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10.06.13 23:58

새 혜성 C/2009 R1 (McNaught)

조회 수 757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2009 R1 (McNaught)


Sat_comet_WEB.jpg ▲ 40년만에 나타난 대혜성, C/2006 P1 McNaught. 2007년 1월,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혜성과 별 관련은 없습니다만..(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omet_McNaught )


C2009_r1_mcnaught.jpg 

▲ 이번에 접근하는 새로운 혜성, C/2009 R1 McNaught. 2007년의 McNaught 혜성과 비교하면 보잘것 없어 보이지만, 2등급 중반까지 밝아지는 혜성은 드문 편입니다.(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2009_R1 )



월드컵 열기에 가려 크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최근 혜성 하나가 근일점에 접근하면서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가장 밝아질 때의 고도가 낮고 흐린 날이 많은 장마철이라 보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하늘이 열린 맑은 날 밤, 맨눈으로 혜성을 본다면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C/2009 R1 (McNaught) 혜성은 천문학자 R. H. McNaught가 2009년 9월 9일에 발견한 혜성입니다. 처음 발견하였을 때에는 17.5등급에 불과한 어두운 혜성이었지만 태양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꾸준히 밝아져 올해 7월 초에는 2등급 중반까지 밝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예상대로 밝아진다면 2007년의 대혜성(C/2006 P1 McNaught)과 1997년에 접근한 헤일-밥(C/1995 O1) 혜성, 1996년의 햐쿠타케 혜성(C/1996 B2)에 이어 지난 십 수년 사이에 접근한 혜성 가운데 가장 밝은 혜성 가운데 하나가 됩니다*1


1. C/2009 R1 (McNaught) 혜성의 위치


equ.png


위의 그림은 2010년 6월 12일부터 8월 11일까지 C/2009 R1 (McNaught) 혜성의 위치를 그린 그림입니다. 이 혜성은 6월 초 페르세우스 자리에 머무르다 6월 하순에서 7월 초에 마차부자리와 쌍둥이자리를 지나며 가장 밝아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의 예상 등급은 약 2등급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림에 표시된 밝기보다 훨씬 밝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후 7월 중순 이후에 게자리를 지나며 점차 어두워져 눈으로 볼 수 있는 한계인 6.5등급 아래로 어두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혜성의 밝기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얻으시려면 참고자료 1번 링크에 연결된 문서를 보시기 바랍니다.


2. 언제 관측할까?

C/2009 R1 (McNaught) 혜성은 6월 말에서 7월 초까지가 관측에 가장 적당한 시기입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한국에서는 장마철이라 맑은 날을 만나기 어렵고, 달 또한 밝은 시기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더구나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고도가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은 상당히 나쁜 편입니다. 


먼저 저녁 시간을 살펴보겠습니다.


evening.png


위의 그림은 항해박명 시간의 C/2009 R1 (McNaught) 혜성의 위치를 그린 것입니다. 지평좌표계로 혜성의 위치를 그려 놓았기 때문에 배경에 있는 별의 위치는 날마다 다르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위의 그림으로 알 수 있는 사실은 저녁 시간에는 혜성을 제대로 관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 혜성은 7월 3일(한국시 기준)에 근일점을 통과하면서 가장 밝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때, 혜성의 고도는 항해 박명 시각을 기준으로 1도 정도에 불과합니다. 북서쪽 하늘이 완전히 열려 있고, 날씨가 좋다고 하더라도 2등급 정도의 밝기로는 제대로 된 관측을 하기가 어려운 조건입니다. 그나마 6월 말에는 고도가 조금 더 높아 조건이 조금 더 좋습니다만, 그래도 4도가 채 안됩니다.


새벽 시간은 6월 말까지는 조건이 조금 더 좋은 편이었지만, 7월로 넘어가면 역시 관측 조건이 매우 나쁩니다. 아래 그림은 항해 박명 시각에 혜성의 위치를 그린 그림입니다. 역시 지평좌표 기준으로 배경의 별은 매일 위치가 바뀝니다.


morning.png 

이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7월이 되면 새벽에도 거의 관측이 불가능해집니다(그러고 보니 이 글을 너무 늦게 올린 느낌이 듭니다. 사과드립니다).


이런 형편은 남반구에서도 마찬가지인지라(오히려 북반구보다도 관측 조건이 안 좋습니다), 올해 7월 지구 내에서는 조건이 좋은 환경에서 관측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3. 그러면 어떻게 관측을 할까?

최선의 방법은 우주로 가서 관측을 하는 것입니다만,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이고..

7월이 되기 전에 혜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 놓고, 북서쪽 하늘이 최대한 열린 곳을 찾아가 해가 진 지 얼마되지 않아 어스름한 하늘 속에서 혜성을 찾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도 맨눈으로는 관측이 어렵고 망원경을 써도 혜성의 핵만 어렴풋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2등급이면 혜성 중에서는 아주 밝은 편이지만, 실제로는 빛으로 거의 오염되지 않은 어두운 곳에서 혜성의 고도가 제법 높을 때 관측을 해야 꼬리를 흐릿하게 볼 수 있는 정도입니다. 항해박명 시각이라면 하늘이 여전히 밝아서 예외적으로 밝은 혜성(예를들어 2007년의 대혜성처럼)이 아니라면 멋진 모습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도시의 하늘이라면..


