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59)

  • 목성(2014.1.26.)
    2014년 1월 26일 밤에 촬영한 목성입니다. 투명도도 4~5 정도로 좋고 시상도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는 GSO의 5배 바로우와 Apex 127mm 막스토프-카세그레인 망원경, 올림푸스 E-M5입니다. 노출시간 15초 정...
    창환 | 2014-01-28 11:44 | 조회 수 1588
  • 목성(2014.1.24.)
    2014년 1월 24일 촬영한 목성입니다. 해가 바뀌고 계속 시상이 좋지 않았는데, 오랜만에 시상이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촬영 장비의 구성이 이전과 약간 바뀌었습니다. 징후아의 2배 바로우렌즈 대신 GSO의 5배 바로우...
    창환 | 2014-01-25 01:11 | 조회 수 1499
  • 목성(2014.1.16~17)
    2014년 1월 16~17일 찍은 목성입니다. 그나마 올해 들어선 시상이 가장 좋았던 것 같습니다. 다만 21시 무렵 사진을 찍을 때에는 반투명한 구름이 하늘을 덮고있어, 밝기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올림푸스의 E...
    창환 | 2014-01-16 23:56 | 조회 수 1629
  • 목성 지도 만들기
    망원경으로 촬영한 목성 사진을 이용해서 만든 목성 지도입니다. 이 예시는 2013년 12월 22일 촬영한 2장의 사진으로 만든 것인데요, 원본 사진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 못해서 인상적인 결과를 얻지는 못 했습니다. ...
    창환 | 2014-01-14 22:58 | 조회 수 986
  • 목성(2014.1.13)
    목성입니다. 지난번까진 WA 10mm 접안렌즈를 써서 확대촬영을 했지만, 이번에는 2배 바로우 렌즈만 써서 찍었습니다. 확대율이 줄었는데, WA 10mm를 썼을 때의 2/3 크기입니다. 크기는 작지만 색수차가 보이지 않아 ...
    창환 | 2014-01-13 02:41 | 조회 수 1659
  • 목성, 카스토르(2013.12.22.)
    목성과 이중성을 찍어봤습니다. 하늘 상태는 시상(피커링 등급 기준)은 3~4의 가운데, 3.5 정도였습니다. 대기의 흔들림이 심해서 섬세한 세부를 찍기엔 좋은 환경은 아니었습니다. 투명도는 엷은 구름으로 인해 그리...
    창환 | 2013-12-23 10:39 | 조회 수 1707
  • 목성(2013.12.22.)
    두 번째 시도해 본 목성(Jupiter) 확대촬영 결과입니다. 시상은 지난번과 비슷한 정도입니다. 망원경으로 보면 상이 계속 떨리는 게 느껴지는 평범한 정도였습니다. 망원경은 Orion Apex 127, 접안렌즈는 징후아 광시...
    창환 | 2013-12-22 12:44 | 조회 수 1443
  • 목성(2013.12.7)
    망원경 사고선 처음 시도해 본 목성 확대촬영 결과입니다. 시상은 괜찮은 편이었는데, 결과는 그다지 좋질 않네요. 망원경은 Orion Apex 127, 접안렌즈는 징후아 광시야 10mm입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장비로는 이...
    창환 | 2013-12-08 00:24 | 조회 수 1354
  • 목성, 토성 그림
    예전에 그렸던 목성, 토성 그림. 토성은 그림자로 인해 약간 어색합니다.
    창환 | 2009-08-12 10:56 | 조회 수 667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