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93)

  • 색깔있는 달
    2012년 7월 28일 찍은 달입니다. 왼쪽은 별다른 처리를 하지 않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색을 도드라지게 강조한 사진입니다. 색을 강조한 사진에서 주로 바다 부분은 푸르스름하고 육지 부분은 붉으스레한 색을 띱니다...
    창환 | 2012-07-29 10:10 | 조회 수 4298
  • 달(월령 9일)
    월령 9일의 달 *촬영 : 보그 76mm 아크로매틱 F6.6 - 촬영 시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 구경 35mm, F14.3 으로 줄여 촬영하였음. - 노이즈 제거를 위해 2장 촬영 후 합성, 선명도 강화. - 135 기준 환산초점거리는 10...
    창환 | 2012-07-28 20:41 | 조회 수 2524
  • 2012년 6월 4일 부분월식
    지난 2011년 12월 10일에 있었던 개기월식의 기억이 남아있어서인지, 올해 6월 4일 있을 부분월식에 대한 관심은 덜한 편입니다. 올해 6월 4일에는 보름달이 뜰 때 달의 일부가 이지러진 상태로 뜨는 모습을 볼 수 있...
    창환 | 2012-05-20 16:19 | 조회 수 4405
  •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3 [1]
    이번에는 지난 번에 이야기한 대로 시간 계산에 쓰이는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이 모듈에 쓰이는 상수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원래 지난 번 글에서 다루어야 했지만 깜빡했네요. 1....
    창환 | 2010-09-14 23:21 | 조회 수 8608
  •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3]
    예전에 '음력-양력 상호 변환 함수 모듈'이라는 자료를 이곳에 올려 놓았습니다. 이 자료에는 음양력 변환을 할 수 있는 VB용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소스코드에는 주석이 거의 없어서 어떻게 음양력을 계산...
    창환 | 2010-02-07 09:42 | 조회 수 12633
  • 천문 상수
    천문 계산에 종종 쓰이는 천문 상수를 모아봤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원래의 문서를 살펴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07 http://www.kasi.re.kr/...
    창환 | 2009-10-09 15:35 | 조회 수 6295
  •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2]
    천체력에서 지구의 위치를 표시할 때 주로 쓰는 EMB(Earth-Moon Barycenter, 지구-달 질량 중심)는 지구와 달의 질량 중심을 가리키는 약호입니다. 지구와 달은 공동의 질량 중심인 EMB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공전하...
    창환 | 2009-09-30 15:36 | 조회 수 16129
  • 반달
    반달
    창환 | 2009-08-15 22:13 | 조회 수 2630
  • [책]The Astronomical Almanac
    (사진은 2008년판, 출처는 구글 검색) -제목: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0 and Its Companion, The Astronomical Almanac Online: Data for Astronomy, Space Sciences, Geodesy, Surveying, Navigation...
    창환 | 2009-08-12 02:47 | 조회 수 4189
  • [소스코드]해와 달의 위치 계산(간단한 방법) [1]
    해와 달의 위치 계산에 쓸 수 있는 함수입니다. 가까운 미래나 과거에 한해 비교적 낮은 정밀도로 해와 달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낮은 정밀도라고 해도 실용상으로 쓰기에는 충분한 정확도를 가집니...
    창환 | 2009-08-12 02:26 | 조회 수 6768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