이 글을 조금 보름쯤 일찍 썼으면 좋을 뻔 했습니다..

(이 글은 2010년 6월 28일에 마무리하여 이곳에 게시했습니다.)



*주--

*1: 앞의 세 혜성을 제외하고 1996년 이후 발견된 혜성 가운데 겉보기 밝기가 3등급 보다 밝은 혜성: C/2000 WM1 (LINEAR) [2000년 최대], C/2002 V1 (NEAT) [2003년 최대], C/2004 F4 (Bradfield) [2004년 최대], C/2006 P1 (McNaught) [2007년 최대]


*참고 자료:
1) Seiichi Yoshida, http://www.aerith.net/comet/catalog/2009R1/2009R1.html
2)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C/2009_R1
3) IAU Minor Planet Center, http://www.cfa.harvard.edu/iau/Ephemerides/Comets/2009R1.html

?
  • ?
    리겔 2010.06.30 14:54

    오~ 그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학생이라 보기 힘든것이 안타갑군요......

  • profile
    창환 2010.07.02 00:18

    고맙습니다.

    요즘은 장마철이라 저도 보기가 힘드네요..


  1.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3

    이번에는 지난 번에 이야기한 대로 시간 계산에 쓰이는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이 모듈에 쓰이는 상수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원래 지난 번 글에서 다루어야 했지만 깜빡했네요. 1. 상수이 모듈은 모두 8개의 상수를 사용합...
    Date2010.09.14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599
    Read More
  2.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2

    아주 오래 쉬었습니다. 지난 번의 글에서 함수의 역할만 대강 설명을 했는데, 이번 글부터는 조금 더 자세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음양력 변환 함수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 함수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속 함수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먼저...
    Date2010.09.06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610
    Read More
  3. 새 혜성 C/2009 R1 (McNaught)

    C/2009 R1 (McNaught) ▲ 40년만에 나타난 대혜성, C/2006 P1 McNaught. 2007년 1월, 낮에도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혜성이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혜성과 별 관련은 없습니다만..(사진 출처: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omet_Mc...
    Date2010.06.13 Category천문 일반 By창환 Views7571
    Read More
  4. No Image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예전에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이라는 자료를 이곳에 올려 놓았습니다. 이 자료에는 음양력 변환을 할 수 있는 VB용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소스코드에는 주석이 거의 없어서 어떻게 음양력을 계산하는지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앞으로 몇 편...
    Date2010.02.0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624
    Read More
  5.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조선 세종대에 만든 천체 관측기기로 해가 없는 밤에도 별을 이용해 시각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실록을 보면, 세종 19년(1437) 4월 15일에 4대를 완성했는데, 한 대는 사진처럼 용으로 장식을 해서 궁궐 내에 설치를 했고, 나머지 ...
    Date2010.02.0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10368
    Read More
  6. No Image

    관측자중심좌표계에 관하여

    관측자중심좌표는 지구 표면 위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나타낸 좌표계입니다. 이 좌표계는 관측자에게 실제로 관측되는 좌표를 알려줍니다. 관측자중심좌표를 구할 때에는 지구중심좌표에 아래 사항을 반영해주면 됩니다. 1) 항성-일주 광행차(diurnal aberratio...
    Date2010.01.2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941
    Read More
  7. No Image

    지구중심좌표계에 관해서

    지구중심좌표계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쓰는 좌표계 가운데 하나로,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계입니다. 여기에서 지구의 중심은 지구 타원체의 중심입니다. 지구중심좌표계로 나타낸 위치에는 관측지에 따른 위치의 차이가 포함되어 ...
    Date2010.01.2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8979
    Read More
  8. No Image

    국역이 이루어진 천문 관련 고서

    국역이 이루어져 있는 천문 관련 고서 목록입니다. 모두 조선시대에 펴낸 책을 번역한 것이지만 고려사 역지, 천문지, 오행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에는 이전 시대의 기록이 담겨 있습니다. 1. 천문류초(天文類抄) 옮긴이: 김수길, 윤상철 펴낸곳: 대유학당, 2...
    Date2010.01.22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530
    Read More
  9. No Image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 천문학편

    『한국과학기술사자료대계』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펴낸 과학기술 관련 도서 142종의 문헌을 모아서 펴낸 책으로 모두 7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운데 1~10권이 천문학 관련 도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고천문 연...
    Date2010.01.21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6594
    Read More
  10. No Image

    고천문 관련 '한국서지(韓國書誌)' 수록 도서 목록

    『한국서지(韓國書誌)』는 지금으로부터 120여년 전 프랑스의 서지학자인 모리스 꾸랑이 지은 서지 목록으로,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에서부터 구한말에 펴낸 '한성순보'까지 3821 종에 이르는 도서의 정보를 크게 9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
    Date2010.01.20 Category고천문학 By창환 Views70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0 Next
/ 20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