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본래 주된 관측 대상이 행성, 달이라 대형 쌍안경을 잘 쓰지 않았지만, 겨울은 행성 관측에 적당하지 않는 날이 많고 혜성도 오랜만에 오는지라 하늘을 넓게 훑어보는 형식으로 안시 관측을 즐겨보려고 쌍안경을 찾던 중, 마침 적당한 매물이 나와 구입했습니다. 헬리오스 스텔라 II 15x70 쌍안경인데요. 적당히 큰 구경과 적당히 가벼운 무게, 적당히 괜찮은 화질이 매력인 제품입니다. 첫 인상만 간단히 남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종은 MS 15x70과 디자인이 아주 비슷해서 혼동을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같은 기종은 아니고요, MS 15x70을 기반으로 일부 사양을 다운그레이드한 경량화 기종입니다. 서로 비교하면 이렇습니다(제가 MS 15x70을 사용해 보지 못해 여러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했습니다). 

 

P1082105.JPG P1082107.JPG
P1082109.JPG P1082111.JPG

​헬리오스 스텔라 II 15x70 쌍안경. 접안부는 원래 있는 아이컵을 뽑아내고, EVA 폼으로 아이가드를 만들어 붙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안경을 쓰고 관측하기에는 더 편합니다.

 

- 구경: 같은 70mm. 두 기종 모두 구경 차폐가 생기지 않음. 

- 반사 방지 코팅: 두 기종 모두 모든 광학면(렌즈, 프리즘)에 다층 코팅. 그러나 MS 15x70 쪽의 다층 코팅이 약간 더 뛰어나다고 합니다. 제조사에서 밝히는 사양은 스텔라 2가 투과율 85%, MS 15x70은 92% 정도입니다.  

- 프리즘
 * 재질은 둘 모두 Bak4로 같습니다. 
 * 프리즘 크기는 두 기종의 가장 큰 차이로 보입니다. 스텔라 2는 딱 구경 차폐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만 만들었습니다. 크기가 0.5mm 만 작아져도 차폐가 생기는 수준입니다. 반면 MS 15x70은 고급기종 답게 넉넉한 크기의 프리즘을 썼습니다. 프리즘 크기는 넉넉한 편이 좋습니다.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긴 합니다다만, 약간 크기에 여유가 있어야 비축광에서 빛 손실이 안 생깁니다. 스텔라 2 처럼 아슬아슬한 크기의 프리즘을 쓰면 중심상은 문제가 없지만, 주변부에서 약간의 광손실이 일어납니다. 또한 프리즘 내부의 난반사를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습니다. 대신 쌍안경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성이 좋아지는 장점은 생깁니다. 두 쌍안경의 크기와 무게 차이도 결국 프리즘의 크기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 접안렌즈
 * 초점 조절 방식은 둘 모두 개별 초점입니다. 
 * 접안렌즈는 서로 비슷하지만 같은 설계는 아닌 듯 합니다. MS 15x70 쪽의 주변상이 조금 더 뛰어나다는 평이 다수입니다. 
 * 반면 안경을 쓰는 경우라면 스텔라 2 쪽이 더 편리합니다. 아이릴리프가 20mm로 MS 15x70보다 2mm 더 길고, 접안렌즈를 고정하는 구조가 안으로 덜 파고 들어간 방식이라 안경을 쓰고도 아무런 불편이 없습니다. 
 * 접안렌즈 초점 조절 시 스텔라 2는 제법 큰 유격이 있습니다. 실 사용에 딱히 문제가 되는 수준은 아닙니다만, 단단히 고정되는 느낌은 없습니다. 해외의 다른 사용기에도 같은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설계상의 결함으로 보입니다. 

- 몸체 재질: 둘 모두 마그네슘 합금이라 단단합니다. 프리즘 고정도 MS 15x70과 스텔라 2 모두 단단하게 되어 있습니다. 

- 무게, 휴대성: 작은 프리즘 덕에 스텔라 2 쪽이 휴대성이 좀 더 좋습니다. 1.75kg으로 손으로 들고도 어느 정도 사용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프리즘 뭉치가 작은 덕에 손으로 움켜잡기도 조금 더 편합니다. MS 15x70은 무게가 2.45kg으로로 삼각대 없이는 활용이 어려워 보입니다. 

- 광학 성능: 상위 기종인 MS 15x70이 더 좋다고 합니다. 밝기, 대비, 주변부 선명도, 내부 반사 억제에서 더 뛰어나다는 평이 다수입니다. 색 재현 능력, 중심상이나 색수차 제어는 비슷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스텔라 2는 MS 15x70을 경량화한 염가판으로, 낮은 비용으로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10만원 초중반대에 판매되는 15x70 쌍안경보다는 확실한 우위에 있고, MS 15x70보다는 약간 아래에 있는 제품입니다, 가격도 둘의 중간 정도로 잡혀 있고요. 

