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19Y4-20200314.jpg
- 촬영: Martin Gembec, March 14th, 2020
궤도 요소(http://www.aerith.net/comet/catalog/2019Y4/2019Y4.html)
Epoch 2020 May 31.0 TT = JDT 2459000.5
T 2020 May 31.01590 TT Bell
q 0.2528373 (2000.0) P Q
z +0.0029667 Peri. 177.40807 +0.48072264 +0.62713497
+/-0.0000129 Node 120.57004 -0.81677692 +0.57453678
e 0.9992499 Incl. 45.38181 -0.31903168 -0.52593651
From 598 observations 2019 Dec. 28-2020 Mar. 5, mean residual 0".6.
밝기 예측
NASA/JPL Horison: -5(5.29.~30.), -4>(5.27~6.3.)
http://www.aerith.net/: -1(~5.30.~5.31.)
근일점: 0.25AU
특징
- 현재 7등급 중반.
- C/1844 Y1 (Great Comet) 궤도와 유사
- 근일점 부근에선 태양과 너무 가까워서 관측환경 나쁨.
* -5등급보다 밝아지면 주간 관측 가능
* 밝기 예측은 1~-10등급(위키)
* 2월 말 아웃버스트(2.1AU 거리에서) -> 휘발성 물질 증발 가속?
* 남반구에서는 근일점(5.31.) 무렵 관측 불가
* 북반구에서는 항해박명 기준으로 저녁은 북서쪽 지평선 아래에 있음(관측 환경이 좋다면 긴 꼬리 관측 가능할 듯. 2006년 C/2006P1 McNaught 혜성처럼. 근일점 거리 0.17AU, -5.5등급).
* 북반구에서는 항해박명 기준으로 새벽은 근일점 무렵 지평선 위 1~3도 정도. 북동쪽이 트여야 함.
* 근일점 거리가 가깝진 않으므로 ISON처럼 소멸되진 않을 듯. 그러나 현재까지의 밝기로 보아 혜성 자체의 크기가 아주 대형은 아닌 듯 하며, 일부에서 예측하는 -10등급은 기대하기 어려울 듯. 실제로는 -1 등급 근처 아닐까..
* 혜성 코마 보다는 꼬리 관측에 유리할 듯 -> 뛰어난 관측환경 필수
* 꼬리 방향도 새벽 관측이 유리
중국이 한국을 경계하는 이유는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중국 입장에서 남한 주도의 통일한국과 맞닿아 있다는 건 간단히 프랑스와 국경을 맞대었다고 보면 된다. 한국이라고 하면 별 거 아니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자리에 프랑스를 넣으면 느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쉽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국경을 맞댄 나라가 독재국가가 아니라 민주국가 이고 경제적으로 훨씬 풍요롭다면. 국가의 전체 규모와 상관 없이 중국의 정치체계는 흔들리게 된다. 공산당 독재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대한민국은 아시아 최고 수준의 민주정을 영위하는 나라이다. 북한이 아니라 남한과 경계를 맞대면 중국은 매우 부담스러울 것이다. 멀리있는 유럽에서도 귀국을 원치 않는 중국인들이 무수히 많은 게 현실이다. 중국이 북한의 경제 발전을 달가워 않는 까닭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S-MS 20x80 첫인상
+ 어포컬은 조리개를 통제한 상태로 촬영. 사람눈과 사출동공(2, 4, 6mm)이 비슷한 조리개 또는 f수(f8)가 비슷한 조리개로. 초점거리는 20mm
+ 이름표 145mm 금색 선 1mm 볼트 13mm 거리 122m에서 1.7 arcsec/mm
? 솔로몬 el : 2~3초 정도의 각분해능인 듯 함. ed렌즈 덕인지 횡색수차는 보유 쌍안경 중 가장 적음.
+ 추가
이미 가지고 있는 MyScope 15x70과 비교하면,
e프랑티스 미동헤드(롱펑 제품과 동일)
1. 고도, 방위각 방향 모두 탄젠트 암 방식.
2. 고도 방향으로는 큰 각도로 조절 가능함. 방위각 방향은 미동만 가능하므로 추가 헤드가 필요함.
3. 고도 방향의 조절 각도는 방위각 미동 손잡이가 있는 방향으로는 10도 정도, 반대 방향으로는 90도가 가능.
4. 미동 부분의 유격으로 인해 아주 튼튼하게 고정되진 않으므로, 가이드 마운트 거치용도로는 부적합.
5. 작은 필드스코프나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쓸만함.
