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338)

  • 달(2018.5.23.)
    월령 7일의 달입니다. 카메라 센서 크기가 작고 경위대의 추적 정밀도가 떨어지는 까닭에 리듀서를 써서 촬영했습니다. 두 사진 모두 여러 장을 찍어 모자이크처럼 한 장으로 합쳤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색상을 강조...
    창환 | 2018-05-25 20:41 | 조회 수 117
  • 대적반과 이오의 그림자(2018.5.20.)
    목성의 위성 이오(Io)의 그림자와 대적반(Great Red Spot, GRS) 입니다. 목성이 자전하면서 대적반이 점차 앞면으로 떠오르고, 위성 이오의 그림자는 목성 표면에서 밖으로 이동 중입니다. 촬영 방법, 처리 기법, 시...
    창환 | 2018-05-21 23:11 | 조회 수 229
  • 화성, 목성, 토성(2018.5.19.~20.)
    간만에 주말 날씨가 맑아 촬영했습니다. 시상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크게 나쁘지도 않았습니다. 목성을 촬영할 때(19일 밤)가 가장 안정되어 있었고, 화성을 촬영할 때(20일 새벽)에는 초점을 맞출 수는 있었...
    창환 | 2018-05-20 12:32 | 조회 수 346
  • 도심 일주(2018.5.19.)
    길을 걷다 어디서든 별을 찍어 볼 요량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봤습니다. 앱에서 장노출을 지원하긴 하지만 아이폰 6S 카메라의 한계(최장 셔터시간이 1/3초)로 어두운 별이 찍히진 않네요. 그래도 나름 쓸만한 것 ...
    창환 | 2018-05-19 18:07 | 조회 수 341
  • 아리스타쿠스와 코페르니쿠스(2018.4.28.)
    아리스타쿠스(Aristarchus)와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운석공입니다. 아리스타쿠스는 달에서 가장 밝은 지형 가운데 하나입니다. 계곡과 산, 고원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지형이 특징입니다. 코페르니쿠스는 폭풍의 ...
    창환 | 2018-05-16 07:12 | 조회 수 211
  • 플라톤, 알프스(2018.4.28.)
    플라톤 운석공(Plato Crater)과 알프스 산맥(Monte Alpes) 지역입니다. 플라톤 내부에는 여러 개의 작은 운석공이 있습니다. 왼쪽 아래의 작은 사진에 각각의 지름을 적어두었습니다. 분명하게 식별이 가능한 것 중 ...
    창환 | 2018-05-15 01:39 | 조회 수 100
  • 달의 남부 지역(2018.4.29.)
    달의 남부 지역입니다. 고지대로 대부분의 지역이 운석공으로 덮였습니다. 보름 무렵이라 그림자는 잘 안 보입니다. 사진의 왼쪽 위, 가장 눈에 잘 띄는 운석공이 티코입니다. * 망원경 : Celestron C6 XLT * 사진기 ...
    창환 | 2018-05-13 22:35 | 조회 수 91
  • 비의 바다, 습기의 바다, 구름의 바다(2018.4.26.) [1]
    연습 삼아 촬영한 달의 바다입니다. * 망원경 : Celestron C6 XLT * 사진기 : ZWO ASI224MC
    창환 | 2018-05-13 22:09 | 조회 수 183
  • 추위의 바다, 감로주의 바다(2018.4.24.)
    달의 바다 두 곳입니다. 행성 촬영을 위한 카메라 구입 후 시험삼아 촬영한 영상입니다. 카메라에 익숙치 않고 시상이 떨어져 화질은 떨어집니다. * 망원경 : Celestron C6 XLT * 사진기 : ZWO ASI224MC (1) 추위의 ...
    창환 | 2018-05-13 21:42 | 조회 수 116
  • 달 세부(2018.4.25.)
    달의 세부 확대 영상입니다. 사용한 장비는 셀레스트론의 C6 XLT 망원경과 징후아의 2배 확대 렌즈, 셀레스트론 GT 경위대, ZWO ASI224MC 카메라입니다. (1)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엑소더스(Exsodus), 버그(B...
    창환 | 2018-05-13 11:17 | 조회 수 19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