야간에 실제로 사용한 결과 첫 느낌은 꽤 좋습니다. 별상이 주변부까지 무난하고, 집광력도 구경 대비 충분히 괜찮습니다. 관측 환경이 좋지 않았음에도(대도시, 보름달, 심한 미세먼지로 육안 한계 등급이 3등급에 불과한 상태) 은하수에 깔린 성단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조건만 좋다면 꽤 풍성한 관측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자세한 사용기는 시간을 두고 사용한 다음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솔로몬 천체관측용 쌍안경 (2) 10x50

    *** 솔로몬 익스프레스에서 샘플로 도입한 쌍안경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여 작성한 리뷰입니다. 수입을 고려 중인 제품으로 판매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최종 출시 제품과 사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구경: 50mm 배율: 10배 시야: 7.0도(123m at 1000m...
    Date2023.02.22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93
    Read More
  2. 솔로몬 천체관측용 쌍안경 (1) 훑어보기(10x50, 15x70)

    *** 솔로몬 익스프레스에서 샘플로 도입한 쌍안경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여 작성한 리뷰입니다. 수입을 고려 중인 제품으로 판매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최종 출시 제품과 사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솔로몬 천체관측용 쌍안경은 MS 시리즈를 기반으로...
    Date2023.02.22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329
    Read More
  3. 쌍안경용 파인더 베이스와 태양필터 자작

    천체 관측에 적당한 쌍안경을 들인 김에 두 가지 보조 장비를 만들어 봤습니다. 파인더베이스와 태양필터인데요. 자작하실 때 도움이 될까 싶어 정보를 공유합니다. 1. 파인더베이스 쌍안경 배율이 높아지면 대상을 도입하기가 불편해집니다. 이번에 20x70 쌍...
    Date2023.02.12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65
    Read More
  4. 솔로몬 PF 접안렌즈 리뷰 - (2) 성능

    * 이 리뷰에 쓰인 제품은 솔로몬옵틱스에서 협찬해 주셨습니다. 지난번 리뷰에서는 솔로몬 PF 접안렌즈의 만듦새를 살펴보았습니다. 가격에 비해 세심하고 튼실하게 만들어진 제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자격이 충분한 제품입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솔로몬 PF...
    Date2023.02.09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221
    Read More
  5. 솔로몬 PF 접안렌즈 리뷰 - (1) 사양과 외관, 만듦새

    * 이 리뷰에 쓰인 제품은 솔로몬옵틱스에서 협찬해 주셨습니다. ​ 솔로몬 PF 접안렌즈는 지난해(2022년) 9월쯤 발매한 중저가형 접안렌즈입니다. 플랫필드라는 이름답게 평탄한 주변상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렌즈로, 60~65도의 광시야와 16~23mm의 긴 아이릴리...
    Date2023.02.04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45
    Read More
  6. 헬리오스 스텔라 II 15x70 쌍안경 첫인상 - MS 15x70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래 주된 관측 대상이 행성, 달이라 대형 쌍안경을 잘 쓰지 않았지만, 겨울은 행성 관측에 적당하지 않는 날이 많고 혜성도 오랜만에 오는지라 하늘을 넓게 훑어보는 형식으로 안시 관측을 즐겨보려고 쌍안경을 찾던 중, 마침 적당한 매물이 나와 구입했습니...
    Date2023.01.14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86
    Read More
  7. [도서] 이중성 및 다중성에 관심이 있다면, Discovering Double Stars

    이중성 관측에 관심이 있다면 도움이 되는 자료를 공유합니다. Agnes Clarke라는 분이 쓰신 Discovering Double Stars라는 책인데요. 구경 150mm 이하의 중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이중성/다중성을 소개한 자료입니다. 천체 이름과 위치, 간단한 설명을 ...
    Date2022.12.24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5
    Read More
  8. 20달러에 얻는 텔레센트릭 광학계, Angeleyes 5x 바로우렌즈 리뷰

    Angeleyes 5x 바로우렌즈는 얼마 전 쓴 보급형 5배 바로우 렌즈 비교 리뷰에서 간단히 다룬 제품입니다. 겉보기엔 미화 18달러 남짓의 평범한 보급형 바로우렌즈인 것 같은데, 뭔가 좀 이상합니다. 그래서 이 제품만 따로 쓰게 되었는데요, 자세히 살펴보겠습...
    Date2022.12.18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35
    Read More
  9. 보급형 5배 바로우렌즈 4종 비교

    보급형 5배 바로우렌즈 4종을 비교해 봤습니다. 모두 미화 50달러 이하의 제품으로 직구로 구입 가능합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중국산 저가형 5배 바로우렌즈는 사양을 제대로 지킨 제품이 거의 없고 성능도 떨어지므로, 조금 비싸더라도 GSO 5배 바로우 ...
    Date2022.12.17 Category천문장비 By창환 Views1006
    Read More
  10. 달 지도 3종 소개

    이번에 새로운 장비로 달 지도 3종을 들였습니다. Virtual Moon Atlas 같은 전자 지도를 써도 되지만, 야외 관측지에서 전자 지도를 쓰기 어려울 수도 있고, 한 번에 넓고도 자세하게 보기엔 아무래도 아직은 인쇄물을 따라가기가 어려운 까닭에 종이 지도도 ...
    Date2022.12.17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