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642)

  • 스보니(Svbony) 5배 바로우 렌즈 사용기
    < 사양 > - 확대배율: 5배(실측: 3.6배.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규격: 31.7mm - 광학계: 3매 아포크로매틱(실측: 2군 2매, 색수차 감소 설계 없음) - 코팅: 다층 코팅(실측: 4개의 광학면 중 바깥쪽 2개면 ...
    창환 | 2022-07-23 17:55 | 조회 수 537
  • 50mm로 본 달(2022. 7. 11.)
    얼마 전 받은 가이드 망원경 겸 파인더의 성능 확인차 촬영해 보았습니다. 50mm 단초점 아크로매틱으로 어느 정도까지 찍을 수 있는지, 기록 차원에서 남겨 봅니다. 구경이 작은 탓에 분해능의 한계는 명확합니다만, ...
    창환 | 2022-07-14 21:09 | 조회 수 90
  • 초승달(2022. 6. 4.)
    간만에 초승달을 촬영했습니다. 아무래도 단초점 굴절이라 색수차를 줄이려 노란색 필터를 써서 촬영했습니다. 색수차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는 좀 더 사용을 해야 알 것 같습니다. 밝은 부분의 대비 저하가 줄어든 ...
    창환 | 2022-06-07 23:52 | 조회 수 50
  • 목성과 금성 접근(2022. 5. 1.)
    간만에 행성의 근접 현상이 있었습니다. 새벽의 밝은 하늘이지만 금성과 목성이 워낙 밝은 행성이라 잘 보였습니다. 조금 더 일찍 관측했으면 좋았겠지만, 동쪽에 산이 있어 하늘이 밝아진 다음에야 가능했습니다. 망...
    창환 | 2022-05-01 14:15 | 조회 수 68
  • 아직은 조금 이른, 행성(2022. 4. 20.)
    아직은 조금 이른 감이 있지만, 행성을 촬영했습니다. 새벽에 동쪽 하늘을 보면 4개가 나란히 늘어선 모습이 이색적입니다. 아직은 고도가 낮고 곧 해가 떠오르는지라 관측시간이 짧아 조금 아쉽습니다만, 그래도 한 ...
    창환 | 2022-05-01 14:11 | 조회 수 77
  • 금성(2022. 4. 9.)
    간만에 행성을 다시 촬영해 봤습니다. 오는 봄 동안 새벽하늘에 아주 여러 행성이 모이는 덕분에,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면 셋 이상의 행성 관측이 가능합니다. 아직은 고도가 좀 낮지만, 점차 관측환경이 좋아집니다...
    창환 | 2022-04-09 14:08 | 조회 수 54
  • 흑점 크게 보기(2022. 4. 2~3.)
    여태 60mm 망원경으로 태양을 촬영했지만, 아무래도 분해능이 아쉬웠습니다. 멀쩡히 있는 구경 150mm 짜리 망원경도 활용을 하고 싶었고요. 그래서 150mm 구경 전체를 전부 활용할 수 있는 대형 태양필터를 마련하여 ...
    창환 | 2022-04-03 17:32 | 조회 수 56
  • 흑점(2022. 3. 9.)
    커다란 흑점이 나타난지라 촬영했습니다. 태양필터도 손을 봐서, 주름을 더 폈습니다. 이전에 비해 조금은 더 선명해진 느낌이 듭니다. 흑점 반암부의 줄기 무늬 같은 것도 흔적이 겨우 보입니다. 사진에서 동그랗게 ...
    창환 | 2022-03-26 16:39 | 조회 수 43
  • 6cm와 6인치 망원경으로 본 달(2022. 2. 10.)
    스카이로버 60mm 망원경을 들인 김에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스카이로버 60mm 망원경은 이전에 쓰던 자작 60mm 망원경보다는 광학성능이나 기계 성능이 더 좋습니다. 아무래도 렌즈 소재가 업그레이드되다 보니 색수...
    창환 | 2022-03-05 13:38 | 조회 수 141
  • 태양관측과 UHC 필터
    호기심 삼아 UHC 필터를 태양 관측에 이용하면 어떨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광대역 필터라 크게 도움이 되진 않을 듯 했지만, UHC 필터는 태양 복사가 가장 강한 영역(녹색)의 파장을 차단하고, 적색과 청녹색 계열의 ...
    창환 | 2022-02-02 14:30 | 조회 수 28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