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8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00_7200.JPG

▲ 2009년 11월 26일에 생긴 짙은 안개. 시정은 약 300m 정도로 추정됩니다. (촬영장소는 경북 고령)


지난 2009년 11월 26일에는 전국 곳곳에 짙은 안개가 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공항이 마비되고 교통 흐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exp.gif 

▲ 2009년 11월 26일 9시 33분의 합성 영상(기상청)


지상의 넓은 면적에 발생한 짙은 안개는 위성 영상에도 나타납니다. 위의 영상은 2009년 11월 25일 오전 9시 33분에 촬영한 영상입니다. 합성영상으로 가시광 영상은 붉은색으로, 적외선 영상은 푸른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안개는 고도가 낮고 온도가 높은 편이라서 적외선 영상으로는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가시광선으로 찍은 영상에는 잘 나타나는 편인데, 위의 그림에서는 연두색, 하늘색으로 표시해 둔 부분이 안개가 낀 영역입니다.


연두색으로 표시해 놓은 부분은 지상에서 생긴 안개인데, 골짜기를 따라 퍼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지상에서 주로 생기는 복사 안개의 경우, 두께가 얇기 때문에 높은 고도까지 상승하지 못하고 낮은 골짜기에서만 머무르기 때문입니다. 지상에서 생긴 안개는 위성영상에서는 시간에 따른 위치의 이동이 거의 없고, 낮이 되면서 안개가 옅어짐에 따라 면적이 좁아지고 색이 연해지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를 해 둔 곳은 이 글의 첫머리에 있는 사진을 촬영한 곳입니다. 짙은 안개로 인해 구름이 잔뜩 낀 흐린 날처럼 보입니다. 아래에 있는 두 장의 사진도 같은 곳에서 찍었습니다.


100_7202.JPG 

▲ 안개로 인해 바닥이 젖은 옥상


100_7203.JPG ▲ 안개가 낀 거리


하늘색으로 표시를 해 둔 곳은 해상 안개가 낀 곳입니다. 차가운 바다 위로 습기를 많이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지나갈 때 주로 생깁니다(이류안개). 이렇게 생긴 해무는 두껍고 발생 범위가 넓습니다. 지속 시간도 길어서 며칠씩 안개가 유지되기도 합니다. 바다 안개는 합성 영상에서 아주 붉게 나타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동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새벽에서 아침 사이에는 넓은 면적을 덮고 있다가 낮이 되면 사라지기도 하며 해질 무렵에 갑자기 생성되기도 합니다. 위의 영상에서 서해 바다 가운데에 있는 안개는 안개에 이어진 낮은 구름과 함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해상의 안개는 해풍과 함께 해안가에 밀려들기도 합니다.


M20091125.gif 

▲ 11월 26일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 33분까지의 합성 영상


이 영상은 2009년 11월 26일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 33분까지(한국시 기준)의 합성영상을 동영상으로 만든 것입니다. 육상의 안개는 12시 이후, 기온이 높아지면서 급격히 소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로 복사안개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아지면 안개가 빠르게 흩어집니다. 그러나 해상의 안개는 대낮에도 소산이 심하지 않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더 넓어지기도 합니다. 이는 해상 안개의 생성에는 해수의 온도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다음 위성 사진은 같은 날 오후 1시 45분에 찍은 Aqua/MODIS 위성 사진입니다. 경북 내륙 지역에 남아 있는 복사 안개와 새만금 지구 앞바다에 있는 바다 안개입니다.


     fog1.jpg 

▲ 경북 내륙 지역의 산골짜기를 따라 퍼져 있는 짙은 복사 안개. 사진 아래쪽 가운데의 회색 부분은 대구 광역시


fog2.jpg 

▲ 변산반도 앞바다에 있는 바다 안개

?

