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도좌표↔황도좌표

    천체의 좌표를 적도좌표에서 황도좌표 또는 황도좌표에서 적도좌표로 바꾸려면 아래 식을 쓰면 됩니다. 이 계산에 쓰이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λ : 황경 β : 황위 α : 적경 δ : 적위 ε :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 (1) 적도좌표에서 ...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887
    Read More
  2. No Image

    진황도경사각 계산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은 특정 시점의 실제 황도경사각으로 평균황도경사각(Mean obliquity of the ecliptic)에 장동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반영해주면 얻을 수 있습니다. 진황도경사각은 적도좌표와 황도좌표 사이의 상호 변환에 쓰...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904
    Read More
  3. 평균 황도 경사각 계산

    황도경사각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이루는 각도입니다. 이 각도를 기호로 ε이라고 표기하며 현재 약 23.5도이지만 실제로는 22.1도에서 24.5도 사이의 범위에서 느리게 변화합니다. ▲ 황도 경사각의 정의 특정 순간의 평균황도경사각은 아래에 소개하는 식을 ...
    Date2009.10.1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3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