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93)

  • 올해 첫 목성, 토성(2021. 4. 18.)
    올해 처음으로 목성과 토성을 담았습니다. 아직 고도가 낮아서, C5 망원경으로 가볍게 촬영했습니다. 해가 뜰 무렵까지 구름이 계속 지나는 탓에 눈으로만 즐기다, 해가 뜰 무렵이 되어서야 촬영했습니다(새벽 5시 40...
    창환 | 2021-05-01 14:06 | 조회 수 65
  • 3일 동안의 달(2020. 12. 20~22.)
    2020년 12월 20일에서 22일 사이, 목성과 토성의 근접 현상을 관측하는 틈틈이 찍은 달 사진입니다. 20일은 60mm 굴절망원경으로, 21일과 22일은 127mm 슈미트 카세그레인 망원경으로 찍었습니다. 60mm로 찍은 달은 6...
    창환 | 2020-12-23 23:08 | 조회 수 82
  • 화성(2020. 9. 28.), 6cm 망원경으로 본 행성(9. 27.)
    6인치로 관측한 화성입니다. 시상이 좋았던 9월 27일에는 6cm 망원경으로 촬영을 하느라 6인치 망원경을 쓰지는 못했습니다. 아쉬운 마음에 다음 날 촬영을 했는데, 아쉽게도 시상은 전날보다 나빴습니다. 그래도 하...
    창환 | 2020-10-01 16:17 | 조회 수 797
  • 80mm로 본 행성(2020.9.13.)
    80mm 굴절망원경으로 촬영한 행성입니다. 시상이 그리 좋은 날씨는 아닌지라, 작은 망원경만 써서 촬영했습니다. 화성은 대접근(10월 6일)이 가까워진 까닭에 크기가 제법 커졌습니다. 목성의 본체보다도 더 큽니다. ...
    창환 | 2020-09-21 00:40 | 조회 수 391
  • 목성, 토성, 가니메데(2020.8.23.)
    목성과 토성, 가니메데입니다. 시상이 좋은 편이어서 비교적 선명하게 나왔습니다. 가니메데는 실제 표면이 찍힌 것인지 영상처리 과정에서 생긴 것인지 분명히 확인하기 위해 촬영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창환 | 2020-09-20 18:37 | 조회 수 107
  • 목성(2020.8.18. 재처리)
    다시 하늘이 구름으로 덮인 까닭에 18일에 찍은 영상을 다시 처리했습니다. 지난 번보다는 조금 더 부드럽지만 세부를 더 살리고 노이즈를 줄였습니다. 가니메데 표면도 조금은 더 잘 보입니다. 망원경의 분해능이 0....
    창환 | 2020-09-20 18:32 | 조회 수 37
  • 목성, 토성(2020.8.18.)
    이틀 연속으로 날이 맑은가 싶더니만, 촬영 중에 구름이 들어옵니다. 그래도 시상은 좋은 편이라 행성은 볼만했습니다. - 촬영 일시 : 2020. 8. 18. - 촬영 장소 : 밤 9~10시 무렵 - 망원경(경통/렌즈) : 셀레스트론 ...
    창환 | 2020-09-20 18:28 | 조회 수 42
  • 목성, 토성(2020.8.17.)
    거의 2달만에 망원경을 꺼내서 촬영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철이 되니 시상이 꽤 좋아지네요. 안시로도 굉장히 선명하게 보이는 날이었습니다. 목성의 세부는 150mm 급 망원경으로는 끌어낼만큼 끌어내지 않았나 싶습...
    창환 | 2020-09-20 18:25 | 조회 수 54
  • 60mm로 본 행성(2020.6.28.)
    구름이 살짝 걷힌 틈을 타 촬영했습니다. 60mm 망원경을 써서 고배율로 관측할 때와 비슷한 느낌으로 찍혔습니다. 목성은 위성 3개가 같이 보입니다. - 촬영 일시: 2020.6.28. 23:32(목성), 23:38(토성) (KST) - 촬영...
    창환 | 2020-07-02 00:13 | 조회 수 147
  • 금성, 화성, 목성(2020.6.21.)
    행성철을 앞두고 촬영해 봤습니다. 토성은 마지막에 촬영하려 했는데, 날이 밝아지는 바람에 찍지 못했습니다. 80mm 망원경으로도 제법 선명하게 찍힙니다. 사진은 촬영 시점의 겉보기 크기와 동일한 비율입니다. - ...
    창환 | 2020-06-21 14:46 | 조회 수 139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