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340)

  • 80mm 굴절 망원경 비교 - 아포크로매틱과 아크로매틱
    굴절망원경은 대물렌즈 설계에 따라 아크로매틱 망원경과 아포크로매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크로매틱(achromatic)은 2개 파장의 빛이 같은 곳에 초점을 맺도록 맞춘 망원경으로, 보통 2매 구성입니다. 색수차...
    창환 | 2023-09-10 21:55 | 조회 수 356
  • 목성, 토성, 천왕성, 달(2023. 9. 9.)
    간만에 주말을 앞두고 날씨가 좋아 여러 천체를 촬영했습니다. 촬영 분량이 360GB가 되니 처리에만 한참이 걸리네요. - 촬영 일시: 2023. 9. 9. 새벽 0~5시(KST) - 촬영 장소: 대전, 진천 - 망원경: Celestron C6 XLT...
    창환 | 2023-09-10 18:56 | 조회 수 53
  • 태양계 행성 모음(2023년, 2020~2023년)
    올해 찍은 행성을 모았습니다. 구경 150mm 망원경(C6 XLT)으로 올해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잘 나온 것만 골랐습니다. 거의 같은 장비 구성으로 촬영한지라 크기의 척도는 전부 거의 동일합니다.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창환 | 2023-09-02 23:35 | 조회 수 84
  • 목성형 행성 모음(2023. 9. 2.)
    요즘은 자정 이후 4개의 목성형 행성이 모두 떠오릅니다. 행성 관측을 주로 한다면 좋은 기회인데요. 마침 주말을 앞두고 날이 맑아져 촬영했습니다. 자정 이후 시상은 대체로 괜찮은 편이었지만, 한번씩 대기가 크게...
    창환 | 2023-09-02 12:49 | 조회 수 41
  • 2023년 8월의 슈퍼문(2023. 8. 31.)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이 뜬다는 소식에 촬영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촬영이 간편한 80mm 굴절 망원경을 썼습니다. 보름이 살짝 지난 시점이라 오른 쪽이 살짝 이지러졌습니다. 완전히 동그란 모습일 때 찍어보고 싶다...
    창환 | 2023-09-01 19:41 | 조회 수 62
  • 초승달(2023. 8. 20.)
    간만에 달이 보여 촬영했습니다. 이번에는 전에 들였지만, 어울리는 날씨를 만나지 못했던, EvoGuide 50입니다. 애초에 행성 촬영용은 아닙니다만, 제 손에 들어온 이상 달이든 행성이든 한 번씩은 거쳐갑니다. 가이...
    창환 | 2023-08-20 23:35 | 조회 수 23
  • 남해상에 태풍을 닮은 작은 폭풍이 지납니다.
    어제부터 지켜보고 있는데, 남해상으로 태풍을 닮은 작은 폭풍이 지나는 중입니다. 언제 시작되었는지 아직 정확히 찾아보진 못했습니다만 17일부터는 확실히 있었고요, 17일 오키나와 약간 북쪽의 바다에 있던 것이 ...
    창환 | 2023-08-19 10:09 | 조회 수 493
  • C/2023 P1 (Nishimura) 혜성 관측정보 [3]
    C/2023 P1 (Nishimura) 혜성은 대략 일 주일쯤 전, 태양에 비교적 근접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10등급 중반대의 혜성이지만, 궤도 계산 결과 올해 9월 18일쯤 근일점을 지나며, 약 3등급까지 밝아지...
    창환 | 2023-08-17 22:08 | 조회 수 128
  • 새벽달(2023. 5. 11.)
    새벽달이 보여서 담아 봤습니다. 낮은 고도, 오락가락 지나는 옅은 구름, 떨어지는 시상, 실내 촬영 조합이라 화질은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만, 요즘 워낙 하늘을 보기 어려운 날씨라 담아 봤습니다. 색을 강조하지 않...
    창환 | 2023-05-11 22:31 | 조회 수 59
  • 달, M3 구상성단(2023. 5. 1.)
    날이 맑아 다시 달을 촬영했습니다. 해상도에 한계는 있지만, 구경 100mm 망원경을 담는 달은 꽤 괜찮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럭저럭 해상도가 좋으면서도 작업에 부담이 없어서 자주 찍게 됩니다. 이날 시상은 평범...
    창환 | 2023-05-02 21:53 | 조회 수 52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