6. 윤활유 사용 부분이 밖으로 드러나있어, 손에 묻을 가능성이 있음.
7. 가격이 저렴하지만, 큰 매력은 없음.
8. 1kg 미만의 탑재중량이면 적당해 보임.
9. 미동부의 유격으로 인한 진동 때문에 장시간 노출을 이용한 사진 촬영 목적의 카메라 고정에는 부적합.
삼양광학 Polar 800mm F8 반사식 렌즈
- 초점거리 800mm, 유효구경 100mm.
- 중앙차폐율 : 45%(지름 기준), 20%(면적 기준)
- 광학 성능은 가격대비 괜찮은 편.
- 망원경으로서의 성능은 80mm 급 아크로메틱 굴절망원경과 비슷한 수준(색수차는 없고 대비는 낮은 굴절망원경) : 접안렌즈를 연결하고 삼각대에 고정하면 휴대용 망원경으로 괜찮은 성능을 보여줌. 시상이 안정된 날은 200배까지 가능함. 200배를 넘는 배율은 무리인 것으로 판단됨.
* 목성 : 줄무늬가 보이지만 관측환경이 좋지 않아 성능을 판단하기는 어려움. 큰 줄무늬 두 개는 쉽게 보임.
* 화성 : 표면의 무늬가 보임. 지름 3~4초각 정도의 형태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음.
- 사진렌즈로서는 꽤 쓸만하지만 삼각대 고정이 힘든 까닭에 초점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움. 카메라에 마운트 한 상태로 삼각대를 쓸 수는 있지만, 무게 균형이 앞으로 쏠리는 까닭에 진동에 매우 취약함. 렌즈에 삼각대 마운트가 달린 기종(TH 붙은 모델)은 안정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음. 그러나 초점 미세조절은 쉽지 않음. 풀프레임 카메라를 위한 렌즈라 이미지서클은 넓음.
- 망원경으로써의 성능
* 성능은 유효구경에 비하면 많이 이쉬움.
* 집광력은 70mm 굴절망원경과 큰 차이가 없어 보임. 중앙차폐에 의한 영향만 보면 90mm 굴절과 비슷하지만, 거울 2장의 반사를 고려하면(반사율을 82%로 가정) 73mm 굴절과 비슷.
* 분해능은 2~3초 정도는 나오는 것으로 보임. 그러나 아직 접안렌즈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으므로 확실치는 않음.
* 가장 큰 문제는 대비가 매우 낮다는 것임. 색수차가 있는 단초점 아크로메틱 굴절보다 낮은 대비를 보여줌. 또한 부결차폐가 20% 중반대의 막스토프 카세그레인에 비해서도 많이 낮음. 행성 관측에서 2~3초 정도의 무늬 식별은 되지만, 대비가 낮아 관측이 쉽지는 않음.
* 반사굴정 답게 색수차는 아크로메틱 굴절망원경에 비해 훨씬 적은 편. 색수차만 보면 아포크로메틱보다아주 조금 못한 수준(다른 수차까지 고려하면 상의 품질은 아크로메틱 굴절보다 떨어지는 수준)
* 배율은 200배를 넘어서면 선명도와 상의 밝기 모두에서 열화가 심해짐. 150배 정도면 적당해 보임.
* 파인더를 따로 달 수 없는 구조라 높은 배율에서 천체를 찾기가 상당히 어려움.
* 그러나... 휴대성은 50mm 지상망원경과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뛰어남. 70mm 단초점 굴절보다는 훨씬 짧고(굵기는 굵음) 가벼워서, 부담 없이 휴대할 수 있음.
* 가격도 중고로 10만원 중반대로 저렴한 편.
* 결론적으로 색수차가 적고 저렴한 70mm 아크로매틱 굴정 정도 성능의 망원경을 아주 가볍게 들고다닌다 생각하면 됨.
배열 수식
MS의 안내 자료
https://support.office.com/en-us/article/Guidelines-and-examples-of-array-formulas-7d94a64e-3ff3-4686-9372-ecfd5caa57c7
예시
http://www.mrexcel.com/forum/excel-questions/561282-correlation-if-statement.html
Control+Shift+Enter 로 입력
셀 표시는 { } 안에 식이 들어있는 형태로 표시됨.
예제 sample.xlsx
by Ronald Stoyan (Author), Storm Dunlop (Translator)
Volume 1. Ancient–1799
Part of Cometography
http://www.cambridge.org/kr/search?iFeelLucky=false¤tTheme=Academic_v1&query=Comet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