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89)

  • 60mm로 찍은 달, 금성(2020.4.1.)
    Meade Advanture Scope 60 망원경으로 다시 촬영을 했습니다. 행성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대로 촬영을 했더니 확실히 일반 카메라로 찍은 것보다 낫습니다. 기본 해상도가 크게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대비가 낮은 부...
    창환 | 2020-04-02 00:49 | 조회 수 237
  • 토성(2018.6.1.)
    요즘 점점 가까워지는 토성입니다. 아쉽게도 남중했을 때에도 고도가 대략 30도 정도로 낮아서 시상이 좋은 날은 만나기 어렵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에도 고도가 25도 정도로 낮아서 아주 선명하진 않습니다. - 망원...
    창환 | 2018-06-02 08:38 | 조회 수 131
  • 화성, 목성, 토성(2018.5.19.~20.)
    간만에 주말 날씨가 맑아 촬영했습니다. 시상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크게 나쁘지도 않았습니다. 목성을 촬영할 때(19일 밤)가 가장 안정되어 있었고, 화성을 촬영할 때(20일 새벽)에는 초점을 맞출 수는 있었...
    창환 | 2018-05-20 12:32 | 조회 수 346
  • 화성(2016.6.12.)
    화성입니다. 127mm 구경 망원경에 직초점으로 촬영한 다음, 2배 확대해서 마무리 했습니다.
    창환 | 2016-07-23 20:42 | 조회 수 202
  •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혜성고 소행성의 자세한 궤도 정보와 관련된 물리적 특성을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현재와 과거 자료를 모두 검색할 수 있습니다.
    창환 | 2016-02-14 02:24 | 조회 수 530
  • 태풍 전야의 행성(2014.7.8)
    태풍이 오기 전날 밤에 찍은 화성과 토성입니다. 밤에 구름 사이로 한동안 모습을 드러낼 때 찍은 것인데, 투명도는 괜찮은 편이었지만, 시상은 아주 안 좋았습니다. 잠시 초점이 맞는듯 보이다가 완전히 흐려지는 게...
    창환 | 2014-07-09 01:16 | 조회 수 786
  • 목성(2014.1.26.)
    2014년 1월 26일 밤에 촬영한 목성입니다. 투명도도 4~5 정도로 좋고 시상도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는 GSO의 5배 바로우와 Apex 127mm 막스토프-카세그레인 망원경, 올림푸스 E-M5입니다. 노출시간 15초 정...
    창환 | 2014-01-28 11:44 | 조회 수 1588
  • 목성(2014.1.24.)
    2014년 1월 24일 촬영한 목성입니다. 해가 바뀌고 계속 시상이 좋지 않았는데, 오랜만에 시상이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의 구성이 이전과 약간 바뀌었습니다. 징후아의 2배 바로우렌즈 대신 GSO의 5배 바로우...
    창환 | 2014-01-25 01:11 | 조회 수 1499
  • 목성(2014.1.16~17)
    2014년 1월 16~17일 찍은 목성입니다. 그나마 올해 들어선 시상이 가장 좋았던 것 같습니다. 다만 21시 무렵 사진을 찍을 때에는 반투명한 구름이 하늘을 덮고있어, 밝기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올림푸스의 E...
    창환 | 2014-01-16 23:56 | 조회 수 1629
  • 목성(2014.1.13)
    목성입니다. 지난번까진 WA 10mm 접안렌즈를 써서 확대촬영을 했지만, 이번에는 2배 바로우 렌즈만 써서 찍었습니다. 확대율이 줄었는데, WA 10mm를 썼을 때의 2/3 크기입니다. 크기는 작지만 색수차가 보이지 않아 ...
    창환 | 2014-01-13 02:41 | 조회 수 1659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