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89)

  • 행성촬영에 좋은 두 가지 프로그램
    행성이나 이중성, 달처럼 먼 곳에 있는 피사체를 고해상도로 확대해서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는 한 장으로 찍는 것 보다는 여러 장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한 다음 한 장으로 합치는 것이 화질에서 훨씬 유리합...
    창환 | 2013-12-23 21:09 | 조회 수 2369
  • 목성, 카스토르(2013.12.22.)
    목성과 이중성을 찍어봤습니다. 하늘 상태는 시상(피커링 등급 기준)은 3~4의 가운데, 3.5 정도였습니다. 대기의 흔들림이 심해서 섬세한 세부를 찍기엔 좋은 환경은 아니었습니다. 투명도는 엷은 구름으로 인해 그리...
    창환 | 2013-12-23 10:39 | 조회 수 1708
  • 금성(2013.12.22.)
    금성 해질녘의 금성입니다. 초승달 같은 모양이 되었네요. Orion Apex127 + 징후아 광시야 10mm 확대배율: 약 3배, 환산초점거리: 4630mm(F 36.5, Apex 127의 실질 유효구경인 120mm를 대입하면 F 38.6) (어떤 이유에...
    창환 | 2013-12-22 20:35 | 조회 수 1321
  • 목성(2013.12.22.)
    두 번째 시도해 본 목성(Jupiter) 확대촬영 결과입니다. 시상은 지난번과 비슷한 정도입니다. 망원경으로 보면 상이 계속 떨리는 게 느껴지는 평범한 정도였습니다. 망원경은 Orion Apex 127, 접안렌즈는 징후아 광시...
    창환 | 2013-12-22 12:44 | 조회 수 1444
  • IAU Minor Planet Center
    국제천문연맹(IAU)의 한 분과인 소행성센터 홈페이지입니다. 소행성과 혜성의 천체 목록, 궤도요소, 밝기 예측 등 태양계 내의 작은 자연천체에 관한 방대한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입니다.
    창환 | 2013-01-27 13:37 | 조회 수 2424
  • Planetary Fact Sheet
    미항공우주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태양계 자료입니다. 현재까지 관측된 행성, 위성의 물리량을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창환 | 2009-09-11 21:43 | 조회 수 11547
  • 2012년 12월 21일 지구 종말? [4]
    2012년 12월 21일? (이 그림은 무카이 타다시의 가설에 따라 해왕성 바깥 지역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행성의 상상도입니다. 출처는 http://www.cps-jp.org/pub/cps/press080228_j.html ) 지난 일요일 조카들이랑 MB...
    창환 | 2009-09-08 01:41 | 조회 수 5395
  • DE404 DLL 파일 사용법 [8]
    이 글은 다음 게시물에서 첨부한 파일의 사용법입니다. [프로그램 소스]행성의 위치를 계산(DE404)하는 DLL 파일 http://blueedu.dothome.co.kr/xe/815 아래 코드는 설명서에 있는 코드입니다. 이 소스 코드는 비주...
    창환 | 2009-08-19 22:08 | 조회 수 9258
  • [프로그램 소스]행성의 위치를 계산(DE404)하는 DLL 파일 [3]
    성도 프로그램에서 쓰고 있는 행성, 달 위치 계산 라이브러리입니다. 비주얼 C++ 2008에서 컴파일 할 수 있고, 프로젝트 파일을 새로 만들면 비주얼 C++ 6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 안에 들어있는 DLL 파일...
    창환 | 2009-08-12 03:28 | 조회 수 8903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