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일반
2009.08.12 00:25

광해 지도

조회 수 1183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lpmaps2.png


한반도 전체의 광해 지도입니다.


지도에서 옅은 회색-파랑-연두-노랑-주황-빨강-흰색순으로 광해가 심한 지역입니다.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은 광해가 없거나 거의 없는 곳입니다.

 

지도에서 아무 색도 칠해지지 않은 곳과 옅은 회색 지역은 별을 보기에 아주 좋은 곳입니다. 달빛이 없다면 완전히 깜깜한, 매우 어두운 하늘을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파란색 지역과 연두색 지역도 완벽하지는 않아도 별을 보기에는 상당히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노란색 지역은 아주 좋지는 않지만, 도시 근교에서 적당히 별을 볼 수 있는 정도의 하늘입니다. 노란색 지역도 날이 맑다면 은하수가 뚜렷하게 보이고 대기가 투명한 좋은 날씨라면 은하수의 농담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페르세우스 이중 성단 정도는 맨 눈으로 무난히 볼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사진 촬영도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점상 촬영은 물론이고 몇 시간 정도의 노출이 필요한 일주 운동이나 성운, 은하 촬영도 별 무리없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주황색부터는 천체 관측에 문제가 생깁니다.

주황색 지역은 관측 조건이 뛰어난 맑은 날에 맨 눈으로 5등급 정도의 별까지 관측이 됩니다. 지역에 따라 6등급의 별이 관측할 수도 있겠지만 쉽지 않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이중 성단도 주의깊게 살펴본다면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맨눈으로는 찾기는 어렵습니다. 은하수는 형체만 어렴풋이 확인되는 정도입니다. 망원경을 쓰면 비교적 밝은 천체는 관측이 가능하지만 밝은 천체라 할지라도 세부적인 관측, 어두운 부분이나 어두운 천체의 관측은 좀 어렵습니다. 사진 촬영의 경우, 점상 촬영은 문제가 없고 짧은 시간 동안의 일주 운동 촬영도 가능합니다.

 

빨강이나 흰색 지역은 도시 지역의 하늘입니다. 극히 상태가 좋은 맑은 날에 4~5등급 정도의 별까지 볼 수 있습니다. 성단이나 은하는 맨눈으로 보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매우 밝은 은하, 성단, 성운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지만, 관측이 가능하다는 정도에 만족해야 합니다. 사진은 점상 촬영은 가능하지만 일주 운동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행성 촬영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지도를 보면 남한은 대부분의 지역이 어느 정도의 광해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나마 관측 조건이 좋은 편이라는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지역 정도가 노란색,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남한에서 광해에서 자유로운 곳을 찾으라면 백령도, 흑산도처럼 외딴 섬이나 전라남도 서남쪽 해안의 일부 지역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 지역은 기상 조건이나 거리(관측 장비의 운반)의 문제로 인해 천체 관측에 그리 적합한 곳은 아닙니다.

이에 반해 북한 지역은 평양, 신의주, 휴전선 인근 지역을 제외하면 거의 광해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천체 관측에는 매우 좋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마고원 지역은 고도가 높고 건조한 편이라 관측 조건은 매우 뛰어날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한해협에서 포항 앞바다까지의 해상에서 광해가 심한 것은 조업중인 어선에 의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지도는 큰 것 한 장, 작은 것 한 장을 올립니다. 작은 지도는 이 게시물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큰 지도는 첨부 파일을 내려 받은 다음 압축을 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에서 보는 지도는 광해만 나타낸 지도입니다.

 

 lpmaps.png


자료 출처는 이렇습니다.

-대한민국 전도: 국토지리정보원
-광해 자료: The night sky in the World( http://www.inquinamentoluminoso.it/worldatlas/pages/index.htm )
 

**이 게시물은 아스트로노트에 이형철 님이 쓴 '어두운 밤하늘을 찾아서'라는 글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주소로 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astronote.org/board/index.php?print=&section=&menu=7255&table_name=basicobs&job=view&idx=28325&page=1&order=desc&sort=datetime&&search_title=&search_word=

TAG •
?

