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129)

  • 직교좌표와 구면좌표 [2]
    천문학에서는 보통 천체의 위치를 나타낸 때 구면좌표를 씁니다. 적경과 적위, 황경과 황위 또는 방위각과 고도 등과 같이 기준이 되는 점에 대한 각도를 써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천문 계산을 할 때에...
    창환 | 2010-01-15 17:02 | 조회 수 15940
  •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입니다.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각, 행성의 위치, 역서, 음양력 변환, 고천문 자료 검색과 같은 다양한 천문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질문상자 코너에서는 관련 전문가의 답변을 들을...
    창환 | 2009-11-25 13:59 | 조회 수 50637
  • 항성시와 세계시의 길이 비율 [2]
    평균 항성시와 평균 세계시(UT1)의 길이 비율은 세계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를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의 길이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 값은 지구가 얼마나 빠르게 자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값이 클수록 ...
    창환 | 2009-11-21 13:37 | 조회 수 9188
  • Heavens Above
    Heavens Above는 오늘, 하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사이트입니다. 특히 인공 위성과 소행성, 혜성 관측에 편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만약 국제 우주 정거장(ISS)나 이리듐 플레어 현상을...
    창환 | 2009-11-01 22:52 | 조회 수 50669
  • 합성 사진 [4]
    오래 전에 재미삼아 만들어 본 합성 사진입니다. 구름 사이로 낯선 행성이 떠 있는 모습입니다. 들판은 의성군에서 직접 찍은 사진이고 별은 그려 컴퓨터로 넣었습니다. 하늘에 떠 있는 소행성은 일반 풍경 사진을 ...
    창환 | 2009-10-27 15:51 | 조회 수 4053
  • 관측자중심좌표 구하기 [4]
    (1) 지구 중심 좌표와 관측자 중심 좌표 지구 중심 좌표는 지구 중심에서 천체를 보았을 때의 좌표입니다. 이 좌표의 중심은 지구의 한 가운데에 있습니다. 천체의 위치를 계산할 때 주로 쓰이며 (책으로 인쇄된) 대...
    창환 | 2009-10-25 13:37 | 조회 수 72732
  • 항성시 계산(IAU2006) [6]
    항성시는 우주에 고정된 기준을 두고 이 기준점에 대한 겉보기 운동으로 측정하는 시간 체계입니다.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항성일)는 지구 공전의 영향으로 인해 태양시로 나타낸 하루(태양일)보다는 약간 짧습니다....
    창환 | 2009-10-17 01:27 | 조회 수 15540
  • NASA Eclipse Web Site
    NASA에서 만든 식 정보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일식, 월식, 행성식 등 식 현상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는 일식과 월식입니다. 특히 일식의 경우 기원전 2000년부터 기...
    창환 | 2009-10-12 19:15 | 조회 수 9538
  • EMB에서 지구의 위치 계산하기 예제 [7]
    지구-달 질량 중심(EMB)으로 표시된 지구-달 계의 위치에서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이나 계산 원리는 이전에 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
    창환 | 2009-10-08 22:46 | 조회 수 7616
  • Planetary Fact Sheet
    미항공우주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태양계 자료입니다. 현재까지 관측된 행성, 위성의 물리량을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창환 | 2009-09-11 21:43 | 조회 수 11547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