  1. [배경화면]대구 비슬산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있는 비슬산의 정상을 멀리서 찍었습니다. 해상도는 1280*800 입니다.
    Date2010.02.22 Category일반 By창환 Views4862
    Read More
  2. 태양-기상자원지도

    이 지도는 국립기상연구원에서 발표한 태양-기상자원지도에 일반 지도를 겹친 지도입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지도는 연누적 일사량을 지명 표시 없이 색으로만 칠해 놓아서 어느 지역이 일사량이 많고 어느 지역이 적은지 빠르게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
    Date2010.01.23 Category하늘 By창환 Views7146
    Read More
  3. 델 인스피론 1525 컴퓨터 드라이버 찾기

    델 인스피론 1525 노트북 컴퓨터는 2008년 경에 출시된 컴퓨터로 기본적으로 윈도우 비스타를 탑재하고 있고, 제조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내려 받으면 윈도우 XP(32비트)를 설치해서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의 드라이버 프로그램 ...
    Date2010.01.15 Category컴퓨터 By창환 Views10436
    Read More
  4. 델 인스피론 1525 사용기 - 확장성

    지난번에 델 인스피론 1525 노트북에 관한 전반적인 평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컴퓨터의 확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평가한다면 노트북 중에서는 확장성이 좋은 편입니다. ▲ 인스피론 1525 컴퓨터의 뒷면 이 컴퓨터는 제품의 특성 때문...
    Date2010.01.11 Category사용기 By창환 Views9337
    Read More
  5.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짙은 안개(위성 영상)

    ▲ 2009년 11월 26일에 생긴 짙은 안개. 시정은 약 300m 정도로 추정됩니다. (촬영장소는 경북 고령) 지난 2009년 11월 26일에는 전국 곳곳에 짙은 안개가 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공항이 마비되고 교통 흐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2009년 11월 26일 9시 3...
    Date2010.01.06 Category하늘 By창환 Views6813
    Read More
  6. 눈에 덮인 한반도(위성 사진)

    ▲Terra/MODIS 위성이 촬영한 한반도(2010년 1월 5일 11시 15분) 지난 4일 전국에 큰 눈이 내렸습니다. 저기압이 잘 발달한 덕에 평소 눈을 보기 어려운 지역인 영남 남부 지역에도 눈이 쌓일 정도였습니다. 위의 사진은 폭설 다음 날인 2010년 1월 5일 11시 1...
    Date2010.01.06 Category하늘 By창환 Views8871
    Read More
  7. No Image

    노트북 CPU 호환표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찾은 정보입니다. 국내에서는 노트북 CPU를 업그레이드 해서 쓰는 경우가 드물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노트북 컴퓨터에 호환되는 CPU를 정리해 놓은 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945칩셋을 쓰는 노트북은 어느 CPU까지 업그레이...
    Date2009.12.03 Category컴퓨터 By창환 Views14676
    Read More
  8. 색이 살아있는 사진 찍기 - 편광 필터

    이 글에 쓴 사진은 크기 조절만 이외의 편집은 하지 않았습니다. 서로 비교한 사진은 같은 날 거의 같은 시각에 촬영한 사진으로 둘 사이의 차이는 필터 사용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 글에 쓴 사진은 코닥 P880으로 찍었습니다. 편광 필터는 특정한 방향으로 진...
    Date2009.11.14 Category사진 By창환 Views8254
    Read More
  9. 무료로 트루이미지 얻기

    이 정보는 웨스턴디지탈(Western Digital), 시게이트(Seagate), 맥스터(Maxtor) 하드 디스크를 쓰고 있는 윈도우 운영체제 사용자들에게만 해당됩니다. 그리고 글의 제목에는 '무료'라고 되어 있지만 특정 업체에서 생산한 장치를 쓰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해당...
    Date2009.11.12 Category컴퓨터 By창환 Views11970
    Read More
  10. 외장 하드 디스크의 인식 불량 줄이기

    이 정보는 웨스턴디지탈(Westerndigital) 사에서 만든 2.5인치 하드디스크를 쓰고 있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USB로 연결해서 쓰는 2.5인치 짜리 외장 하드 디스크를 쓰다 보면 간혹 하드디스크에서 끼릭끼릭 하는 소리가 나면서 인식이 되지 않는 때...
    Date2009.11.12 Category컴퓨터 By창환 Views145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Powered by 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