  1. 적도좌표↔황도좌표

    천체의 좌표를 적도좌표에서 황도좌표 또는 황도좌표에서 적도좌표로 바꾸려면 아래 식을 쓰면 됩니다. 이 계산에 쓰이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λ : 황경 β : 황위 α : 적경 δ : 적위 ε :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 (1) 적도좌표에서 ...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2872
    Read More
  2. No Image

    항성시 계산(IAU1982)

    IAU1982에서 결정된 항성시 계산법은 IAU2000/2006에서 결정한 방법보다는 조금 더 간단합니다. 오래된 방법이지만 아마추어용 성도 투영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1) 그리니치 평균항성시 계산(GMST)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는 다음 식을 ...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9448
    Read More
  3. No Image

    항성시 계산(IAU2000)

    IAU2000에서 결정한 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결정한 방법과 거의 같습니다. 겉보기 항성시, 지방항성시의 계산 방법은 IAU2006에서 설명한 방법과 완전히 같고, 그리니치 평균 항성시를 계산하는 식만 약간 다릅니다. 평균 항성시 계산에서 IAU2006...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910
    Read More
  4. No Image

    진황도경사각 계산

    진황도경사각(True obliquity of the ecliptic)은 특정 시점의 실제 황도경사각으로 평균황도경사각(Mean obliquity of the ecliptic)에 장동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반영해주면 얻을 수 있습니다. 진황도경사각은 적도좌표와 황도좌표 사이의 상호 변환에 쓰...
    Date2009.10.2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902
    Read More
  5. 항성시 계산(IAU2006)

    항성시는 우주에 고정된 기준을 두고 이 기준점에 대한 겉보기 운동으로 측정하는 시간 체계입니다. 항성시로 나타낸 하루(항성일)는 지구 공전의 영향으로 인해 태양시로 나타낸 하루(태양일)보다는 약간 짧습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태양일과 항성일의 길...
    Date2009.10.17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5483
    Read More
  6. 관측지 위치 구하기

    천체 관측과 천문 계산에서는 관측지의 좌표계로 세계측지계를 사용합니다. 세계측지계는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민간 측지계로, 경위도를 나타내는 기준인 좌표계로는 ITRF2000를 채택하고 지구의 모습을 나타내는 가상적인 타원체로는 GRS80를 채택한 ...
    Date2009.10.15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0822
    Read More
  7. 평균 황도 경사각 계산

    황도경사각은 천구의 적도와 황도가 이루는 각도입니다. 이 각도를 기호로 ε이라고 표기하며 현재 약 23.5도이지만 실제로는 22.1도에서 24.5도 사이의 범위에서 느리게 변화합니다. ▲ 황도 경사각의 정의 특정 순간의 평균황도경사각은 아래에 소개하는 식을 ...
    Date2009.10.1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1373
    Read More
  8. No Image

    천문 상수

    천문 계산에 종종 쓰이는 천문 상수를 모아봤습니다. 이 자료는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으며, 원래의 문서를 살펴보시면 더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한국천문연구원 역서 2007 http://www.kasi.re.kr/Knowledge/almanac_src/2007/2007_ch10_00....
    Date2009.10.09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6293
    Read More
  9. No Image

    EMB에서 지구의 위치 계산하기 예제

    지구-달 질량 중심(EMB)으로 표시된 지구-달 계의 위치에서 지구와 달, 해의 위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이나 계산 원리는 이전에 쓴 다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EMB에서 지구의 위치 보정하기 이 예제에서...
    Date2009.10.08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7599
    Read More
  10. 지구-달의 질량 중심(EMB)

    천체력에서 지구의 위치를 표시할 때 주로 쓰는 EMB(Earth-Moon Barycenter, 지구-달 질량 중심)는 지구와 달의 질량 중심을 가리키는 약호입니다. 지구와 달은 공동의 질량 중심인 EMB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두 천체가 도는 계에서 질량 ...
    Date2009.09.30 Category천문 계산 By창환 Views160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E