저렴하지만, 큰 매력은 없음. 

8. 1kg 미만의 탑재중량이면 적당해 보임.

9. 미동부의 유격으로 인한 진동 때문에 장시간 노출을 이용한 사진 촬영 목적의 카메라 고정에는 부적합.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